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최종수정 : 2024-03-08 10:45

최민자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전지를 갈아 끼워도 가지 않는 손목시계처럼 그는 그렇게 그녀라는 위에 멈추어 있다그녀와 관련된 기억들이 그에게는 여전히 아프고 쓰리다이별의 모서리는 언제나 날카로워 돌아볼 때마다 마음이 베이지만 그녀라는 모퉁이를 통과하지 않고 우회하는 길을 알지 못한다 하였다진한 눈썹둥근 이마상큼하면서도 허스키한 탄산수 음색이 생각나 아직도 심장이 떨어져 내린다 하였다.

 

사람을 그리워할 그의 공간은 시간 속으로 압축된다아니 확장된다공간을 함께 누릴 없는 이들에게는 시간만이 공존의 장소가 된다 안의 허깨비에 끌려 다니느라 발짝도 전진하지 못하는 시간그리움이란 부재가 존재를 물어뜯는 상황이다부재하는 현존이고 현존하는 부재다태어나는 족족 새끼들을 삼켜버리는 신화 크로노스처럼 현재는 미래를 잡아먹고 과거는 현재를 끌어내리지만 시간의 지층을 뚫고 역습해 오는 과거는 현재를 일거에 돌파하고 미래까지 인질로 붙잡아 버린다.

 

그리움은 전신증후군이다살아 있음의 감각을 통증으로 일깨워 주는 풍크툼(punctum) 같은 그것은 기다림과 원망욕망과 체념의 착종 위에서 허열虛熱처럼 피고 지는 난폭한 열정이다 닿지 않는 몸속 어디감각세포와 신경줄을 이따금씩 교란하는 존재의 빗장뼈다실체는 밖으로 진즉 걸어 나갔는데 보이지 않는 그림자를 붙들고 헛되이 스파링하는 새도 복서의 시끄러운 침묵이다.

 

