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Login
ID
PW
로그인
/
등록
Close
하루동안 보지 않습니다.
Close
뉴스홈
최신뉴스
부동산
이민
교민
한국
국제
교육
인터뷰
기획특집
칼럼
기고
영상∙포토
장터
커뮤니티
부동산
이민
교육
업소록
뉴스홈
뉴스
부동산
이민
교육
인터뷰
기획특집
칼럼
기고
영상∙포토
신문보기
eNews구독
기사제목
키워드
내용
작성자
검색
|
전체목록
기간
오늘만
일주일
이번달
올해
전체
애착에 가려진 지혜
2018.06.25 (월)
이종구 / 밴쿠버 문인협회 나는 대학 시절부터 옛 물건에 관심이 많았다. 토기니 표구니 가구들이 오래되어 빛바랜 모습에 특별한 흥미를 느끼곤 했었다. 이 뿐인가, 예전 성균관대 재학시절 등교길 학교 정문에서 강의실로 걸어가는 중 전날 밤 비바람에 떨어진 기왓장에 끌려 집으로 주워 갖고 온 적도 있었다. 서울 후암동으로 이사해 살고 있던 어느 날, 우연히 동작동의 골동품 및 고가구를 파는 가게를 지나가게 되었다. 잠시 들어가 전시된...
이종구
돌이킬 수 없는 것은 없다
2018.06.18 (월)
임완숙 / 캐나다 한국문협 우리들이 사는 세상 계산대로라면 모든 이치가 제자리로 되돌릴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세월의 무게 덧칠해서 낡아 무너져 내리는 덧없는 형상뿐이다그러나 동심의 세계에는 돌이킬 수 없는 것은 없다시간도 공간도 머무를 수 없는 그곳엔울며 떼쓰다 문득 헤헤 웃으면 그뿐언제나 처음이다. 처음 마음이다.
임완숙
소포와 엄마
2018.06.18 (월)
내게는 남다른 취미 하나가 있다. 딸 아이와 두 손녀의 옷들과 한국산 과자를 박스 속에 차곡차곡 챙겨 넣어 운송하기 좋게 꾸린 다음 우체국에 가서 부치는 일이다. 두어 달 만에 한 번씩 나에게서 오는 소포를 풀어보는 재미를 그네들에게 주는 게 주된 목적이다. 즐겁게 큰 기대와 호기심을 안은 채 초롱초롱한 눈망울로 제 어미가 상자를 뜯고 안을 들여다보는 아이들의 모습을 떠올리면 내 마음도 두근거려지게 마련이다. 나 자신을 특별한 현실로...
오인애
유월이
2018.06.18 (월)
그네 앞치마는 늘 눈물에 젖어있다 낮에 화사한 웃음을 짓다가도 밤이면 끝내 울음을 놓고 마는 그네 무엇이 그네를 통곡의 벽에 가두는 걸까 예순여덟 해면 상처도 아물고 아픔도 흐릿해지련만 그네의 슬픔은 해가 갈수록 더욱 또렷해진다, 문신처럼 유월 스무닷새 이른 새벽 지축을 울리는 군홧발과 자욱한 포성이 그네의 봄과 여름을 앗아간 이후 그네는 암울한 가을과 겨울에 묻혀있다 그네의 눈물, 뉘 닦아주랴 축축하게 젖은 앞치마, 보송보송...
김해영
소설 초록 그린란드(3)
2018.06.11 (월)
(전 호에서 계속)이윽고 두 남자는 서로 다른 색깔의 미소를 지으며 일어났다. “아침, 어서 먹고 출발합시다. 안 먹으면 갈 수 없어요. 든든히 드세요. 배 고프지 않아도 먹어야 해요.” 이사벨이 상기된 입가에 웃음을 띤채 말했다. 그들은 어느 한가한 편의점에서 세월을 마시듯 천천히 커피를 마셨다. 마지막이 될지모를 통나무집에서의 시간을 빨리 흘러보내기 싫었다. 누크에 도착하기까지 배를 울렁거리게 만들 배 안에서 커피를 마실 수 있기나...
박병호
격隔
2018.06.11 (월)
강은소 / 캐나다 한국문협 자문위원어허~ 달구야~’선소리 꾼의 뒤를 따르는 달구 소리 후렴구다. 망자의 집터를 다지던 구성진 소리는 갈잎 갈피마다 파고들더니 이제 잠이 들었다. 아버지의 맏아들이면서 다섯 아이의 아버지로, 더불어 한 여인의 지아비로 쌓아온 삶의 무게를 마침내 툴툴 털어내고, 편히 누운 그를 두고 산에서 내려온다. 잔걸음을 치던 어린 그의 증손자가 격의 없이 팔을 잡아당겨 낯선 등을 더듬을 때,...
강은소
꿈같은 일곱 날들
2018.06.11 (월)
조규남 / 캐나다 한국문협 뜨거운 태양 아래 멕시코 바닷가는 검은 모래도 탈색을 한다 검은 바위는 부서져 나와 햇살과 파도에 담금질 되고 검은색 모래 되어 탈색을 한다 희어서 흰 모래가 아닌 끝 모를 저쪽으로 늘어선 야자나무, 검은 바위, 흰 모래 시간을 비켜 세운 느릿 함 속에서 시간에 쥐어 짜인 "군집의 도시인"을 발가벗겨 부끄러움도 탈색 시킨다 햇살은 모래 위 아지랑이로 피어나고 물결은 모래를 적셔...
조규남
늙어서 사는 맛
2018.06.04 (월)
진정한 친구란 멀리 떨어져 살아도 늘 가까이 사는 사람처럼 가믐에 콩 나듯 전화해도 변치 않는 옛날 그대로다. 요즘은 세상이 좋아서 원하기만 하면 영상통화를 하거나 문자를 주고받으며 얼마든지 빠르게 소통한다. 그러나 진정한 친구는 요란스레 문자나 영상통화가 아니라도 그저 전화 한통이면 그거로도 족하다. 친구도 나이를 떡 먹듯이 먹어 치워 80이 휠 씬 넘어갔다. 70 때만해도 늙은 할머니가 뭘 그리 젊은 척하느냐고 늙음을 빈정댔더니...
김춘희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맨 위로 가기
전체기사
포토뉴스
1
6차례 추방 명령 어긴 한인···...
2
캐나다 집값 급등, 이민이 ‘주범’...
3
9명 익사··· 26만개 팔린 ‘지상형...
4
이웃 분쟁이 살인으로···...
5
주말 다운타운서 흉기사건...
6
“대서양 캐나다 교통 장벽...
7
美, 비자 수수료 ‘250달러’...
전체기사
포토뉴스
1
캐나다 최고 리조트에 ‘휘슬러...
2
다국어 ‘Hello’ 배지로 영어...
3
해변에서 즐기는 한여름 밤의...
4
칠리왁에서 옥수수 먹고,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