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삶의 평안을 위해서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1-04 00:00

"심령의 치료자 하나님"이란 책에 이런 일화가 있다. 어느 날 목사에게 큰 회사의 사장이 찾아왔다. 그는 사장으로서 겉으로 화려하고 멋진 인생을 사는 것 같았으나 실상 행복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경쟁 회사와의 보이지 않는 경쟁 때문에 불안, 초조, 긴장이 자신을 괴롭혔고 한 순간도 편히 쉬지 못하는 긴장의 연속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병명을 모르는 병에 걸리게 되었고 그의 주치의가 백방으로 치료해 보았지만 허사였다. 담당 의사기 마지막으로 사장에게 찰스 알렌 목사와 상담해보라고 권해서 목사를 찾아왔다는 것이다. 오랜 상담 후에 알렌 목사는 그에게 약을 지어 주며 처방 주문을 철저하게 지키도록 했다. 사장이 집에 가서 약을 꺼내보니 약봉지 속에 구약 시편 23편이 있었다. 그 사장은 주문대로 일주일 동안 하루 다섯 번씩, 아침, 아침 식사 후, 점심 식사 후, 저녁 식사 후, 그리고 자기 전에 23편을 펴 들고 꿇어앉아 복용했다. 얼마 안 가서 '마음의 '평안'이 찾아왔다고 사장은 고백한다.

능력 있어서 돈 많이 벌고 유명해지면 "행복"할 것 같은데 인생이란 아이러니하게도 그렇지 않을 확률과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일반적으로 모든 종교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우리들이 느끼는 행복은 대부분 "순간적"이고 지극히 주관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들은 순간의 "만족"을 위해서 자기 삶의 중요한 것들을 간과하거나 잊어버린다는 것이다. 인간들이 평생 찾아 헤매고 돌아다니는 삶의 "절대적"인 행복은 돈과 명예 같은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잊어버린 자신의 발견에서부터 시작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모든 것을 얻어서 정말 "행복"하게 살수 있을 것 같은 사장은 자신의 삶에 평안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자신이 세상에서 가장 불행한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 삶에 평안이 없는 사람은 고대광실에서 이 세상에서 제일 멋진 사람과 매일 진수성찬을 먹어도 절대로 행복하지 못한 것 같다.

지금도 현지 사정을 잘 모르는 한국에 계시는 분들은 일반적으로 캐나다, 미국으로 이민 온 사람들을 운 좋은 사람들이라고 생각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몇몇 "성공한" 사람을 빼놓고는 대부분의 이민자들의 삶은 참으로 힘들고 어렵다. 그들을 가장 불행하게 만들어가는 것이 삶에 대한 "불안"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삶에 대한 막연한 불안은 이민자에게만 속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언어와 문화가 전혀 다른 삶 속에는 막연한 삶의 불안과 더불어 피부로 느끼는 아주 구체적인 불안들이 있다. 예를 들면 성공적인 이민정착을 위해서 어디에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자녀 교육은 어떻게 해야 할지 등 아무런 대책 없는 이민자들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불안들은 세월이 가면서 줄어들어 가는 것 같지만 사실은 본질상 달라진 것은 별로 없다고 본다.

이민 와서 경제적으로 성공해 보려고 제대로 쉬지도 못하고 온갖 궂은일을 다해서 겨우 먹고 살만하면, 자녀들은 어느새 한국인도 아니고 "캐나다인"도 아닌 "바나나인" 되어있다. 불쌍한 우리 한국계 "바나나인"은 부모들의 경제적 "성공"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생긴 사회적 병리 현상이고 이민자들의 아픈 현실이다. 대부분의 이민자들은 어린 자녀들을 가정에서 정성을 다해 교육하지 못하고 여건상 오랫동안 "방치"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방치한 교육의 결과는 부모의 기대치에 많이 모자를 뿐만 아니라 자녀들의 불투명한 미래 때문에 부모들을 더욱더 불안하게 하는 것이다. "나의 자녀가 이 곳에서 자신의 삶을 어떻게 영위해 나갈까?" 하는 불안이 이민자들을 결코 평안하게 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도 대학을 졸업해서 전문직을 찾아나가는 자녀들을 둔 1세 부모들은 평안함을 느낄 줄 모르지만 그들 역시 자신들이 처해있는 또 다른 현실의 불안 속에 살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들 삶 속에 끊임없이 일어나는 "불안"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하는가? 앞에서 언급한 성공한 사장은 자신이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정확하게 구별하지 못했을 때 불안했고, 그래서 자신에게 주어진 많은 것을 즐기지 못했던 것이다. 구약의 시편 23편을 처방대로 "복용"하면서 그는 자신이 누구이고 행복한 삶을 위해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알게 됐다. 우리 주변에는 종교 생활하는 사람들이 무척이나 많은데 그들의 현실의 삶과 믿음의 현주소에는 어딘지 모르게 많은 차이가 있어 보인다. 진정한 삶의 행복은 어떤 조건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누구인지 그리고 자신이 살고 있는 삶이 무엇이며, 그것들을 창조주, 신을 통해 어떻게 조화롭게 이루어 나갈 수 있느냐 하는 것에 달려있다. 현실이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 만일 우리가 그 사장의 고백처럼 자신도 모르게 푸른 초장 위에 누울 수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