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모국어 사용할 때 가장 창의적 사고 가능"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7-24 00:00

제18차 세계언어학자대회 개막

21일 고려대에서 개막된 제18차 세계언어학자대회에서 참석자들이 수전 피셔 교수의 화상 강연을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 세계 언어학자들의 가장 큰 행사인‘세계언어학자대회(CIL: International Congress of Linguists)’의 제18차 대회가 21일 오전 고려대 인촌기념관에서 개막, 6일 간의 일정에 들어갔다.
개막식에는 공동조직위원장인 이익환 연세대 명예교수, 홍재성 서울대 교수와 페렌 키퍼(Kiefer) 세계언어학자 상임위원회(CIPL) 위원장, 이상규 국립국어원장, 이기수 고려대 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700여 명의 청중이 몰렸다. ‘언어의 통일성과 다양성(Unity and Diversity of Languages)’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대회에서는 세계 유수 학자 8인의 초청특강, 18개 주제의 워크숍과 발표 논문 800여 편이 준비됐다. 이번 서울 대회의 몇 가지 쟁점을 짚어 본다.


"언어도 자연자원처럼 보호가 필요"
"수화 연구하면 언어 이론에 도움"

◆왜 소수 언어를 살려야 하는가
이번 대회는 소멸 위기의 소수민족 언어에 대한 언어학적 관찰·분석과 보존 계획 수립의 문제를 중요한 의제로 삼고 있다. 인간은 자신의 모국어를 사용할 때 가장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모든 소수민족들의 언어가 보존돼야 세계적 인류의 지적(知的) 자산이 보존될 수 있다는 논리다. 〈국제화되는 세계 속에서의 언어 권리, 인간의 발전, 언어 다양성〉을 강의하는 수전 로메인(Romaine)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는“오늘날 세계화의 결과를 논의하는 자리에서 정작 언어의 다양성이 중요하게 부각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세계 언어의 유지는 문화 보존을 위한 보다 큰 정책의 한 부분이며, 한 지역의 경제적·문화적 복리를 증진하는 정책을 통해 언어의 다양성도 유지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한마디로“언어는 보호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다른 자연자원과 같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번 대회에서는 세계화 시대의 상호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의‘통일성’역시 중요한 화두가 되며, ‘통일’과‘다양’이라는 상반된 개념의 조화가 모색된다.

◆수화(手話)도 언어의 일종이다
수전 피셔(Fischer)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21일〈동양과 서양의 수화〉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피셔 교수는“수화는 단순한 손짓만이 아니다”고 말한다. 또한 실어증의 일종이거나 실문법적(失文法的) 현상도 아니다. 그것은 자연 언어의 일종이며, 이 언어를 연구하면 인간 언어 현상에 대해 많은 것을 밝혀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수화는 언어 이론에서 도움을 받을 수도 있고, 언어 이론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고 설명한다. 수화에 대한 현대 언어학적 연구는 이미 50년 전으로 올라가지만, 아시아에서는 그 체계적 연구가 아주 최근에야 시작됐다. “동서양의 수화가 보이는 차이들은 언어 전반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다시 하게해 준다”고 그는 말한다.

◆한국어와 한글, 세계에 알린다
‘언어 다양성’의 측면에서 특히 아시아 지역의 언어가 이번 대회에서 주목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어의 기원과 계통, 특징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조직위원회측은 밝혔다. 한국어 관련 특별 워크숍에서 아시아의
소수민족 언어 전문가들이 초청되며, IT 강국의 위상을 보여주는‘한국어 기계처리’의 특별 전시회도 열린다. 한국어와 한글의 우수성이 크게 홍보될 것이라고 조직위원회는 기대한다. www.cil18.org

유석재 기자 karma@chosun.com
김명교 인턴기자(고려대 언론학부 4년)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