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40리 산행길에 느끼는바 있어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9-06 00:00

 

산행 에티켓

우리가 세상에 태어나 산다는 것은 이루 셀 수 없이 많은 개체 생명체들과 관계를 이루며 살아 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도 사람과 사람의 ‘사이’ 즉 사이 ‘간’(間)을 배제한 절대적 개체의 ‘인’(人)이란 있을 수 없다는 뜻인 인간(人間)이란 철학적 명제로 귀결된다. 사람다운 사람이란 결국 나만 존재하고 나만 잘 살면 그뿐이라는 이기적인 인간이 아니라 남을 배려하고 사랑하고 이롭게 해주는 이타적인 사람인 것이다. 공자의 중심 사상인 ‘인’(仁)이란 글자를 파자(破字)해 봐도 ‘한 사람’이 아닌 ‘두 사람’으로 풀이되니 그 심오한 철학적 의미가 절로 드러난다. 공맹이 주장한 유도란 이러한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여하히 할 것이냐를 고민한 결과로 얻은 것이 바로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이며 맨 가운데 위치한 글자인 “예”(禮)는 한마디로 말해 “사회적 질서”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심미적 개념이다. 예절, 예의에 어긋난다는 말은 바로 마땅히 지켜야 할 질서를 지키지 않고 제 멋대로 개판치는 것이다. 필자는 지금 사서삼경의 내용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다. 산을 가면서 지켜야 할 질서인 ‘산행지례’(山行之禮)를 말하고 싶은 것이다. 수십명이 떼를 지어 가는 그룹산행을 가든 혈혈단신으로 올라가는 단독산행을 가든 거기엔 분명히 지켜야 할 에티켓이 있다. 여기서 내가 언급한 에티켓이란 산행중 동료 산행인들과 지켜야할 예의 범절이 아닌 대자연과 산행인 사이의 관계를 정립함이며 지켜야 할 질서이다. 산을 오래 다니다 보면 야생동물은 말할 것도 없고 이름 모를 풀 한포기, 야생화 한 송이가 그렇게 귀엽고 아름다울 수가 없는 경지에 자기도 모르게 진입하고 만다. 아니 정말 산을 아는 사람은 아무리 보잘 것 없는 미물이라 할지라도 그 생명체에 대한 경외심은 물론이요 신비함까지 느껴지면서… 자연과 내가 한 몸이라는 소위 물아일체(物我一體)를 한번쯤은 체험하게 된다. 더러는 청초한 풀꽃 한송이에 비해 내가 얼마나 비열하고 추한 인생을 살아 왔는가라는 황연대오(恍然大悟)의 순간도 없잖아 있는 것이다.
어느 산정상 초원에 위치한 주립공원의 안내 입간판에 쓰여있길 ‘모진 북풍한설과 눈사태를 이겨내고 한 송이 야생화를 피우기 위해서 25년이란 장구한 세월이 흐른다’는 설명을 읽은 사람치고  초원을 짓밟을 사람은 없는 것이다. 필자로선 초원사이에 만든 좁은 오솔길이 황송하게 너무 넓다는 생각마저 들 정도가 되었다고나 할까. 대자연이 아무리 무지막지하게 험준하고 거칠지라도 산이라는 대자연이 싣고 있는 모든 생태계(ecosystem)는 참으로 연약하고 미묘한 밸런스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가. 대자연에 난입한 인간의 무지로 인해 미묘한 균형이 깨어진 생태계가 정상을 회복하는데는 수 십년이 걸린다는  사실을 안다면 그 누가 자연을 훼손할 수 있겠는가. 어디 그뿐이랴. 청정무비의 옹달샘이 흘러가고 청초하기 이를데 없는 산자락에 아무렇게나 내동댕이친 쓰레기 부스러기와 깨어진 유리병을 볼때 심미적 분노를 느끼지 않을 사람은 하나도 없는 것이다. 말이 나왔으니 말이지 필자가 가장 꼴불견이며 참을 수 없는 역겨움을 느끼는 것은 산자락에 버려진 허연 화장지를 목도할 때이다. 볼일은 봤으면 구덩이를 적어도 30센티 이상 파고 완벽하게 처리하며, 소변은 적어도 흐르는 물에서 25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서 해결하라는 것이 엄연한 하이커들의 불문율이다. 인간과 인간 사이에 지켜야할 예의는 보이는데서 하는 것이지만 대자연과 인간사이에 지켜야할 예의는 보이지 않는데서 지키는 불문율이니 그 자율성의 격조와 깊이를 우리는 인지해야한다. 산행중 필자는 이러한 취지에서 게시된 영문 캣치프레이즈를 늘 의미심장하게 감상한다. “싸가지고 들어간 것은 그대로 싸가지고 나오라”(Pack it in. Pack it out). “발자국 외에는 아무것도 남기지 말라”(Don’t leave anything behind but your foot prints). “추억만 가져가지 그외엔 아무것도 가져가지 마라”(Don’t take out anything but your memory).
