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오늘이 가장 젊은 날이다.

아청 박혜정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8-12-14 16:57

아청 박혜정 /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회원
추수감사절에 시애틀에 사는 큰 딸에게 다녀왔다. 딸이 추수감사절에는 터키를 구워 놓고 초대를 해서 기특한 마음으로 다녀온다. 갈 때마다 드는 생각인데 국경을 접한 미국과는 화폐도 통일하고, 미국 최대명절이라는 추수감사절도 같은 때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딸에게 “캐나다와 맞추어서 10월에 추수감사절을 하면 좋겠다.”그랬더니 “아뇨, 11월이 더 좋아요.” 라고 한다. 이유인 즉 “10월에는 할로윈, 11월에는 추수감사절, 12월에는 크리스마스 장식으로 매월 집안 장식이 바뀌는데, 캐나다처럼 10월이 추수감사절이면 집안 장식이 겹쳐서 안 좋아요. 오늘 추수감사절 만찬을 하고, 내일은 바로 크리스마스 장식으로 바꿀 거예요.”

다음 날 아침 “사람들이 독일 마을이 좋다는데 가보면 어떨까?” “그럼 트리를 할 나무를 사러 그 동네에 가까운 곳에 들러서 올게요.” 나는 독일 마을이 I-5근처 어디쯤에 있는 줄 알았다. 알고 보니 I-5 고속도로에서 2시간정도를 동쪽으로 가는 곳에 있단다. 이젠 크리스마스트리 장식도 하기가 점점 귀찮아지는데 나무까지 사러 간다니 엄두가 나지 않았다. 물론 내가 하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때 같으면 “나무를 사러 2시간이나 간다고?” 하지만 처음 해 보는 것이고 독일 마을도 가고 하루라도 더 늙어지면 그 또한 더 귀찮아 질 것 같아서 따라 나섰다.

홈디포에 들려 톱을 사고 차위에 나무를 묶을 끈도 구해서 길을 나섰다. 전 날 잠을 설쳤더니 너무 졸려서 깜빡 자고 일어나보니 눈으로 뒤덮인 산길을 꼬불꼬불 지나가고 있었다. 갑자기 겨울왕국에 들어와 있는 것 같았다. 그 곳을 지나 나무를 자르는 허가증을 산 후 숲 속에서 트리하기에 멋진 나무를 찾아다녔다. 그 숲에서는 별로 마땅한 것이 없어서 다시 길 쪽으로 조금 이동을 하다가 마음에 드는 나무를 발견하고 잠시 정차를 했다. 톱이 잘 드는지 그냥 쓱 하고 잘라서 금방 구해왔다. 차위에 나무를 싣고 겨울 왕국을 빠져나와 독일 마을로 향했다.

독일마을이 지도에도 그렇게 나와 있는 줄 알았더니 원래 명칭은 레벤워스(Leaven Worth)였다. 온통 마을이 크리스마스트리로 장식되어있었다. Christmas Lighting Festival이 유명하다. 또 그 외에도 많은 페스티발이 연중 준비되어있으니 미리 정보를 찾아보고 가면 좋을 것 같다. 그리고 그곳은 시애틀보다 기온이 낮기 때문에 매우 춥고 눈이 많다. 작년에는 눈이 많이 와서 아이들이 썰매도 탔다던데 올해는 별로 눈이 없어서 싣고 간 썰매는 그냥 차에서 자리만 차지하고 다시 가지고 왔다.

지난번에 우리 애가 그곳을 갔었을 때는 주차할 곳도 없고 사람에 밀려 걷기도 힘들었다고 했는데, 이번에는 추수감사절 마지막 날이고 일요일 저녁이라 그런지 그렇게 사람이 많지 않았다. 길이 막힐 때는 4-5시간도 걸린다고 했다. 하여튼 감사하게도 편히 다닐 수 있었다. 딸이 마차를 타자고 했다. 마차도 온통 크리스마스 장식에다 심지어 말까지도 꼬리에 크리스마스 장식을 달았다. 말을 타는 것이 별 거 없을 것 같아서 다른 관광지에서도 타지 않았지만, 이번에도 역시 ‘YES!" 생각보다 추웠지만 마차에서 주는 담요를 덮으니 마술처럼 따뜻했다.

