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일기여, 영원하라!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2-01 00:00

일기(日記)가 한 개인의 잡기(雜記)로 치부되기보다는 인류의 역사적 기록으로 보존될 수 있다는 것을 여실히 증명한 ‘안네의 일기’ 영향인지 오늘날 세상의 많은 아이들은 역사적 사명을 띠고 밤마다 일기를 쓰고 있다. 하루하루를 기록으로 남기는 일기의 중요성은 단순히 글쓰기 영역을 넘어 전인적 교육의 언저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감초다. 자신의 일상을 정리할 수 있으니 정서적인 면에서도 좋고, 구애 받지 않는 표현으로 인해 글쓰기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좋고, 규칙적인 습관을 길러줄 수 있어 태도 교육에 좋고, 가장 좋은 것은 돈 한 푼 안들이고 할 수 있는 경제적인 교육이라서 그렇다. 자타가 동의할 이렇게 좋은 교육이기에 어른들은, 아이들이 말과 글을 틀 무렵이면 벌써 ‘일기 쓰기’를 요구하게 된다.

초등학교에 들어가 난생 처음 일기 쓰기를 주문 받는 아이들은 대뜸, “일기를 어떻게 써요?’라고 묻는다. 대부분의 어른들은 “크게 고민할 필요 없어! 그냥 하루에 일어난 일을 마음대로 적는 거야!” 라고 말하며 대충 알아서 쓰라고 한다. “아빤 써? 엄만 나만 할 때 썼어?”라고 아이가 되바라지게 묻기라도 하면 어른들은 얼굴을 붉히며 “글쎄, 까마득한 옛날 일이라서…”라고 얼버무리고 만다. 아이들은 ‘아무튼’ 쓰기 시작한다.
 
2005년 1월 25일. 맑음?
둥근 해가 떴습니다 자리에서 일어나서 제일 먼저 이를 닦자 윗니 아래 이 닦자. 세수 할 때는 깨끗이 이쪽 저쪽 목 닦고 머리 빗고 옷을 입고 거울을 봅니다. 꼭꼭 씹어 밥을 먹고 가방 메고 인사하고 씩씩하게 학교에 갑니다. 이상
 
이들의 일기는 매일 날짜만 다를 뿐 천편일률적인 내용의 반복으로 하루하루의 대단원을 마감하고, 일기를 ‘썼나 안 썼나’가 관건인 부모들은 아이들의 일기장 수가 다음 장으로 넘어간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하루의 일기 쓰기 교육을 종료한다. 이들의 일기 속에는 위의 동요에서와 같이 건조한 사실의 반복 외에 더 이상의 진지하거나 솔직하거나 감동적인 이야기는 없다.

아이들의 일기가 무의미한 일상의 반복으로 전락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른들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첫째, 아이들의 나이를 고려해 일기 쓰기 지도를 해야 한다. 초등학교 1학년 아이에게 단순한 사실의 배열을 넘어 정서적인 면까지 포함해 쓰라고 하면 말로 이해시키는데 시간이 더 든다. 아이의 물리적,·지적 수준의 발달과 함께 일기 쓰기의 방식이나 형태도 달라져야 한다. 나이와 더불어 일기의 내용도 성숙해져야 한다는 말이다. 처음에는 ‘둥근 해가 떴다’로 시작한 아이의 일기가 해를 거듭해가면서 일상의 사건에 대해 특정한 관점으로 깊어져야 한다. 한 두 마디가 고작이었던 한 사물에 대한 관찰이 한 장을 써도 모자랄 만큼 소상해져야 한다. 이런 관찰과 숙고의 과정을 거쳐 사물에 대한 견해가 생기고 자신에 대한 재발견을 하게 된다. 어느 힙합 가수의 노래가사처럼, ‘간절하게 써 내려가는 이 일기장 속엔 내 행복, 믿음, 그리고 영원만이 존재해’라고 진실 어린 고백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작은 아씨들’로 유명한 루이자 메이 알코트는 이런 일기 덕을 톡톡히 봤다. 아래는 당시 열 살짜리 꿈 많은 소녀 루이자가 쓴 일기의 한쪽이다.