정말로 산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이러한 냉소적인 경구에 훈도되기 이전에 자신을 삼가는 품격이 있어야 마땅하다. 그러한 품격은 몰지각하게 바위나 나무에 ‘잘난 자기 이름’을 새기는 것이 아니라 마음속에  대자연을 새기는 일이다. 문득 중용 제 1 장의 그 구절이 머리를 스친다. ‘숨은 것 보다 더 잘 보이는 것은 없고, 작은 것 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것은 없다. 그래서 군자는 그 홀로 있음을 삼가야 하는 것이다. (莫見乎隱 莫顯乎微 故君子愼其獨也). 그렇다 산행 에티켓은 바로 군자의 도리에 다름아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온실가스 배출 감소와 환경오염문제에 대응하는 캐나다 정부의 정책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토론토스타는 사설‘Lack of progress on environment’에서 정부의 안일한 대처가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사설은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자료를 토대로...
BC주정부·한국무역협회, 교역확대 양해각서 교환
한국무역협회 이희범 회장과 콜린 한센 BC주 경제개발부 장관이 한국-BC주 간의 사업 및 투자기회 확대를 위한 양해각서를 교환하며 악수를 나누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와 BC주정부가 상호 교역 확대를 위해 손을 잡았다. 한국무역협회 이희범 회장과 콜린...
수표 확인 시간 이용 사기
집을 찾는 사람뿐만 아니라 집을 임대하려고 내놓은 사람도 사기 피해를 입고 있다. 사기사건 신고센터 ‘폰 버스터스’는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렌트 피해 사례를 공개하고 주의를 촉구했다. 코퀴틀람에 거주하는 오드리 소바니씨는 인터넷에 아보츠포드 소재...
알버타주 핵융합 발전 연구소 유치사업 개시
캐나다가 뒤늦게 핵융합(fusion)발전 연구소 유치사업에 뛰어들었다. 알버타 대학교 명예교수인 MIT출신 알렌 오펜버거 박사는 핵융합 기술 연구소를 알버타주에 건립하는 활동을 추진하겠다고 15일 발표했다. 발전소 안에 작은 인공태양을 만들어내는 핵융합발전은...
이재연 기자의 취업 네트워크 BC하이드로 이연식씨
BC하이드로 버나비 지점에서 근무하는 유일한 한국인 이연식씨는 동생 이정식씨와 함께...
미국 가족주의의 이면 조명한 벤 애플렉의 감독 데뷔작
영화배우 벤 애플렉의 감독 데뷔작인 ‘Gone Baby Gone’이 이번 주말 영화 팬들의 관심 속에 개봉된다. 벤 애플렉의 동생 커시 애플렉이 주연을 맡은 이 영화는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이 만든 '미스틱 리버'의 원작 소설가 데니스 르헤인의 대표적인 소설 시리즈...
열대성 저기압 태풍 ‘링링’ 영향권
18일 오전 5시를 기해 밴쿠버 일대에 폭풍주의보가 내려졌다. 캐나다 기상청은 최고 시속 70km의 강한 바람을 동반한 열대성 저기압 태풍 ‘링링’의 영향으로 오늘 하루 지역에 따라 30~40mm의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했다. 이에 따라 관계 당국이 비상근무체제에...
너나 할 것 없이 세상 만사 뜻대로 돌아가지 않을 때 '시골에 가서 농사나 지으며 살겠다'는 넋두리를 한번쯤은 뱉어 놓았을 터이지만
국악난타 주부동호회 ‘신명’
밴쿠버 최초의 국악난타 주부동호회 ‘신명’ 팀 회원들. 앞줄 중앙이 회장 민인가씨다. 현재 3기 회원을 모집중인 ‘신명’팀은 10명의 평범한 주부들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 교민들에게 조금 낯설은 팀이지만, 그동안 11차례의 정기공연을 통해 노스밴쿠버...
