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최종수정 : 2023-10-16 11:50

송요상 /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어느 날 오후
언어로 표현하는
그대 삶의 모든 편린들이 노래로 불려질 때
우리의 꿈나무에게 내림굿판을 벌여야 하지 않을까.

우리는 밝힐 수 있으리라.
글을 가진 세종의 자손이라는 자랑스런 핏줄들을.

우리들은 쓰러진 글자를 일으켜 세우고 틀린 글자를 고치면서
언어를 잃지 않는 작업이 얼마나 큰 노동이 될 것이라는 것을
외면할 수는 없다.

완전을 추구하는 새로운 사회라도 더불어 살면서
지조 없는 슬픈 역사를 만들어 갈 수는 없으며
마주보는 얼굴에서 예부터 내려온
자애로운 먼 조상의 눈빛과 미소가 담겨 있듯이
시간이 배신했다고 우리들의 영과 육을 뒤흔들어 놓았다고 한탄한다면
삶의 의미는 그만큼 상처받으리라.

아무리 물질이 앞서있다고 해도
모든 자연의 산물들이 땅에 서서 하늘을 향해 있듯이
한글 나무들도 푸른 하늘 아래에서 아무런 이유 없이
생명수 같은 글자를 받아먹으며 성장해야만 한다.
마치 그것이 신의 뜻인 것처럼 여기며.....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잠시 홀로 된 공간은 휴식이었고무방비 상태였고 다시 돌아온 현재는 의지로 돌아왔지만 그 순간 이전에 기다림은 없었다.살아가는 그 마디마디에 여러 방법과 선택은 존재했고놀란 가슴에 앞뒤좌우 돌아볼 겨를 없이내일은 미래가 아닌 현재로 빠르게 이동한다.누구나 무의식 속에서 행동할 때가 많지만 기계는 항상 의식이 있는 상태로 신호를 기다리고 있다.노크 없이 문을 열어줄 시간을 마련하지 않아도 쉼의 공간에 갑자기...
송요상
한글나무 2023.10.16 (월)
어느 날 오후언어로 표현하는그대 삶의 모든 편린들이 노래로 불려질 때우리의 꿈나무에게 내림굿판을 벌여야 하지 않을까.우리는 밝힐 수 있으리라.글을 가진 세종의 자손이라는 자랑스런 핏줄들을.우리들은 쓰러진 글자를 일으켜 세우고 틀린 글자를 고치면서언어를 잃지 않는 작업이 얼마나 큰 노동이 될 것이라는 것을외면할 수는 없다.완전을 추구하는 새로운 사회라도 더불어 살면서지조 없는 슬픈 역사를 만들어 갈 수는 없으며마주보는...
송요상
바닷가에 갈매기들이 공중에서 떼를 지어침묵으로 포물선을 그리는 춤사위는자유를 갈망하는 몸짓인가.오랜 세월 대대로 이어온 날개 짓은갈매기들의 반란이 아니며 기슭에서 먹이를 찾는 연습이다. 깊은 산에 혼자 있다그루터기가 된 나무는줄기와 잎이 떠나도 뿌리로 먹이를 찾는다 하루 종일 햇빛을 받다가 먹구름 몰려오고어둠에 비 몰아쳐도 동트는 아침이 오면산새들은 나이테 위에 앉아 재잘거리고어느 새 끼리끼리 먹이를 나누며...
송요상
낙엽 2022.10.12 (수)
우울해진 적이 있나요우리가 왜 바닥에 떨어져 있을까요..모든 일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우리 생명의 가는 모습인가요. 가을 바람을 느껴보세요..생명 빛이 흐르는 줄기 뿌리까지 미세한 움직임을 전달해 보세요.저녁 노을이 바닥에 누운 내 몸을 비추면 내 모습이 훨씬 아름다워진다는 것을 느껴보세요내게 삶의 선택은 없었습니다. 그저 흙과 물을 섞어 찬연히 빛나기만 하다어느 바람 부는 날 오후에 색이 고르는 순리대로...
송요상
산을 오르며 2022.05.03 (화)
나를 부르고 있습니다.쭉 뻗은 소나무와 늘어진 삼나무가지의 목향을계곡 저편에서 바람으로 내게 보내면서.그 바람에 몸을 싣고 이생의 모든 짐을 떨쳐 버리고 나를 오라 부르고 있습니다. 걸음이 떨어지지가 않습니다.질긴 정은 나를 꼭 붙들고 아직도 미련이 남았는지 자꾸 기억 뒤편을 돌아보라 하고 있습니다. 어디 있는지도 모를 마음은 나를 놓아주었다 붙들었다 하면서 바람을 이기고 견디며 조금만 참으라 하고 있습니다...
송요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