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부엌 싱크대 배수관 막힘 보수

한승탁 khst53@gmail.com 글쓴이의 다른 글 보기

   

최종수정 : 2025-07-11 16:00

한승탁 인스펙서의 주택 관리 백서
     생활하다 보면 부엌 싱크대 배수관이 막혀 불편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원인은 부엌이나 식당 주방일 경우 음식찌꺼기가 배수관을 막히게 하며 특히 식당일 경우 기름이 함유된 물을 싱크대로 버려 기름이 식으면서 배수관 벽에 붙어 관을 막히게 합니다. 언젠가 손님이 부르기에 가서 얘기를 들어보니 스스로 해결하려고 화장실 변기가 막히면 뚫어주는 고무 프란자로 수 차례 밀고 당겨도 안되고 약품을 사다 부었더니 조금은 나아진 것 같은데 시원하게 내려가지 않다가 며칠 후 다시 막혀버려 매우 불편하다는 것이었습니다. 막힌 싱크대를 보니 보통 집과 같이 그 집의 싱크대도 설거지 통이 두 개 즉, 배수구가 두 개인인 싱크대였습니다. 싱크대 배수구멍이 두개인데 무조건 고무 프란자로 싱크대 양쪽에 물을 채우고 밀고 당긴다고 뚫리는 것이 아닙니다. 좌측 배수구에서 밀고 당기기를 여러 차례 하다가 안되면 우측 배수구를 같은 방법을 실시했다는 것이었습니다. 문제는 좌측 배수구 물을 밀어주면 우측 배수구로 물이 올라오고 우측 배수구 물을 밀면 좌측 배수구로 물이 올라와 막힌 배수관에 압력이 걸리지 않아 뚫리지 않는 것입니다. 문제를 파악한 필자는 손바닥으로 한쪽 싱크대 배수구를 막고 막지 않은 배수구에 고무 프란자를 대고 왕복운동을 몇 차례 실시하나 무서운 소리를 내며 물이 쫙 내려갔습니다. 다시 한번 자연의 수압원리에 놀랬습니다. 싱크대 깊이의 약 절반 정도 물을 채우고 뚫다가 뻥 뚫려 배수되는 물소리가 매우 커 손 바닥을 대어보니 손바닥도 딸려갈 정도로 흡입압력과 속도가 빨랐습니다. 매우 간단히 해결했지만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엇습니다. 

1. 싱크대는 왜 막히는가?

   이유는 단순합니다. 싱크대나 세면대에 무언가 버린 것이 배수관을 막았기 때문입니다. 배수관은 보기와는 달리 음식물을 버리기에는 좁은 관입니다. 그래서 남은 밥이나 반찬을 버리면 쉽게 막힙니다. 싱크대 배수관에 막힐만한 것을 버리지 않았는데도 막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로 기름(지방)이 원인입니다. 라면이나 소나 돼지 고기를 끓인 물이나 기름기 있는 국물이 식으면 기름이 국물 위에 둥둥 뜨게 되든 데 이런 기름을 싱크대에 버리면 배수관 벽에 붙어 단단해 집니다. 마치 인체에 포화 지방이 핏줄(혈관)에 쌓이거나 혈관벽에 부착되어 큰 문제를 일으키듯 음식물 찌꺼기 기름도 서서히 배수관 내부에 쌓이거나 붙어 배수관 안을 좁게 만드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에는 잘 내려가던 배수관이 서서히 잘 안 내려 가다가 어느 날 갑자기 꽉 막히는 것입니다. 약품을 사용하기 전에 기름 찌꺼기에 의해 막힐 수도 있으니 끓는 물을 부어 기름을 녹여 보는 것도 방법중의 하나입니다. 그리고 화장실 욕조나 샤워실 배수구도 및 세면대 배수구를 막히게 하는 물질은 주로 머리가락이 흘러 들어가 막히게 합니다.

