Login

초보 주부의 설날 상차림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0-02-11 00:00

초보 주부에게 설날 상차림은 여간 까다로운 일이 아니다. 중요한 재료 손질이나 간 보기는 시어머니가 한다고 해도, 굽고 부치는 등의 손맛 필요 없는 일들은 모두 며느리의 몫. 초보 티 내지 않고 똑 부러지게 음식 준비하는 방법부터 야무지게 상 차려내는 아이디어까지 소개한다.

초보들은 모르는 요리 트러블 대처법

1 갈비사태찜 | 고기 씹히는 맛이 질기다

갈비는 고기가 질기지 않아야 육질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다. 고기양념에 양파나 사과, 배 등의 새콤한 과일 즙을 넣으면 연육작용으로 고기가 부드러워진다.

2 고기산적 | 고기가 자꾸 쪼그라든다

고기를 양념에 재기 전, 칼 옆면으로 톡톡 두드려 직사각형을 만들고 긴 꼬치를 여러 개 끼워놓아야 한다. 그래야 꼬치의 힘 때문에 고기가 수축되지 않고 반듯한 모양을 유지한다.

3 조기삼색찜 | 생선살이 자꾸 부서진다

김이 완전히 오르지 않았을 때 생선을 넣고 쪘기 때문. 찜통에 김이 충분히 올랐을 때 넣어야 생선살이 탄력을 받아 수축하면서 표면은 단단해지고 속살은 부드러워진다.

4 삼색나물무침 | 나물 씹히는 맛이 뻣뻣하다

나물 무침은 아삭아삭 씹히는 맛을 살리는 것이 관건. 나물을 물에 씻은 후 물기를 꼭 짤수록 아삭한 식감이 살아난다. 거즈로 눌러 물기를 짜거나 체에 밭쳐 물기를 뺀다. 

5 전&적 | 표면이 갈라지거나 잘 익지 않는다

밀가루옷이 갈라지는 건 끈기가 없기 때문이다. 팬에 부치기 전, 반죽을 손으로 탁탁 쳐가면서 오래 치대야 부서지지 않고 모양이 그대로 유지된다.

삼색 전&적

전과 적은 육류, 어패류, 채소류로 구분해서 제사상에 올린다. 일반적으로 육류는 쇠고기를 다져 만든 완자전, 어패류는 흰살생선으로 만든 전유어전, 채소류는 버섯과 맛살을 꿰어 만든 꼬치전을 많이 한다. 기름에 지지는 만큼 어떻게 잘 굽느냐가 요리의 맛을 결정하는데, 열에 부서지지 않도록 살을 탄탄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생선은 소금과 흰 후춧가루로 간을 해 탄력을 더하고, 고기로 완자를 빚을 때는 반죽을 손으로 많이 치대야 한다.

전유어전

●재료 흰살생선 200g, 달걀 2개, 밀가루 1/2컵, 소금 1큰술, 흰 후춧가루 약간

●만드는 법

1 흰살생선은 먹기 좋은 크기로 얇게 포를 뜬다.
2 접시에 ①을 펴서 담은 후 소금, 흰 후춧가루로 간을 해서 잰다.
3 그릇에 달걀을 풀어 소금으로 살짝 간한다.
4 ②의 생선은 밀가루옷을 얇게 입힌 뒤 달걀물을 입힌다.
5 뜨겁게 달군 팬에 기름을 두르고 ④를 앞뒤로 노릇하게 지져 상에 낸다.

완자전

●재료 다진 쇠고기ㆍ다진 돼지고기 200g씩, 두부50g, 양파 1/2개, 실파 3대, 달걀 2개, 밀가루 3큰술, 다진 마늘ㆍ참기름ㆍ깨소금 1작은술씩, 소금ㆍ후춧가루ㆍ생강가루ㆍ식용유 약간씩

●만드는 법

1 다진 쇠고기와 다진 돼지고기는 종이타월에 올려 핏물을 뺀다.
2 두부는 젖은 거즈에 올려 칼날로 누르면서 물기를 뺀다.
3 양파는 곱게 다진 뒤 볶아 식히고 실파는 곱게 다진다.
4 큰 볼에 손질한 재료를 한데 넣고 소금, 후춧가루, 참기름, 깨소금, 생강가루를 넣어 고루 섞는다.
5 ④의 반죽을 한 수저씩 떼어 손바닥에 올리고 직경 2.5cm 정도의 크기로 완자를 빚는다.
6 ⑤에 밀가루와 달걀물로 옷을 입히고 팬에 앞뒤로 노릇하게 부친다.

