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한국어를 따로 배워야 할까

김해영 시인 haeyoung55@hotmail.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2-07-27 16:20

현재 밴쿠버에는 몇 개의 한국어 학교가 주말(토요일)에 운영된다. 일주일 동안 열심히 학교/직장에 다니다가 토요일 새벽같이 일어나 학교에 와서 한국어 공부를 하고 정오쯤 귀가를 한다. 학생과 부모 똑같이 힘들다.

왜 그럴까? http://careers-in-business.com/hr.htmhttp://careers-in-business.com/hr.htm우물우물 한국말 잘 하는 애들인데 느긋한 주말을 즐기지도 못하게 이리 성화를 부릴까? 한국어를 학교까지 가서 굳이 배워야 할 필요가 있을까? 있다. 한국인인 이상 반드시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받아야 한다.

사람에게 인격이 있듯이 언어에도 품격이 있다. 동물의 세계에서는 울부짖음이 의사소통의 수단이 된다. 곤충의 세계에서는 날갯짓과 몸짓으로 소통을 한다. 그러나 만물의 영장인 인간은 언어로써 소통뿐만이 아니라 정보와 정서 교환, 사회활동 및 문화활동을 유지해 왔다.인간이 오늘날처럼 문명생활을 누리게 된 데에는 바로 이 언어의 덕택이 크다 하겠다. 언어로 시공간을 초월하여 지식과 경험을 축적, 공유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글이 가장 창의적이고 과학적인 글자라고 한다.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딴 자음과 천지인(天地人, 우주를 이루는 세 요소)의 모양을 흉내낸 모음의 제자원리가 아주 독창적이다. 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인간의 목에서 나는 모든 소리를 다 적을 수 있는 운용원리 또한 아주 과학적이다. 바로 이 점을 높이 사서 한글을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다. 인도지나, 아프리카의 몇몇 글자 없는 부족들이 한글을 표기문자로 삼는 경우가 잦아졌다 그런데 정작 한국인은 전 세계가 칭송하는 한글을 버려두고 남의 글자, 남의 말 배우기에 혈안이 되어있다.

학교에서는 한국어의 체계를 배운다. 기본 음운을 바르게 발음하는 방법, 자음과 모음이 어울려 글자를 이루는 원칙, 글자들이 모여 낱말을, 낱말의 순서에 따라 문장으로 배열하는 방법 등을 배워 말과 글로써 정확하게 표현하고 이해하게 된다. 입에서 나오는 대로 펜끝에서 흐르는 대로 터져나오는 말과 글은 마치 동물의 울음처럼 단순하고 간단한 생각과 감정만 전달할 뿐이다.

언어에 복잡하고 섬세한 인간의 사고를 담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솜씨가 필요하지 않을까? 바로 그 기술을 배우는 곳이 학교이다.  

어느 가정에 전화를 했다. “헬로우, 000 씨 계십니까?”우물거리는 아이 목소리로 퉁명스럽게  “없어.”  “그럼 엄마는?””없어, 두 개 다 없어.” 하고 달칵 끊는다.이렇게 황당한 경험을 한 뒤, 한국어 학교에서 우리 반 학생들에게 맨먼저 전화예절을 가르친다.

전화 통화는 얼굴을 마주하지 않은 상태에서 말로써 정보를 다 전달해야 하므로 정확하게 말하고 들어야 하며 또 말씨만으로 나를 나타내고 상대를 짐작해야 해서 어느 말하기보다 더 신중해야 한다.만약 메모까지 남긴다면 언어의 모든 영역, 말하기와 듣기, 쓰기와 읽기가 다 동원되는 총체적 언어활동이다.

전화 한 통화로 그 가정의 가풍, 인품, 교양 수준까지 다 파악할 수 있으니 아주 중요한 말하기 교육이라 하겠다.

만약 그 가정의 자녀가 한국어 학교를 다녔다면 “여보세요? 000 씨 계십니까?””네, 제 아빠신데, 지금 안 계셔요.””그럼, 엄마는 계세요?””아니오, 두 분 다 안 계시는데요.  멧시지를 남겨 주시면 전해 드리겠습니다.”하고 상대방의 말을 받아 적고 나서 다시 한 번 확인을  한 후 “안녕히 계세요.”깎듯이 인사를 하고, 상대방이 전화 끊기를 기다려 전화기를 내려놓았을 것이다.