2. 배수관이 꽉 막히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해도 안 뚫리면 파이프 랜지를 사용하여 배수관을 분해해야 합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배수관 이음 부를 자세히 관찰하여 이음부가 나사 식으로 조립되어있나 아니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완전히 고착되어 풀 수 없게 되어 있나를 조사하여야 합니다. 거의 모든 배수관에는 최소한 두 곳은 나중에 막히면 풀어 청소할 수 있도록 나사 식으로 조립한 곳이 있어 이곳을 풀어주어야 합니다. 기름으로 배수관이 좁아져 막힌 경우엔 분해용액으로 뚫을 수 있습니다. 취급 상점에 가서 강 산성 및 강 알카리성 용액 성분이 함유된 (Hydrochloric acid, Lye (sodium hydroxide or caustic soda), Potassium hydroxide, Sulfuric acid) 용액을 배수구에 부어주고 30~60분 후에 뜨거운 물을 부으면 대부분 뚫립니다. 그렇게 해도 안 뚫리면 다시 용액을 붓고 6~8시간 정도 기다렸다가 뜨거운 물을 다시 붓습니다. 그러나, 섬유소는 잘 녹지 않습니다. 기름때가 쌓여 배수관이 좁아진 상태에서 채소나 과일 찌꺼기를 많이(사람 눈으로 보기엔 적은 양 같지만 적은 배수구에 비하면 많은 양임) 버리면 이것들이 층을 이루며 쌓입니다. 이럴 때엔 분해용액을 아무리 사용하여도 좀처럼 뚫리지 않고 부엌이나 방안에 독한 약 냄새만 풍길 뿐입니다. 이렇게 잘 뚫리지 않으면 싱크대 아래에 있는 배수관을 분해하여 오물을 제거하여 뚫어야 합니다. 

3. 배수관을 분해해도 안되면?

    다행이 싱크대 아래의 배수관을 막고 있는 오물이 눈에 보여 이 오물을 걷어내면 되지만 분해해 보니 싱크대 아래 배수관, 전문용어로는 피트랩 (P-Trap)이 막힌 것이 아니고 벽 내부나 지하 배수관 어딘가 먼 곳에서 막힌 것이라면 끝에 드릴 형 모형이 부착된 일명 뱀선(Snake or Auger Wire) 배수관 관통기를 취급점에서 랜트 하거나 사다가 사용하던가 아니면 이런 장비를 소유한 전문가를 불러서 해결해야 합니다. 짧은 것은 비싸지 않으나 길이가 10미터 이상 되는 것은 제법 비싸므로 전문가를 부르던가 아니면 빌려주는 곳에 가서 임대하여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입니다. 여기서 유념할 사항은 청소할 때 뱀선 스프링을 약 20~30센티미터씩 넣은 뒤 스프링을 고정하는 나사를 돌려 고정한 후 돌리면서 밀고 당기는 동작을 2~3차례 반복하여 막힌 곳이 뚫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막힌 것이 거의 다 해결됩니다. 
   
4. 어떻게 예방하는가?

   크고 작은 덩어리를 씽크대 배수구로 버리지 않는 등 평소에 조금만 신경 쓰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배수구에 걸림 망을 사다가 끼우기만 해도 이런 문제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배수관에 조금씩 찌꺼기가 쌓이거나 붙는 것은 좀더 신경을 써야 합니다. 기름기가 많은 그릇이나 냄비를 설거지할 때에 이 기름이 배수관에 붙지 않도록 따뜻한 물로 설거지하거나 페이퍼 타월로 기름기를 닦아 쓰레기 통에 버리고 설거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거지를 마친 후 뜨거운 물을 부어주면 더 좋습니다. 차가운 물로 설거지를 하면 기름이 잘 제거되지 않고 빨리 식은 뒤 굳어 배수관 벽에 붙어 배수관 내부를 좁게 만들어 주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콘도 같은 다세대 건물에 음식물 찌꺼기 분쇄기를 설치했으나 최근에 설치하지 않는 이유는 배수관에 오물로 인하여 자주 막혀 여러가지 문제를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