기억과 상상 속을 종횡무진 오가며 그는 그녀의 부재를 견딘다어떤 대체재도 소용이 없다무명無明과 번뇌 속에서 일어서다 주저앉다 그렇게 반생을 건너왔다 했다화분에 심어둔 꽃처럼 결박 당한 시간들그립다는 말은 서럽다는 말과 이음동의어異音同意語일까돌아서는 어깨가 나무 같았다이미 지난 시간들이 현재의 멱살을 쥐고 발목을 걸고 넘어뜨리는그리움의 존재 저편의 불수의근이다오직 인간만이 시간의 이빨자국에 피를 흘리고 환상의 뱀에게 살이 뜯기어 나아가지 못하고 뒷걸음질 친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유월이 오네요 2023.06.05 (월)
당신의 마당에 우뚝실유카 꽃대 올라오네요꽃샘 바람, 황사 먼지 바람메케한 연기 바람 모두 쏟아내고지친 봄 날 서둘러 떠나가네요주렁주렁 실유카 꽃봉오리피어나려는 소리 울려 퍼지는하이얀 종소리 들리나요유월이 오네요우리 흩어진 마음 다독이면실유카 꽃송이 활짝 피겠지요단단한 열매도 낳겠지요
강은소
2학년 2학기가 끝나갈 무렵이었다. 한밤중에 엄마는 나를 깨워 황급히 옷을 입혔다. 잠이 덜 깬 채 엄마 손에 이끌려 밖으로 나왔다. 겨울바람이 쌩쌩 불었다.“에취! 추워!”며칠 집에 오시지 않던 아빠가 어둠 속에 서 있었다. “아빠!”나는 달려가 아빠 품에 안겼다.“세진아! 이제부터 우리 세진이가 엄마 보호자야.”“왜? 아빠는 어디 가는데요?”아빠는 나를 한 번 안아주고 어둠 속으로 사라졌다. 엄마는 나를 붙들고 떨고 있었다. “아빠,...
이정순
마음의 거울 2023.05.29 (월)
후두둑 떨어지는 빗소리에고요한 하늘이 들어와 앉는 오월장미가 향기를 발하고 있다 살아온 시간 들이 세월로 엮여갯내만큼 깊이 스민다 무심코 뿌려놓은 말의 씨들이지금쯤 다른 사람의 가슴에서무슨 색깔로 자라고 있을까늦은 저녁 찬찬히거울 속의 나를 본다 때 묻은 마음속엔자신을 감싸는 지혜를 키우면서남보다 나를 먼저 놓는 잣대는굵어져 갔을 것이다부끄러운 마음을 가슴에 안고거울 속의 나를 본다 내가 뿌린 말의...
강숙려
“향수” 2023.05.29 (월)
“넓은 벌 동쪽 끝으로 ~, 옛 이야기 지즐대는 ~ ”으로 시작되는 이 노랫말은 정지용 시인이 100년전 일본 유학생활 중 쓴 시이다. 이 시가 다시 빛을 보게 된 것은 작곡가 김희갑에 의해 곡이 완성됨으로 인해 지금은 대한민국 국민의 “불후의 명곡”이 되었다. 우리 민족에게 고향은 눈을 감아도 잊지 못하는 곳이다.  우리 부모님들 세대에 6.25전쟁으로 북에서 피난 내려와서 두고온 땅을 그리워 하며 얼마나 애타게 고향노래를 불렀던가?...
김유훈
 이제 캐나다 밴쿠버 생활 6년 차에 접어든 나는 캐나다 운전에도 얼추 익숙해졌다. 아주 많이 다른 건 아니지만, 한국에서 20년 가까이 운전했던 것에 비해 처음 밴쿠버에 도착해 운전 문화가 아주 약간 다르다고 느꼈다. 한국, 서울에서 나고 자란 나에게 바쁘게 하루를 살고, 또 거기에 맞춰 움직이는 것은 무척 익숙했기 때문에 늘 쫓기는 듯 살았기 때문이다.  마흔이 가까워 왔던 캐나다 밴쿠버는 조금 달랐다. 물론 밴쿠버는 캐나다의 또 다른...
윤의정
세월이 가면 2023.05.29 (월)
지금은 모르지만세월이 가면 알게 될 거야지금 보고 있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보지 못 한 것, 알지 못한 것놓치고 있다는 것이 많다는 것을무슨 사연이 있는지어떤 까닭이 있는지세월이 가야 그때 알게 될 거야너무 두려워 말자너무 걱정도 말자지금은 모르지만인생이 모두에게 다 똑같지 않다는 것을살다 보면 알게 될 거야다른 이유가 뭔지결과가 다른 건 어떤 건지살다 보면 그때 깨닫게 될 테니지금은 원망을 말아야지세월이 가야 알게 되는...
나영표
   지난해 추수 감사절 다음 주, 제주도 앞 바다에서 들개처럼 방황하던 캠퍼를 구해 준  이효리씨와 그의 친구 인숙 씨가 우리 집을 방문했다. 그녀들은 우리 집에서 1박을 부탁했고 터키 디너도 가능한지를 문의해 왔다. 전 주에 우리는 이미 추수 감사절 터키를 먹었지만, 그들을 위해서 아들 내외와 가까이 사는 딸이 기꺼이 준비했다. 그때 나는 목소리가 안 나올 정도로 편도선을 앓고 있었기에  정중한 인사와함께  아이들과...
김춘희
이 세상 모든 어머니들은이 세상 모든 자식들을 위해 스스로 길이 되고자낮게 아주 낮게엎드리고 또 엎드린다 천개 만개의 생각으로 우리를 키우시고손가락 열 개로 작은 세상을 만들어 주시고그리하여 아무것도 아닌 것에 이르러엉엉 울어보는 어머니어디를 건드려도 젖은 눈물이 되는어머니 어머니 요람에서 걸어 나와어느 날 측백나무 허리 둥치만큼훌쩍 커버리면어느새 우리는 집을 떠날 때가 온 것이다 어머니의 유리창에보고...
김영주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