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치아와 잇몸이 너무 안 좋은데, 다 빼고 틀니를 해야 하나요?

서울치과 trustsdc@gmail.com 글쓴이의 다른 글 보기

   

최종수정 : 2025-09-25 08:41


안녕하세요? 밴쿠버 서울치과 강주성 원장입니다. 지난주에는 임플란트 관리 어떻게 해야 하나요?’ 라는 주제로 연재했습니다. 지난 연재들은 밴쿠버 서울치과 홈페이지 (www.seoul-dental.ca)칼럼코너에서 다시 보실 있습니다.

 

1. 틀니 치료는 최후의 보루입니다

치아나 잇몸이 좋지 않아서 고생하는 많은 분들이, 차라리 이를 빼고 틀니를 하는 것이 낫겠다는 푸념 섞인 말을 자주 하십니다. 하지만 틀니는 항상 치과치료의 최후의 보루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제가 환자분들에게 틀니를 설명할 , 부분틀니(치아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하는 틀니) 목발에, 완전틀니(치아가 하나도 남은 상태에서 하는 틀니) 휠체어에 비유해서 설명을 드립니다. 물론 휠체어를 타고도 테니스도 치고 농구도 하고 올림픽에 나가는 극히 일부의 사람들이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목발을 짚고, 휠체어를 타는 것이 매우 불편할 수밖에 없습니다. , 틀니는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불편하며, 씹는 능력은 완전틀니의 경우 자연치의 20% 정도에 불과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2. 튼튼한 치아는 반드시 남겨서 써야 합니다

빼지 않고 남겨서 있는 튼튼한 치아는 최대한 남겨서 써야 합니다. 간혹 비용이나 심미적인 이유로 있는 치아도 빼고 완전틀니를 하고 싶다는 분들이 있는데, 이는 매우 잘못된 선택입니다. 근본적으로 치아가 개라도 남아있는 상태에서 하는 부분틀니와 치아를 모두 빼고 하는 완전틀니는 사용 만족도에 매우 차이가 있습니다. 남아있는 치아는 틀니가 빠지거나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며, 씹는 데에도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튼튼한 아는 틀니를 위해 매우 유용하게 있기 때문에, 반드시 살려서 틀니를 보조하는 역할을 있도록 해야 합니다. 요즘 틀니를 편하게 쓰기 위해 2-4개의 임플란트를 심고 틀니를 하는 소위 임플란트 틀니 비용 대비 만족도 면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데, 남길 있는 튼튼한 치아 하나가 임플란트 하나의 역할을 있습니다.

 

3. 조만간 빼야 치아는 틀니를 하기 전에 빼는 것이 좋습니다

간혹 틀니를 위해서 튼튼한치아는 빼지 않고 살려서 써야 한다는 말을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빼야 , 별로 튼튼하지 않은 치아를 현재 크게 불편하지 않다는 이유로 빼지 않겠다고 결정하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물론 별로 튼튼하지 않은 치아 틀니를 하기 전에 반드시 빼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별로 튼튼하지 않은 치아에 틀니를 하고 나면 틀니로 씹는 힘이 남아있는 치아에 집중되기 때문에 평소보다 훨씬 많은 하중을 받게 되어, 금방 흔들리고 망가질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미 틀니를 완성한 상태에서 새로운 치아를 빼야 하는 상황이 되면, 기본 설계에 문제가 생길 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 틀니를 새로 만들어야 하거나, 새로 만든 틀니를 다시 수리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있습니다.

 

4. 임플란트 틀니는 비용 대비 만족도가 높은 치료입니다

외발 자전거 보다는 두발자전거가 운전하기 쉬우며, 두발자전거 보다는 세발자전거가 쉽고 편하며, 자전거가 있다면 훨씬 안정적이고 편안한 것은 당연합니다. 마찬가지로 틀니를 때도 적절한 위치에 튼튼한 치아나 임플란트가 있다면 같은 틀니라도 훨씬 편하게 사용할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임플란트 틀니의 경우 자연치 대비 60~80% 만족도가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완전틀니의 20% 대의 만족도와는 매우 차이입니다. 따라서 틀니 사용이 불편하다면 임플란트 틀니를 고려해 보는 것을 적극 추천드릴 있습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