삼색꼬치전

●재료 쇠고기(산적용)ㆍ느타리버섯 100g씩, 고사리 50g, 쪽파 12대, 게맛살 3줄, 달걀 2개, 밀가루 5큰술, 소금 약간, 양념(간장 1작은술, 다진 마늘ㆍ후춧가루ㆍ참기름 약간씩), 꼬치 적당량

●만드는 법

1 게맛살은 5cm 크기로 썰어 길이로 이등분한다. 쪽파는 흰 대 부분만 자른 뒤 게맛살 길이로 썬다.
2 쇠고기는 6cm 길이로 잘라 분량의 고기양념에 잰다.
3 느타리버섯은 깨끗이 씻어 물에 살짝 데친 뒤 찬물에 헹궈 물기를 눌러 짠다. 고사리는 쌀뜨물에 충분히 삶은 후 앞줄기 부분이 통통한 것만 골라 5cm 길이로 썬다.
4 꼬치에 게맛살, 느타리버섯, 고사리, 쇠고기, 쪽파 순으로 꿰고 밀가루와 달걀물로 얇게 옷을 입혀 지진다.

손님상에 내는 방법

모둠 꼬치로 만들기 삼색꼬치전은 꼬치를 뺀 다음 사선으로 저미듯 자르고 전유어전도 꼬치 크기에 맞춰 자른다. 꼬치에 완자, 전유어, 삼색전을 꿴다.

갈비사태찜

제사상 중앙에 놓이는 갈비찜은 요리 고수도 어려워하는 메뉴. 갈비는 뼈가 많아 손질하기도 쉽지 않고, 열이 가해질수록 살이 질겨지기 때문에 한시도 눈을 뗄 수 없다. 가장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은 고기와 야채에 양념이 고루 배게 하는 것. 미리 양념간장을 한 번 끓여서 갈비를 재면 속살까지 스며들어 맛과 향이 진해진다.

●재료

소갈비 600g, 쇠고기(사태) 300g, 대파 잎 2대, 밤ㆍ대추ㆍ은행 5개씩, 통후추 5알, 황·백지단 사방 10cm 크기 1장씩, 잣 1큰술, 소금 약간, 밑간(배즙 1/2컵, 청주 3큰술), 양념(간장 6큰술, 설탕ㆍ다진 파 2큰술씩, 다진 마늘ㆍ참기름ㆍ깨소금 1큰술씩, 후춧가루 1/4작은술)

손님상에 내는 방법

단맛 내는 채소 넣어 풍성하게 담기 갈비사태찜에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 단호박, 고구마, 양배추 등 단맛이 나는 채소를 익혀 넣어 담음새를 풍성하게 한다. 은은한 단맛이 더해져 감칠맛이 살아난다.

●만드는 법

1 소갈비는 뼈를 중심으로 5cm 크기로 토막 낸 것을 준비한다. 힘줄과 기름을 떼어내고 칼집을 넣어 손질한 다음 찬물에 담가 40분 정도 핏물을 뺀다. 쇠고기 사태도 적당한 크기로 토막 낸 뒤 찬물에 담가 핏물을 뺀다.
2 핏물을 뺀 갈비는 끓는 물에 대파 잎과 통후추, 소금을 넣고 데쳐 기름을 뺀 다음 체에 밭쳐 물기를 뺀다.
3 물기를 뺀 갈비에 밑간 재료를 넣고 버무려 30분 정도 잰 뒤 분량의 양념 재료로 30분 더 잰다.
4 밤은 껍질을 벗기고 대추는 주름 부분까지 씻어서 물기를 닦는다. 은행은 팬에 굴려 속껍질을 벗기고 잣은 고깔을 뗀다. 황·백지단을 부쳐서 사방 1cm 크기의 마름모 모양으로 썬다.
5 냄비에 재어놓은 갈비를 넣고 중간 불에서 익히다가 고기가 익으면 가운데부분에 국물을 끼얹어 가면서 찐다. 손질한 밤, 대추, 은행, 잣을 한데 넣고 같이 익힌다.
6 고기가 익으면 마름모 모양으로 만든 황·백지단을 올려 낸다.

