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한의학(漢醫學)과 주역(周易)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4-10 00:00

왜 한의학(漢醫學)이란 칭호가 한의학(韓醫學)으로 개명되었는가? (1)

한의학의 기초원리는 인체라는 생물체의 생리와 질병에 관한 현상을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인 동양철학의 사유개념인 대우주론(大宇宙論)과 소우주론(小宇宙論)에 접목시켜 자연의 이치에 부합시킨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에 기초한 이론이다.

조금 더 한의학의 체계를 알고자 한다면 주역(周易)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 이해도에 도움이 된다. 당대(唐代)의 저명한 의학인인 손사막은 “역(易)을 모르고 (한)의학을 안다고 말하기 어렵다(不知易 便不足 以言知醫)”라고 했다. 주역은 신비스러운 학설을 담은 이론인 동시에 과학적인 논리와도 가까운 학문이다. 우주와 인체의 흐름의 길잡이이며 철리(哲理)에 밝은 이론이기도 하다. 동양의학의 경전인 황제내경과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황제내경의 기초 이론이 주역의 철리와 역리에 뿌리를 두고 음양오행학설(陰陽五行學說) 장상학설(藏象學說) 기화학설(氣化學說) 운기학설(運氣學說) 병기학설(病機學說)이 주역 이론의 핵심과 연계되어 있다.

주역이론의 중심인 역경(易經) 부분에는 64가지의 중괘(重卦)가 부호로 표시되어 있고 그 중괘들에는 각각 괘사(卦辭)가 붙어있다. 괘사는 그 괘 전체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난해한 부분이 많다. 다음 386개의 효사(爻辭)가 달려있다. 이러한 역(易)에 역전(易傳)이 붙어서 주역이 된다. 역전은 단(彖) 상(象) 문언(文言) 계사(繫辭)로 구성되는데 역경 부분의 괘·효사는 범위가 넓다. 생산 경험, 사회 개혁, 군사 방면, 윤리 문제, 자연과학, 형사소송, 상업 문제 등에 귀결된다. 그리고 64괘는 늘어나기 이전의 팔괘를 경괘(經卦)라 한다. 이 팔괘는 자연물을 대표해서 세계 만물을 상징적으로 대표하는데 건(乾)은 하늘, 곤(坤)은 땅을, 진(震)은 번개를, 손(巽)은 바람을, 감(坎)은 물을, 리(離)는 불을, 간(艮)은 산을, 태(兌)는 호수를 상징한다.

세상에는 수십만 종과 수백만 종이 넘는 사건과 사물이 존재하지만 그것들은 이 경괘들이 서로 배합배타(配合配他)해서 64중괘와 상징하는 범주를 벗어날 수가 없다. 세상만사 만물은 원하던, 원치 않던 오행과 연이 닿아 있다. 오행은 다섯 가지 기본적인 물질, 기본적인 운행, 기본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주역의 철학적인 골격은 음양오행(陰陽五行)의 변동 법칙으로부터 이루어져 있다. 지면 관계상 요점만 정리해보자. 오행은 木·火·土·金·水(목·화·토·금·수)에서 장부표리(臟腑表裏)로 즉, 목(木)은 간·담(肝·膽), 화(火)는 심·소장(心·小腸), 토(土)는 비위(脾胃), 금(金)은 폐·대장(肺·大腸), 수(水)는 신·방광(腎·膀胱)이다.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관계에서 상생은 서로가 서로의 생명력을 지켜주고 에너지를 공급해주며 보호해주는 상호 협력 구조를 의미하고, 상극은 실(實)한 자는 먼저 사(瀉)해주고 허(虛)한 자는 먼저 보(補)하여 준다는 뜻이다.

(1)상생(相生) 관계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
(2)상극(相剋) 관계
금극목(金剋木) 수극화(水剋火) 목극토(木剋土) 화극금(火剋金) 토극수(土剋水)

이와 같이 장부간의 상생·상극 관계를 이어간다. 너무 방대한 내용이기 때문에 주역(周易) 이론이 한의학에 미친 몇 구절을 발췌하여 설명한 내용이다. 이러한 역학 관계는 한의학 이론과 주역 이론이 맞물려 있어 주역 원리를 계속 추적하다 보면 시간의 흐름을 잊게 만드는 책이란 것을 알게 된다.

밴쿠버 한방원

*밴쿠버 한방원 지영석 원장의 ‘왜 한의학(漢醫學)이란 칭호가 한의학(韓醫學)으로 개명되었는가?’ 칼럼을 이번 주부터 4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