저녁으로 무엇을 먹을까하고 인터넷을 검색해 보니 그곳에서 유명한 것이 소시지와 맥주라고 했다. 그래서 소시지와 전통 음식을 시켰는데 돈가스가 나왔다. 돈가스는 일본 음식이라고 생각했는데…. 궁금해서 찾아보니 돈가스의 원조가 독일이라는 것에 놀랐다. 포크커틀릿이라고 불리는 것인데 이것은 기름에 튀기지 않고 소량의 기름으로 지져내는데 이것을 일본이 근대화되는 과정에서 점점 일본식으로 변하면서 돈가스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시킨 것 중 다른 것은 입맛에 맞지 않아 먹기가 힘들었지만 다행이도 내가 좋아하는 돈가스가 나와서 그것에 정을 붙여가며 먹었다. 집으로 가려는데 누가 똑똑 차 문을 노크했다. 차위의 나무를 반대 방향으로 실었다고 했다. 그렇게 가면 가지가 다 부러진다고 했다. 생각과는 다르게 나무 위가 차 뒤쪽을 향해야 한다. 알려줘서 고맙다고 인사를 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바람을 잘 받고 와서인지 나뭇가지가 멋지게 되어 장식을 매달기에 적당하게 되었다.

요즘에는 높은 산에 가자고 하면 일단 ‘갈까 말까? 내가 잘 갈 수 있을까?’ 걱정이 된다. 하지만 내일은 오늘보다 하루 더 늙어지니까 오늘 못 올라가면 내일은 더 갈 수 없다는 마음으로 전보다 더 쉽게 결정을 하게 된다. 나이가 들수록 점점 자신 없는 일들이 많아진다. 물론 몸이 따라주지 않아서 일수도 있지만…. 그럴수록 더욱 용기를 내서 오늘이 가장 젊은 날이라는 생각으로 하고 싶었던 일들을 해 보면 좋겠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반가부좌를 틀고 바다와 마주 앉으면 마음 안쪽에도 수평선이 그어진다. 수평 구도가 주는안도감 덕분인가. 흐린 하늘에 부유하는 각다귀 떼 같은 상념들이 수면 아래 잠잠히내려앉는다. 바다빛깔이 순간순간 바뀐다. 이 바닷가 어디쯤에 창 넓은 집 하나 지어 살고싶다는 내 말에 섬에서 태어난 토박이 지인이 웃었다. 바다를 노상 보라볼 필요는없어요. 생각날 때 고개를 넘어 달려가 안겨야 애인이지 같이 살면 마누라가되어버리잖아요. 그럴...
최민자 
젊은 날 최전방 백암산 중턱에서 만난 불에 탄 주목과 구상나무의 그루터기들, 살아 천년죽어서 천 년을 버텨오며 옹골찬 기개로, 선 굵은 삶을 살았던 주목과 구상나무에게서 늘푸름과 꼿꼿함을 배운다. 전쟁의 포연 속에 육신을 불태웠어도, 꿈틀거리며 밀려오는 혹독한 칼바람에도, 자신을이겨내고 그루터기로 살아남은 홀연한 기개, 세상의 어느 누구도 뿌리로 이어지는 강인한삶의 의지를 꺾지는 못하였으리라. 다시 덕유산 향적봉에서...
이상목
이슬비는 2025.04.11 (금)
봄을 머금은 이슬비는 아기 숨소리보다 조용히세상을 어루만집니다 보드라운 손길로민들레 얼굴을 씻기고가로수 조막손 살며시 펴게 합니다 늦잠 자는 꽃망울가만가만 깨우며서두르지도성내지도 투덜거리지도 않습니다 풍경을 부둥켜안는 이슬비는 괜찮다 괜찮다 다독이시던어머니의 속울음입니다.
