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마리화나를 재배했던 집 구매

한승탁 khst53@gmail.com 글쓴이의 다른 글 보기

   

최종수정 : 2025-06-13 17:16

한승탁 인스펙서의 주택 관리 백서
    며칠 전 “마리화나를 재배했던 집을 구매해도 좋은 가요?” 라는 손님의 전화를 받았습니다. 이런 전화를 과거에도 몇 차례 받은 적이 있어 안내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가 다시 전화를 받으니 안내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부동산을 거래할 때 마리화나를 키웠던 사실을 공개(Disclosure) 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찰에 발각되지 않으면 은폐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경찰에 발각되면 자동적으로 시청에 연락되어 시청 부동산 대장에 기록이 남아 있으므로 부동산 중개인은 이를 조사하여 구매자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경찰 등 외부로 발각되지 않으면 이를 공개하지 않고 흔적을 감추기 위해 공사를 하여 발견되지 않은 채 집이 거래되는 일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우선 시청의 조례에 따르면 인체에 해롭고 관련 규정을 위반한 건물에는 'UNSAFE' 라는 태그와 함께 건물 사용허가를 철회할 수 있는 권한이 시 빌딩 인스펙터에 부여됩니다. 적발 과정을 보면 비시 하이드로나 여러 경로로 부터 정보를 입수한 경찰이 습격하여 적발됩니다. 마리화나를 키운 집이 소탕되고 발각되면 시청 빌딩 인스펙터는 'UNSAFE' 태그를 붙이고 곰팡이 및 인체에 해로운 화학물질의 오염, 건물의 구조안전, 전기 및 가스설비 안전과 설비시스템 변경에 대하여 조사하고 기본 안전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건물주에게 요구합니다. 이때 기존의 모든 불법사항들에 대해 허가를 요구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지하실 등의 불법 개조, 어프라이언스 교체, 무단 증축을 포함하여 곰팡이 및 화학물 오염, 덕트 크리닝, 전기구조변경, 가스배기시설, 설비 구조 및 변경 등에 대하여 원상 복구를 명령하고 복구 후 철저한 점검이 끝난 뒤 입주허가를 허가하게 됩니다. 

1.  목조 구조물의 피해

  구조적인 피해는 마리화나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물을 많이 주어야 하므로 목재에 치명적인 습기에 의한 손상이 큰 문제가 됩니다. 높은 습도와 온도는 목재에 곰팡이가 생겨 목재를 썩게 하므로 구조에 손상을 일으킵니다. 
  높은 습도는 마리화나를 재배하는 방벽은 물론이고 계단, 바닥 마감, 지붕 목조 등에 손상을 일으킵니다. 특히 장기간 재배했던 집은 이러한 구조에 위험을 초래합니다. 
  환기를 위해 지붕과 벽면이 절단되어 집을 취약하게 만들고 때로는 마리화나를 재배하기 위하여 거짓 벽 또는 부적절하게 설치된 기둥은 구조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응축수는 과도한 열, 습기 및 부적절한 환기로 인해 발생하여 문의 나무 프레임 등 목재에 손상을 주게 됩니다. 
   
 2.  전기, 가스 및 소방 유틸리티의 피해

    마리화나를 키우기 위해서는 열이 필요하므로 전기나 가스를 훔치기 위해 구조물에 손상을 가져옵니다. 즉 큰 구멍을 콘크리트 기초 또는 벽을 뚫어 지하 및 외부 하이드로 라인을 훔칩니다. 훔친 전기나 가스로 열기구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화재의 위험이 크게 됩니다. 이러한 과열에서 오는 화재는 마리화나 재배가 불법이므로 집이 전소되거나 일부 피해를 입어도 보험으로 해결할 수 없어 재산상 커다란 손해를 가져옵니다.

3. 실내 공기의 오염

    마리화나 식물은 꽃가루를 생산하여 공중으로 날리어 호흡기 및 피부 알러지를 일으키는데 이는 꽃가루와 곰팡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특히 어린이와 노약자들은 호흡기 질환에 취약하며 살충제, fungicides, 과산화수소 비료와 부적절한 환기, 높은 습도 및 화학 물질은 호흡기에 문제를 일으킵니다.

4. 구매 결정

     마리화나를 재배했던 기록이 시청의 가옥 대장에 남아있거나 홈 인스펙터에 의해 흔적이 발견되면 부동산 가격을 내고하여 다른 집보다 값싸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후일 그 집을 팔때도 마찬가지로 좀 싸게 거래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마라화나를 오랫동안 재배하지 않고 철저하게 안전 점검이 이루어진 집이고 값이 저렴하다면 긍정적으로 생각해볼만 하다고 봅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광고문의
ad@vanchosun.com
Tel. 604-877-1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