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치어리더, 나도 될 수 있다-치어리딩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6-12-21 00:00

리더십과 협동심 기를 수 있어 북미 고등학교와 대학마다 팀 활동

◇ 3개의 스턴트 그룹이 피라미드를 만들고 있다. 3명의 탑과 각 스턴트마다 베이스 2명, 써드 1명, 프런트 1명을 볼 수 있다.

치어리더. 먼저‘치어리더’라는 말을 듣는 순간 대부분의 사람들은 영화에서 자주 나오는 치어리더의 이미지를 떠올릴 것이다.‘짧은 치마의 유니폼에 공중 묘기를 하며 경기를 응원하는 댄스팀’이 대부분 사람들이 생각하는 치어리더의 이미지이다. 그러나 캐나다의 치어리딩은 고등학교 운동(Varsity) 종목의 하나로써, 열심히 하면 유연성과 근력을 길러줄 뿐만 아니라 리더십과 팀워크까지 기를 수 있다. 또한 미국 대학들의 경우 입학시 치어리딩 활동경력에 높은 점수를 준다고 한다. 그럼 치어리더팀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어떻게 참여 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각 학교마다 약간 다르지만 대부분의 학교들은 트라이아웃(Try Out)날이 있다. 트라이아웃은 학교 운동(Varsity)팀에 들어가기 위해 평가 받는 것을 뜻한다. 트라이아웃은 각 운동 종목마다 다르며, 대부분 공식적인 트라이아웃은 학년초와 학년말에 진행된다.

트라이아웃을 하는 곳은 대부분 팀 운동 클럽이기 때문에, 인원의 필요에 따라 비공식 트라이아웃도 가끔 있다. 트라이아웃 날짜는 방송이나, 게시판, 그리고 학교 홈페이지 등을 통해 알려지므로 관심을 갖고 확인해야 한다. 치어리딩 팀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보통 유연성, 물구나무서기, 팔 굽혀 펴기, 윗몸 일으키기, 댄스, 점프, 달리기, 지구력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야 팀에 들어갈 수 있다.

김소진 인턴기자 (Kitsilano Secondary 12년) orange_kiss1@hotmail.com

치어리딩 포지션

1) Flyer/ Top: 탑은 공중이나 베이스 위에 서서 하는 치어리더를 일컬으며, 대부분 체구가 작고 가벼운 선수가 올라가게 된다. 공중 묘기를 할 경우 4미터, 5미터, 심지어 남자들이 밑을 받칠 경우에는 6미터까지 올라가므로 밸런스뿐만 아니라 순발력과 유연성도 뛰어나야 한다.

2) The Base: 베이스는 탑을 올리고, 받치고, 던지고, 받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는 왼쪽, 오른쪽 양 옆에 한 명씩 위치하고 있으며, 탑을 올릴 때에 평형이 중요하므로 양쪽 선수 키가 비슷해야 한다. 베이스는 탑을 손으로 지탱하고 있어야 하므로 팔, 팔목, 다리가 강해야 하며 지구력이 요구된다.

3) The Third: 써드는 베이스를 도와 탑을 올리고, 받치고, 던지고, 그리고 받는데 있어서 빠져서는 안 되는 포지션이다. 써드는 대부분 뒤에 위치하고 있으며, 탑이 위에서 균형을 잘 맞추도록 도와주며, 탑이 뒤로 떨어지지 않도록 안전성을 증가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다. 써드는 탑의 밸런스를 도와주는 선수이므로 대부분이 키가 큰 선수들이 배치된다. 써드 역시 베이스와 함께 지지대 역할을 하므로 힘과 지구력이 많이 요구된다.

4) The Front: 프런트는 베이스와 써드를 도와 앞에서 올리고 받는 역할을 한다. 어려운 스턴트나 탑을 높이 던져야 하는 스턴트는 힘이 많이 요구 되므로 프런트가 필요하지만, 많은 경우 프런트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대신, 프런트가 있을 경우 탑이 앞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탱해 주므로, 안전성을 더해준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