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1차 대전 참전용사 장례 國葬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6-11-22 00:00

21일 캐나다하원 만장일치 통과

캐나다 정부는 생존하고 있는 1차 대전 참전용사 3명이 작고할 경우 장례식을 국장(國葬)으로 치르기로 결정했다.
 
21일, 캐나다 하원은 신민당(NDP)이 제출한 참전용사 국장 동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제 1차 세계대전 기간(1914~1918)중 캐나다 군은 61만9636명이 참전했다. 현재까지 살아 있는 1차 대전 참전용사는 로이드 클레멧(Lloyd Clemett, 106세), 존 뱁콕(John Babcock, 106세), 드윗 윌슨(Dwight Wilson, 105세) 등 3명이다.
 
국장(State funeral)은 정부가 특정 개인에게 베풀 수 있는 가장 영예로운 행사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국장은 전현직 총독이나 총리, 또는 정부 고위직 인사에 국한되어 왔다. 이에 따라 글로브 앤 메일 등 주요신문은 사설을 통해 참전용사의 경우 예외를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본지 11월 7일자 '사설로 보는 세상' 참조)
 
또, 호주는 갈리포리 작전(Gallipoli campaign) 최후 생존자의 장례를 국장으로 치렀다. 영국은 국장까지는 아니지만 상당한 예우를 갖춘 국민장(National memorial service)을 거행할 예정이다.
 
국장처리 논의는 국책 기관인 도미니언 연구소(the Dominion Institute)에서 온라인 청원을 시작하면서 시작됐다. 도미니언 연구소의 청원운동에는 약 10만명이 서명했다. 루드야드 그리피스 도미니언 연구소장은 "청원운동에 동참한 많은 국민들에게 감사를 드린다"면서 "참전용사의 숭고한 희생을 마음속 깊이 새기자"고 말했다.

하지만 마지막 생존자의 한 사람인 존 뱁콕 옹은 국장을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한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개인적으로는 영광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전투현장에 파병되지도 않았으며 대기 중간에 전쟁이 끝났다"며 국장을 거부했다.
 
뱁콕 옹은 60여년전 미국 시민권자가 되었으며 현재 워싱턴주에 살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미국 시민권자를 위해 캐나다가 국장까지 치러야 하느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