삼색나물무침

집안의 평안함을 기원하기 위해 제사상에 꼭 올리는 것이 삼색나물무침. 뿌리채소인 도라지는 조상을, 줄기채소인 고사리는 우리를, 잎채소인 시금치는 후손을 뜻한다. 제수용 음식은 마늘이나 파 같은 양념 없이 깨끗하게 볶아내는 것이 특징. 그렇기 때문에 재료 본연의 싱싱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바로 데쳐낸 뒤 찬물에 헹궈 물기를 꼭 짠다.

●재료

도라지 250g, 시금치 200g, 마른 고사리 150g, 소금 약간, 도라지양념(다시마 우린 물 1/3컵, 다진 파ㆍ다진 마늘 1큰술씩, 참기름 1/2큰술, 식용유ㆍ깨소금 약간씩), 고사리양념(다시마 우린 물 1/3컵, 국간장 1큰술, 다진 파ㆍ다진 마늘 1작은술씩, 소금ㆍ깨소금 약간씩), 시금치양념(참기름 1큰술, 다진 파ㆍ다진 마늘 1작은술씩, 깨소금ㆍ소금 약간씩)

손님상에 내는 방법

한입 크기의 카나페 배춧잎을 이용해 보기 좋고 먹기 좋게 카나페처럼 만들 수 있다. 한입 크기로 배춧잎을 다듬은 뒤 볶아놓은 나물을 올리면 모양도 예쁘고 아삭아삭한 맛도 살릴 수 있다.

●만드는 법

1 도라지는 윗부분을 잘라 껍질을 벗기고 적당한 굵기로 찢는다. 소금을 뿌리고 주물러주면서 쓴맛을 뺀 뒤 물에 헹궈 물기를 꼭 짠다.
2 냄비에 기름을 조금 두르고 도라지를 볶다가 분량의 도라지양념을 넣고 국물이 거의 졸아들 때까지 중불에서 끓인다.
3 도라지가 익으면 불을 끄고 한김 식힌 후에 참기름과 깨소금을 넣고 버무려 상에 낸다.
4 마른 고사리는 물에 충분히 불려서 쌀뜨물에 넣고 삶아 여러 번 물에 헹군다. 깨끗이 씻은 후 연한 부분만 6cm 길이로 썰어 고사리양념에 버무린다.
5 냄비에 참기름을 두르고 고사리를 볶다가 다시마 우린 물을 넣는다. 자작하게 조려지면 불을 끈 뒤 참기름과 깨소금을 넣고 무쳐 접시에 담아 낸다.
6 시금치는 다듬어 씻어 끓는 물에 소금을 넣고 살짝 데친 다음 찬물에 여러 번 헹궈 물기를 뺀다.
7 시금치를 먹기 좋은 크기로 썬 뒤 분량의 양념을 넣고 무친다.

삼색조기찜

조기는 은은한 황금빛이 돌면서 배 부분이 통통한 것으로 고른다. 제사상에 올릴 때는 배 부분이 병풍 쪽으로 가도록 놓는 것이 정석. 조기는 껍질이 벗겨지거나 표면이 타지 않도록 요리하는 것이 중요한데, 굽기 전에 밀가루나 녹말가루로 얇게 옷을 입히면 팬에 눌어붙지 않고 고루 잘 익는다.

●재료

조기 3마리, 황ㆍ백지단 10cm 크기 1장씩, 호박 1/4개, 실고추ㆍ통깨ㆍ소금 약간씩, 간장양념(간장ㆍ양파즙ㆍ청주ㆍ다진 마늘ㆍ다진 파 1큰술씩, 참기름 1작은술, 소금ㆍ후춧가루 약간씩)

손님상에 내는 방법

접시에 1인분씩 담고 지단 올려 내기 한 덩어리씩 자른 후 1인 앞접시에 적당한 양만큼 나눠 담는다. 그 위에 황·백지단, 호박채 등을 얹어 내면 색다른 생선요리로 즐길 수 있다.