『Thurs. 14th,1843-Mr. Parker Pillsburry came, and we talked about the poor slaves. I had a music lesson with Miss. P. I hate her, she is so fussy. I ran in the wind and played be a horse, and had a lovely time in the woods with Anna and Lizzie. We were fairies, and made gowns and paper wings. I “flied” the highest of all. (1843년 14일 목요일- 파커 필즈버리 아저씨가 와서 우리는 가난한 흑인 노예들에 대해 이야기했다. 나는 피(P) 선생님으로부터 음악 수업을 받았는데 그녀가 너무 깐깐해 정말 싫었다. 나는 바람 속으로 달려가 말놀이를 했다. 아나와 리지하고 숲에서 정말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 우리는 전부 요정이 됐다. 종이로 날개 달린 가운도 만들었다. 나는 그 중에서 가장 높이 날았다.)』

미국 보스톤 근처의 실험적인 집단농장에서 살았던 루이자는 어린 시절의 추억을 일기라는 기록으로 소상히 남겼다. 35세가 되어 전문 작가로 활동하면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던 루이자는 어느 날 한 출판사로부터 “여자아이들을 위한 책을 써보겠냐”는 뜻밖의 제안을 받는다. ‘누가 그런 책을 읽어줄까?’ 반신반의하면서도 그녀는 쓰기 시작했고 훗날 ‘작은 아씨들’이라는 세계적인 명작을 완성했다. 그녀는 유명해졌고, 결국 가난에서 벗어났다. 어릴 적 일기를 바탕으로 섬세하고 생생한 가족 이야기를 재탄생 시킨 ‘작은 아씨들’은, 직접 쓰는 데는 불과 여덟 달 밖에 걸리지 않았지만 사실은 루이자가 어린 시절 일기를 통해 평생을 써왔던 것이다.

두 번째로, 일기의 형태가 다양해야 한다. 일기하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선입견이, 날짜가 가장 중요하고 그날의 가장 중요한 사건을 기록하는 것 정도이다. 일기는 시간대의 흐름대로 기술하는 사실적 기록에 불과한 걸까? 대부분의 아이들이 일기 쓰기를 주저하는 이유는 이런 범주를 벗어나지 못해서이다. 고작 몇 마디 오늘 한 일을 적고 나면 더 이상 할 말이 없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더 이상 발전하면 의미 없는 낙서가 된다. 정 할 말이 없으면 ‘Monday(월요일). Stared at the wall(벽을 쳐다봤다). Scratched my head(머리를 긁었다).’ 혹은 ‘Tuesday(화요일). Did 5 sit-ups(팔 굽혀 펴기를 다섯 번 했다). Can’t breathe(숨을 쉴 수 없었다).’ 정도만 써라. 단, 솔직하게! 일기의 가장 큰 장점은 공개나 검토나 평가되지 않는다는 전제가 있다는 것이다. 그 무엇으로부터도 자유할 수 있다. 낙서를 할 수도 있고, 노래를 적을 수도 있고, 스크랩을 할 수도 있다. 여행 소감을 적을 수도 있고, 담임 선생 흉도 볼 수 있고, 친구와 첫 사랑을 시로 표현할 수도 있고, 장래의 희망을 적어 놓을 수도 있다. 문법이 틀려도 되고 논리가 맞지 않아도 된다. 일기는 자기만의 공간이요, 자기만의 창작 공간이기 때문이다. 이런 어마어마한 표현의 자유를 손가락 두 개와 한 장의 종이와 연필만으로 누릴 수 있다는 것은 정말 위대하지 않을까?

세 번째는, 일기 쓰기는 정해진 시간이 필요없다는 것이다. 일기하면 떠오르는 것은 침대와 밤이다. 엄마가 잠 자라고 불을 꺼주면 몰래 불을 다시 켜고 혼자 키득키득 웃으면 적은 일기. 그것만이 일기는 아니다. 작곡가가 악상이 떠오르면 바로 오선지에 옮기듯이, 발명가가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바로 메모를 하듯이 기록으로서의 일기는 정해진 시간이 없다. 동네 다방에서 커피를 마시다가 힐끗 훔쳐본 옆 좌석의 남녀에 대해 적을 수도 있고, 길거리의 거지를 보며 세상의 빈곤에 대해서 적어볼 수도 있다. ‘나’라는 위인의 하루를 잠자기 전 10분의 ‘개략(槪略)’으로 마감하는 것은 너무 슬프다. 이런 면에서 일기장이 ‘팬시(fancy)’하고 ‘걸리(girly)’할 필요는 없다. 손에 들고 다니기 가장 편리한 메모지의 형태일 수도 있고, 손바닥만한 팜(Palm) 일수도 있다.