임현숙
브레넌의 죽음 2025.04.11 (금)
“아이고 우리 딸이 너무 바빠서 먼지도 못 닦고 다니는구나!”   딸의 차 운전대 위에 하얀 눈처럼 먼지가 쌓여 있었다.   "엄마! 그거 건드리지  마! 아직 브레넌 털이 남아 있어, 그냥 놔둬. 엄마, 플리스."  딸의 목소리는 울음을 삼킨 듯 떨렸다.  브레넌이 떠난 지 벌써 반년도 넘었는데 ...  "아직은 아냐. 좀 더 있다가 닦을게. 지금은 그냥 놔둬."  나는 더 이상 할 말을 잃었다.    지난 여름 방학을 며칠 남겨...
김춘희
그대 뒷모습 2025.04.11 (금)
서녘 하늘에 별이 돋는다. 마음이 잔잔해야 보이는 초저녁별, 실눈을 뜨고 별 속에 아는 얼굴이있나 찾아본다.지난겨울에는 눈이 자주 많이 내렸다. 눈이 내릴 때마다 우리나라 문화계의 큰 별들이 떨어졌다.미당 선생이 떠나시고 얼마 후, 온종일 눈이 내리던 날 정채봉 선생이 눈 나라로 가셨다. 이어 운보선생도 떠나셨다. 그 뒤로는 겨우내 하늘이 낮게 내려앉으면 또 누가 떠나실라 겁이 났다. 이윽고 건너다본 커다란 눈, 그 웃음 뒤에 끝 모를...
반숙자
별(星)의 집 2025.04.11 (금)
산그늘 아래 조가비 같은 오두막 한 채저녁 밥물 끓는 소리 도랑물처럼 흐르고굴뚝 연기 아스라이 어스름을 몰고 오는데박꽃처럼 허리 휜 어머니가정짓간 문턱을 넘나듭니다사립문을 건너온 초저녁 별들이초롱불처럼 처마 끝에 깃을 내리면비탈 밭에서 달빛을 지고 돌아오시는 아버지,실루엣 같이 구부정한 아버지의 뒷모습도달빛처럼 환해집니다아이들 글 읽는 소리마저 아득히 사라지고고요가 홀로 내려앉아 졸고 있는 집,곤한 어머니 아버지의...
이영춘
4월 2025.04.04 (금)
꽃이 피려면아직4월에 머물러야 합니다집채 만 한 겨울을조금 더 이겨내야 합니다등 시린 우리의 견뎌냄은기대라는 버팀목으로조금 더 꾹꾹 눌러야 합니다 누구는 성급한 입김으로냉골에 봄을 불어대고쇼윈도 실루엣을짧은 차림으로 갈아 치웁니다 꽃이 피려면당신의 4월이 익어야 합니다기다려 크는 열매가차가운 기억을 쓸어낸 적 있잖아요냉동실에 익숙한 가슴앓이라면자꾸 꺼내 묵상하지 말아요상처 입기 쉬운 곳에숨쉬기 쉬울 만큼...
김경래
   햇살이 따뜻하다. 오랜만에 느껴보는 온기가 차가운 피부를 어루만진다. 겨울의 매서운 바람이 물러간 자리에는 포근한 기운이 스며든다. 겨울잠에서 막 깨어난 듯, 굳어 있던 몸을 천천히 늘여 본다. 산기슭에 머문 햇살 아래로 안개처럼 흰 연기가 피어오르고, 물기를 머금은 흙에서는 희미한 풀 냄새가 올라온다. 얼어있던 강물이 졸졸 흐르기 시작하고, 바람은 나뭇가지를 가볍게 흔든다. 새가 가지를 툭 치며 날아오르고, 어딘가에서는...
허정희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광고문의
ad@vanchosun.com
Tel. 604-877-1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