●만드는 법

1 조기는 싱싱한 것으로 골라 비늘을 긁고 내장을 뺀 다음 깨끗이 씻는다. 분량의 간장양념을 2/3 정도 끼얹어 30분 정도 잰다.
2 차례상을 차릴 때는 오른쪽에 머리가 오고 등이 앞으로 오게 놓은 다음 양면에 어슷하게 칼집을 서너 번 넣고 소금을 뿌려 밑간한다.
3 황ㆍ백 지단을 얇게 부쳐서 각각 곱게 채썰고 실고추는 짧게 끊어 둔다. 호박은 곱게 채썰어 소금에 살짝 절인 뒤 물기를 꼭 짜서 팬에 살짝 볶는다.
4 찜기에 김이 오르면 조기를 넣고 15분 정도 익힌다. 중간 중간 남은 양념장을 끼얹어준다.
5 그릇에 조기를 담고 실고추, 황·백지단, 호박채, 통깨를 올려 낸다.

고기산적

제사상에 올렸던 음식 중 고기산적은 식으면 맛이 없을 뿐 아니라 뻑뻑해져 끝까지 남기 쉬운 메뉴다. 식어도 특유의 양념 맛이 달아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포인트. 산적용 쇠고기는 일반 고기보다 두꺼운 편이라 양념이 잘 배지 않으므로 고기를 재기 전에 고기망치나 칼등으로 충분히 두드려 칼집을 넣어야 한다.

●재료

쇠고기 등심(산적용) 600g, 꼬치 8개, 잣가루ㆍ황·백지단 약간씩, 양념(간장 4큰술, 설탕ㆍ사과즙 2큰술씩, 맛술ㆍ참기름ㆍ다진 파ㆍ다진 마늘 1큰술씩, 깨소금 1작은술, 소금ㆍ후춧가루 약간씩)

손님상에 내는 방법

상큼한 유자소스 곁들이기 산적양념에 유자즙과 유자과육을 넣고 고기를 재었다 구우면 고기 맛이 더 상큼하고 담백해진다. 기호에 따라 간할 수 있도록 따로 소스를 곁들여 낸다.