일기는 다큐멘터리가 아니다. 일기는 단순한 에세이 훈련도 아니다. 일기는 창작이고, 창작에서도 한 차원 높은 ‘창의적 비소설(Creative Non-fiction)’이다. 사실적 기록을 바탕으로 하되 작가의 상상과 창의가 가미되어 새로운 장르의 창작이 되는 것이다. 나이에 따라 성숙해지는 일기의 구성과 내용, 형식에 구애 받지 않는 표현의 자유, 세상에 대한 기록을 일정 시간대에 국한시키지 않는 포괄적이고도 개방적인 접근. 이런 일기의 말로 다 못할 위대함을 오늘도 부모의 강제에 할 수 없이 ‘둥근 해가 떴다 지고 마는’ 뻔한 하루의 기록으로 남기고 곤히 잠에 드는 많은 청소년에게 어떻게 전해줄 수 있을까?

다행히 나와 공감하는 북미의 작가들이 세가지 저널 책을 냈다. 이 책들이 아이들에게 일기의 세계가 얼마나 다양하고 재미있는지 길라잡이가 되어주길 희망한다.

● The Young Writers Companion(Sarah Ellis)

 

 

 

● The Aspiring Writers Journal(Susie Morgenstern)
● Cathys Book (Stewart/Weisman/Brigg)