얼마나 반듯하고 듬직한 한국 꼬마신사의 태도인가?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에돌아 가는 강 2020.05.18 (월)
한밤내 강이 흐느낀다 어쩌다 고요와 평정을 잃었을까   무참히 유리파편처럼 일상이 깨어진다 어디서부터 잘못되었을까   이기와 불신의 응벽이 단단했던 거야 문명과 재물에 너무 집착했던 게지 정의 물길이 막혀 사람들이 스스로 섬이 되어버린 탓이야   내 탓이요 내 탓이요 탁한 강물 속 그림자도 제 가슴을 친다   신새벽 동백꽃 멍울 울컥울컥 토해놓은 강이   동틀녁 고요와 화평을 싣고 이섬 저섬 에돌아...
김해영
겨울나무 2019.12.23 (월)
하이얀소복 입은백양목 한 그루뾰초롬눈소름 돋은겨울내를 건넌다티끌인 듯업보인 듯흩날리는 눈보라애틋한 기억도오롯한 소망도미사포에 감싸안고하이얀 눈꽃 뿌리며이내천을 건넌다.
김해영
나무의 길 2019.07.31 (수)
햇살이 따갑다빈속 감추느라 돌돌 감아입은허영의 옷을 벗는다정념,팀욕,아집이헐렁한 대지에차곡차곡 쌓인다바람이 깊다빈속 채우느라 겹겹이 쟁여둔이기의 결을 털어낸다한 줌의 소망,한 삼태기 사랑과한 알의 생명이 빛 사윈 숲을흐북이 채우노라면이끼의 결,허욕의 옷 벗어던진나무들이줄 지어 길 떠난다 끝내 아무도 닿지 못할지 아지 못하는시인의 강에줄 지어 투신을 한다. 
김해영
나무의 길 2018.11.02 (금)
햇살이 따갑다빈속 감추느라 돌돌 감아입은허영의 옷을 벗는다정념,탐욕,아집이헐렁한 대지에차곡차곡 쌓인다바람이 깊다빈속 채우느라 겹겹이 쟁여둔이기의 결을 털어낸다한줌의 소망,한삼태기 사랑과 한알의 생명이빛 사윈 숲을 흐북이 채운다이 가을이 되어비로소나무가 된다나무의 길에  선다
김해영
유월이 2018.06.18 (월)
그네 앞치마는 늘 눈물에 젖어있다 낮에 화사한 웃음을 짓다가도 밤이면 끝내 울음을 놓고 마는 그네 무엇이 그네를 통곡의 벽에 가두는 걸까 예순여덟 해면 상처도 아물고 아픔도 흐릿해지련만 그네의 슬픔은 해가 갈수록 더욱 또렷해진다, 문신처럼 유월 스무닷새 이른 새벽 지축을 울리는 군홧발과 자욱한 포성이 그네의 봄과 여름을 앗아간 이후 그네는 암울한 가을과 겨울에 묻혀있다 그네의 눈물, 뉘 닦아주랴 축축하게 젖은 앞치마, 보송보송...
김해영
희망과 절망 사이 2018.02.13 (화)
아무리 거친 바람도 바람결  틈새가 있다아무리 드높은 파도라 해도 물결 새 쉴 참이 있다아무리 척박한  삶이라 할지라도  설마 웃음 방긋 지을 일 없으랴 거친 바람 부는 사이 고요드높은 파도 몰아치는 틈새  평온척박한 삶의 궤적에서 반짝이는 기쁨의 조약돌을 줍는 사람은희망과 절망 사이그 좁은 간극에서도 행복을 유물처럼 발굴하리니 겨울 종탑에 갇혀그 존재마저도 잊혀져 가는 그대의녹슨 종을힘차게...
김해영
가을을위한시 2017.10.03 (화)
비바람몰아친후 가을이내려왔습니다 초록잎새를누비던볕살도사위고 배반의장미도이울었지만 정적깃든뜨락이 출가하는비구니같아 그야윈몸을어루만집니다 욕(慾)의머릿채를잘라내고 색(色)의청녹을닦으며 들끓던여름골을벗어나 더이상덜어낼게없는가비야움으로 산문(山門)에들어섭니다 바람의밀사에 등떠밀린잎새날아와 말강한산사뜨락에 마음심(心)자차곡입니다
김해영
블랙 레인보우 2017.06.03 (토)
불멸의 무지개를 찾아열사의 사막에 간다 별빛마저붉은 사막의 여명 번민의 향불을 피운사막이명상에 잠긴다고행 나선 수도승처럼태고의 숨결을 찾는 고고학자처럼 한 방울 참회의 눈물을 얻으러열사의 사막에 간다. 달빛 포르스름한사막의 밤 미집(迷執)의 재를 싣고낙타는 꺼떡꺼떡 사막을 건넌다동면을 떠나는 짐승처럼천형을 짊어진 곱사둥이처럼 이윽고검은 무지개가 불멸의 사막을 지배한다
김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