노사, 고용 계약에 임시 합의
밴쿠버도서관과 파업 중인 노조가 18일 고용계약에 잠정 합의해 빠르면 다음 주 밴쿠버 시내 도서관들이 다시 문을 열 전망이다. 밴쿠버도서관 직원들을 대표하는 캐나다 공무원노조(CUPE) 391지부 대변인은 18일 “12주째 파업이 계속된 가운데 도서관과 고용계약에...
제 2외국어 학점 취득할 수 있는 ‘랭귀지 챌린지 시험’
대학가고 싶은 학생들에게는 언제나 고민거리가 있는 법. 그 중에 하나가 대학에서 요구하는 제2외국어다. 영어 하나만으로도 벅찬데 제2외국어까지 해야 하는 현실이 여간 부담스러운 게 아니다. 하지만 대학에 가려면 넘어야 할 산이다. 그렇다면 제2외국어라는...
세컨더리 깜짝정보
세컨더리 스쿨에서 부정행위(커닝)를 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 부정행위가 늘어나자 시험 중 칸막이를 사용하거나 감독을 엄하게 하는 학교와 교사들이 늘고 있지만, 계속 증가하는 부정행위를 줄이지는 못하고 있다. 사실 캐나다에 이민 또는 유학 온 지 얼마...
광양항 투자유치단, 밴쿠버에서 설명회
광양항 투자유치를 위해 이성웅 광양시장을 대표로 하는 10명의 투자유치단이 15일 밴쿠버 한인 사업가들을 중심으로 캐나다 항만 관계자와 일부 사업가들을 초대해 투자설명회를 개최했다. 부산에 이어 한국에서 2번째로 화물처리규모가 큰 광양항은 현재 3-1단계...
현금으로 계약금 챙긴 후 종적 감춰
써리관할 연방경찰(RCMP)은 주택임대 사기사건이 지역 내에서 발생했다며 주의를 촉구했다. 경찰에 따르면 사기범들은 써리 154가(154th St.) 10478번지를 임대한다는 광고를 인터넷 사이트 ‘크레이그 리스트’에 게시해 최소한 5명으로부터 현금으로 계약금을...
4년 만에 처음 감소…10만명당 1.85건
지난해 캐나다 국내 살인 사건 발생률이 1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살인사건 발생률은 2005년까지 2년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총기류를 이용한 살인사건은 4년간 증가하다가 지난해 처음으로 감소했다. 캐나다 국내 경찰이 공식 수사한 살인사건은...
경찰 “난동부리며 계속 반항해 전기충격총 사용.. 갑자기 의식 잃고 숨져”
밴쿠버 국제공항에 입국한 폴란드 남성이 경찰의 전기충격총(테이저)을 맞고 숨져 논란이 일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사망자 로버트 지칸스키(40세)씨는 13일 오후 캐나다 이민을 위해 밴쿠버 국제공항으로 입국하던 중 ‘이성을 잃은 행동’을 하다가 체포됐다....
노후 교량 교체·신규 교량 건설 시급
광역밴쿠버 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지역 교통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겟 무빙 BC(Get Moving BC)’가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한 다리 건설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겟 무빙 BC’는 15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광역밴쿠버 지역에서 강이 차지하는 비중에...
한소열은 그 유명한 삼국지에 나오는 촉한의 유비의 묘호이다. 유비는 의형제인 관우와 장비가 죽은 원수를 갚기
염소전골의 진수를 맛 볼 수 있는 한식당‘아즈메’
얄미운 한식당 아즈메. 어째 그렇게 맛있는 염소전골을 하필 랭리 하고도 다운타운 뒷골목에서 하냐고! 밴쿠버 시내에서 살고 있는 길치(길눈 어두운 사람)들은 어찌 찾으라고. 지난 5월, 랭리 다운타운 어디쯤에 눈이 번쩍 뜨일 만큼 맛있고 영양덩어리...
민족의 지도자 도산은 한국인의 이상형(理想形)으로 “훈훈한 마음 빙그레 웃는 얼굴”이라 했다. 정이 넘치고 미소하는 낙천적 백성이요, 예의가 바른 민족이었다. 그런데 강대국 사이에서 청일 노일 태평양전쟁 등이 우리의 기쁨을 빼앗아갔다. 우리는 잃어버린...
 1421  1422  1423  1424  1425  1426  1427  1428  1429  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