●만드는 법

1 쇠고기 등심은 1cm 두께로 준비한다. 종이타월로 눌러 핏물을 뺀 후 고기망치로 자근자근 두드려 고기를 연하게 한다. 
2 냄비에 간장과 설탕, 맛술, 다진 마늘을 한데 넣고 한소끔 끓여 차게 식힌 후 다진 파와 사과즙, 참기름, 깨소금, 후춧가루를 넣고 섞는다.
3 쇠고기산적에 ②의 양념을 고르게 버무려 냉장실에서 1시간 정도 충분히 잰다.
4 ③을 꼬치에 꿰어 팬에 굽거나 석쇠에 앞뒤로 구워가면서 익힌 후 잣가루와 황·백지단을 올려 낸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스포츠조선 T―뉴스 이정혁 기자] 애프터스쿨의 정아가 유이, 가희를 이을 차세대 주자로 급부상 중이다.정아가 부른 드라마 '파스타'의 러브테마인 '귀여운 넌'은 주연배우들의 매 장면마다 달콤한 사랑의 느낌을 전해주며 연일 화제다. 이에 정아는 스타일...
3월말에서 4월 중순의 미국의 수도 워싱턴DC은 관광객들로 붐비는 벚꽃관광 코스. 이는 미국에서 손꼽히는 빅이벤트 가운데 하나다.이때가 되면 남녀노소의 마음에 꽃바람이 든다. 이때가 되면 전국 곳곳에서 몰려드는 관광객으로 미국의 수도는 북새통을 이룬다....
실습과 체험을 중시하는 학교‘브리테니아 칼리지(Britannia College)’는 1999년 ‘정규’사장에 의해서 설립되었다. ‘크리스(Chris)’씨가 현재 원장 겸 CEO로서 ‘브리테니아’의 모든 학교 운영을 총괄하고 있다. ‘브리테이아’는 1999년 튜터 중심의 스피킹 학교인...
"진짜 본드 걸처럼, 경쟁자들을 한 방에 날려버렸다"
김연아 선수의 경기가 끝나자마자 외신들은 일제히 '한국의 피겨 여왕'에 대한 감탄과 찬사를 쏟아냈다. 뉴욕타임스(NYT)는 경기 직후...
23일에 벌어진 기적 같은 쾌거
빙속 1만미터 이승훈 선수 금메달 캐나다 하키팀 독일 상대로 8:2 통쾌한 우승 피겨 김연아 세계신기록, 곽민정 프리 진출
25일 오후 5시 경기 시작
밴쿠버 올림픽 피겨 프리 스케이팅 경기가 25일 오후 5시 퍼시픽 콜리시움에서 시작된다.
깨끗하고 하얀 피부로 다시 태어나기
태양이 강해지는 노출의 계절이 다가옴을 생각하면 벌써부터 걱정이 앞선다. 기미, 주근깨, 주름 등 해가 갈수록 하나씩 늘어나는 피부 트러블이 뜨거운 햇빛 아래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여성의 가장 큰 고민이자 스트레스의 원인인 피부...
한국관 관련 기사를 쓰고, 그 후에도 몇 차례 한국관을 방문해봤다. 방문객 숫자도 처음보다는 다행히 늘었고, 한국관 관계자들도 신경을 썼는지 ...
제2의 도약을 꿈꾸는 K&K 이민컨설팅 노스로드 한아름 마트 옆으로 확장 이전
‘‘K&K 이민 컨설팅’은 짧은 역사에도 이민컨설팅 업계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으로 회자하고 있다.
발전소 건립 늘어나 송전선 필요
BC주정부와 기업체가 전력송출사업 확대에 비상한 관심과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컨퍼런스보드, BC주 올해 3.7% 성장 전망
컨퍼런스보드 오브 캐나다는 2010동계 캐나다 주별(州別)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BC주가 7억7000만 달러 올림픽 효과를 누리면서 캐나다 경제 회복을 견인할 전망이라고 22일 발표했다.
폐막식 앞둔 밴쿠버 동계올림픽
밴쿠버가 28일 동계올림픽 폐막식을 준비하고 있다. 이 가운데 각국 선수의 경쟁은 여전히 치열하다.
빙속 남자 1만m에서 승리
한국의 이승훈이 리치몬드 올림픽 오벌에서 23일 열린 스피드스케이팅(빙속) 남자 1만m에서 올림픽 신기록인 12분58.55초로 들어왔다. 마지막 페어로 나선 네델란드의 스벤 크라머(Kramer)는 이 선수의 기록을 무려 4.05초를 단축했다. 그러나 경기 중 바깥 레인으로...
다운타운 랍슨스퀘어에서 지난 19일 오후 8시 밴쿠버한국무용단(단장 정혜승)의 공연이 있었다.  밴쿠버에서 한국무용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한국무용단의 단아한 자태에 관람객들의 탄성과 박수가 이어졌다. 이날 공연에는 10여 명의 단원들이 소고 춤을 비롯해...
올림픽을 맞아 밴쿠버 아트 갤러리에 무료 입장이 가능하다. 올림픽 기간동안 열리는 전시회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인체 비례도가 전시되어 관심을 모으고 있으며, 인체를 새롭게 해석한 현대미술 작품, 풍경화, 비디오 아트 및 건축물 등 여러 장르의 미술...
관객들이 수준과 규모에 놀란 '춤 춘향'
한국 국립극장의 국가브랜드 공연 ‘춤 춘향’이 지난 21일 오후 7시 퀸 엘리자베스 극장에서 공연됐다. ‘춤 춘향’은 밴쿠버 동계올림픽을 기념해...
코퀴틀람시 봄철 행사 안내
코퀴틀람시는 올 한해 시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행사들을 모아 ‘2010 코퀴틀람 여권(Coquitlam Passport)’이라는 작은 책자에 정리했다. 이 무료 책자는 시내 곳곳의 공공시설에 비치되어 있다. 여권에 수록된 대부분의 행사는 가족 중심의 알차고 유익한 행사다. 각...
23일 독일과 8강행 놓고 맞대결
12개국의 대표팀이 3개의 조로 나뉘어 6일동안 치러졌던 남자부 아이스하키 예선리그가 지난 23일 막을 내렸다. 예선전을 통해 예선리그의 상위 4팀 미국, 스웨덴, 러시아, 핀란드가 8강 직행 티켓을 거머쥐었고, 캐나다를 포함한 하위 8팀이 8강행을 놓고...
한인 응원 모임 여의치 않은 상황 20일 자원봉사자 모임 무산
한인 단체 응원이 밴쿠버 올림픽 마지막 주말을 맞은 지금까지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한국 선수단 경기 일정
19일 밴쿠버 동계올림픽 한국팀은 활강으로 일정을 시작했다.
 1271  1272  1273  1274  1275  1276  1277  1278  1279  1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