박준형
어린이를 위한 창의적 글쓰기 사회 설립자 겸 저자
cwc2004_1@hotmail.com
(778) 233-2310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경복궁(리치몬드)
밴쿠버 공항이 있는 리치몬드에 위치한 ‘경복궁’은 밴쿠버에서 여러모로 주목 받는 식당이다. 200평에 달하는 넓은 면적과 물속에서 가라앉는 목재
설날을 맞은 18일, 서광사 청소년 사물놀이팀 '두레패'는 차이나타운 소재 인터내셔널 빌리지에서 우리 전통가락 '3도 농악가락'을 선보였다.  18일 차이나타운 인터내셔널 빌리지에서 열린 서광사 두레패 사물놀이 공연을 관람하고 있는 많은 시민들. 한창현...
설날을 맞아 코퀴틀람 헨더슨 몰에서는 17일 중국전통 사자춤(舞獅, 중국어로 '우시') 공연이 열렸다. 중국인들은 설날 녹색 채소와 함께 붉은 봉투에 돈을 넣어 상점 앞에 걸어두고 사자들이 이를 먹는 것을 재현한다. 이를 '초이창'이라고 부르는데 이 때 사자춤을...
리치몬드 성매매업소에서 검거된 6명의 한국여성이 추방됐다(본지 2월 17일자 A3면 보도 참조). 경찰 합동수사팀은 지난 8일, 압수 수색영장을 발부 받아 3곳의 성매매 의심 업소를 급습하고 모두 14명을 붙잡았다. 경찰은 리치몬드 소재 한 가정집에서 남자...
한인사회 저력 확인한 '한인 설날 축제'
한인 1.5세와 2세들의 모임 C3에서 준비한 '한인 설날 축제' 한마....
BC 정계에 부는 자정 노력
선거에서 자신을 이긴 상대방을 '감자 머리'에 비유해 이메일을 보낸 BC주 신민당(NDP) 당직자가 당으로부터 징계를 받았다. 신민당 당원 홍보담당 마이크 핸슨씨는 2005년 5월 BC주선거에서 캠룹스-노스 톰슨 선거구에 출마했다가 자유당 케빈 크루거 후보에게...
가짜 신분증 사용한 미성년자도 벌금
BC주정부가 미성년자에게 술을 판매한 주점과 주류 판매점에 대한 처벌 규정을 강화한다. 존 레스 BC 법무부 장관은 "미성년자 음주는 성 폭행, 교통 사고, 폭력 사고 등 비극적 결말을 초래할 수 있다"며 "미성년자에 대한 주류 판매 단속을 강화하는 것은 치안...
떡에서는 겨울냄새가, 새해 냄새가 느껴진다 창의적이다 못해 도발적인 요리사 이현자 주부(노스밴쿠버 거주)
한끼로도 충분한 대표적인 국민간식 떡. 베이커리 못지않게...
객실당 1만5000달러로
밴쿠버 시내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주민들이 이용하는 주거용 호텔 1인 객실(SRO)이 재개발로 인해 계속 줄어들자 밴쿠버 시의회가 재개발 억제를 위해 소유주에게 부과하는 재개발 신청비를 객실당 5000달러에서 1만5000달러로 3배 인상했다. 그러나 사회보장주택...
지난 해 35만6000건
캐나다 직장에서 폭력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통계청은 2004년 발생한 폭력사건 5건 중 1건이 직장에서 발생했으며 특히 신체적 폭행 사건 발생 빈도가 높다고 지적했다. 통계청은 물리적 폭행, 성폭행과 강도 3가지로 구분되는...
은퇴자들이 사는 법(7) BC주의 유언장 제도 분배에 1년 이상 걸릴 수도...법률 비용도 늘어나
사회계약을 바탕으로 발전해온 영어권 사회에는 '유언장'(will)을 작성하지 않고 사망한 사람'을 지칭하는 'intestate'란 단어가 따로 있을 정도로 서류 형태의 유언장 작성을 중시하고 있다. BC주 유언법(Wills Act)에 따르면 유언은 반드시 문서화되어야 하고...
예산부족을 호소하고 있는 밴쿠버 아일랜드 보건청이 의료진을 대상으로 '깨끗하게 손 씻는 법 강좌'에 예산 13만달러를 사용하기로 해 빈축을 사고 있다. 보건청에 따르면 손씻기 강좌 전문가 7명이 밴쿠버 아일랜드 각 병원을 2개월간 순회하며 "효과적인 비누...
선픽스· 킥킹 호스 등 개발 추진 한창 베이비 부머· 美 투자자 유치 겨냥
BC주 남동부 지역 1번 고속도로를 따라 자리잡고 있는 스키장들이 리조트로 도약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캠룹스에 위치한 선픽스(Sun Peaks) 리조트와 골든에 위치한 킥킹 호스 마운틴(Kicking Horse Mountain) 리조트. 이중 개발이 적지않게 진행된 선픽스는...
주정부, 에너지업계 취업 장려
BC주정부가 인력난을 겪고 있는 석유 및 천연가스 업계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에 100만달러를 지원한다. 리차드 뉴펠드 BC주 에너지 장관은 15일 "이민자 기술자, 원주민, 고등학교 학생 등이 직업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석유나 천연가스 업계에 취업 할 수 있도록...
23일-25일 그랜빌 아일랜드
밴쿠버의 겨울 보내기 축제인 '윈터럽션(Winterruption)' 페스티발이 그랜빌 아일랜드에서 2월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열린다. 이번 축제는 23일 정오부터 시작되며 음악, 연극, 코미디 공연를 비롯해 다양한 활동과 짧은 배움을 얻을 수 있는 워크숍, 어린이들과 함께...
위시 밴쿠버, 23일 무료 세미나
전문직 인턴십 및 리쿠르트 전문업체인 위시 밴쿠버(사장 이현민)가 IT 기술을 갖고 있는 이민자들의 취업 지원을 위한 '하이어 인턴 프로젝트(Hire Intern Project)'를 개발해 이 달부터 운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위시 밴쿠버 이현민 사장은 "IT인력 수요가 2~3년 전보다...
경찰, 40대 중국계 여성 포주 체포 한국 여성 두고 성매매 시설 운영
밴쿠버 시경과 리치몬드 관할 연방경찰(RCMP)은 "리치몬드에서 한국계 여성들을 이용해 불법 매춘 시설을 운영해온 제 나이 수(Zhe Nai Xu, 42세)씨를 체포하고 이 업소에서 일했던 22세에서 32세 사이 한국인 여성들은 한국으로 돌려보낼 방침"이라고 발표했다. 경찰에...
밴쿠버시 19일 축하 행사
설날을 맞이해 밴쿠버시가 2007 음력설 축하행사(Lunar New Year 2007)를 19일 낮 12시 30분 밴쿠버 시청에서 개최한다. 밴쿠버시측은 샘 설리반 시장과 시의회가 보내는 초청장에 설날을 중국설(Chinese New Year) 대신 음력설(Lunar New Year)로 표기하고 영어와 중국어는 물론...
Happy New Year 2007.02.15 (목)
by Yonah Martin On behalf of C3 Society's board of directors, executive staff, members and volunteers, it is with great pleasure that I wish all of you a happy and successful lunar new year.As a proud Korean Canadian who embraces her cultural heritage, I am delighted the community is coming together on Friday, Feb. 16 to mark the start of the...
"제 생각엔 세상의 많은 것들이 다 연결되어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학교에서는 왜 언어, 수학, 과학 이렇게 많은 과목으로 나눠놓았는지 이해가 안가요." 한 영재 아이의 질문이다. 한 아이의 질문이기는 하지만 날카롭고도 정확한 시각이다. 최근 교육학이...
 1481  1482  1483  1484  1485  1486  1487  1488  1489  1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