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다시 수필이다

정성화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1-09 12:53

정성화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유리병에 개운죽竹을 기르고 있다. 물만 먹고도 싱싱한 잎과 줄기를 내는 모습이 여간 기특하지 않다. 줄기 하나를 집어 들면 나머지 줄기들도 따라 나선다. 서로의 뿌리 속에 뿌리를 내린 채 단단히 엉겨 있기 때문이다.

가장 밑바닥에 자리 잡은 묵은 뿌리 위에서 하얀 어린 뿌리들이 걸음마를 익히고 있고, 중간에 가부좌를 튼 뿌리들은 어느 쪽으로 줄기를 낼 것인지 긴 생각에 잠겨있다. 어린 뿌리에 자꾸 마음이 간다. 수필을 쓰면서 어느 쪽으로 나아가야 할 지를 몰라 주저하는 나의 모습을 보는 듯 해서다.

수필을 읽으면 사람이 사람답다는 게 어떤 것인지, 우리가 어떻게​ 나이를 먹어야 하는지 알게 된다. 사람이 그리워 시골 오일장이 서듯 수필 또한 사람이 그리워 생겨난 문학이 아닐까 싶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놓일 한 잔의 막걸리가 되기 위해, 추운 곳에서 떨고 있는 사람에게 건넬 한 벌의 내복이 되기 위해 수필은 태어난 것 같다.

수필을 쓰면서 가장 좋았던 일은 좋은 수필과의 만남이었다. 읽고 있으면 어느새 마음 언저리가 뜨뜻해져 오는 수필, 아랫배로부터 둔중한 통증을 끄집어내는 수필, 세상이 환해 보이도록 만드는 수필 등, 그런 수필로부터 수필의 걸음마를 익혔지만 아직도 나의 수필은 혼자 걷는 게 힘들다. 넘어지고, 고꾸라지고, 미끄러지면서 가고 있다.

나는 가능한 한 나의 수필이 시골 버스를 닮아갔으면 하고 바란다. 삶은 어느 날 갑자기 우리를 모른 척하거나, 우리를 외진 곳에 내팽개치기도 한다. 그러나 시골 버스는 그렇지 않다. 사람이 서 있는 자리가 ​정류장이다. 앞을 보고 달리다 가도 지나쳐온 한 사람을 위해 기꺼이 후진하는 차, 사람만 타는 게 아니라 강아지와 돼지 새끼, 그리고 곡식 자루와 푸성귀도 한 자리 차지한 채 오질장 구경에 나서는 차다. "기사 양반, 소피나 좀 보고 가세." 하며 풀숲으로 잠복한 할머니가 다시 허리 춤을 올리며 느릿느릿 돌아올 때까지 기다려주는 차, 그러면서 마을 사람들과 함께 천천히 늙어가는 차다.

둠벙 한가운데에 돌멩이를 던져서 물살을 일으키는 게 아니라 물을 보내어 물살을 일으키는 언어가 시어詩語라고 한다. 수필의 언어도 그래야 하지 않을까. 천천히 흐르는 물결을 따라 자라는 논 배미의 이런 모습들, 그 어린 모 들을 데리고 굽이굽이 길을 가는 논두렁처럼 수필도 그렇게 가야 하지 않을까. 그 때 생기는 한 줄기 곡선이 세상과 우리를 부드럽게 이어줄 것이리니.​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소설가 '오르한 파묵'은 말했다. 작가란 수도승이나 마찬가지라고. 영감靈感이란 불공평하게 분배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오래 기다린 사람에게 돌아오게 되어 있다고 했다. 황태의 담백하고 시원한 맛도 얼었다 녹았다를 스무 차례 반복하는 데서 오는 것처럼, 문학의 깊은 맛도 그렇게 오는 모양이다.

인생이란 자동 점멸등과도 같은 것, 기다렸다는 듯 반짝 불이 들어왔다 가도 몇 발자국 옮기는 사이에 이내 불빛이 사라지고 만다. 우리가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시간도 그 자동 점멸등이 꺼지기 전 까지다. 시골 버스처럼 천천히 가고 싶은 나의 수필과 자동 점멸등 같은 삶의 유한성, 그것이 내 글쓰기의 아이러니다.

너무 우울해 하지는 말자. 그 한정된 시간에 가장 인간적인 문학, 수필을 만나 삶의 냉기를 얼마 쯤 피해가고 있으니 말이다​.

다시 수필이다. ​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따로 또 같이 2023.02.13 (월)
 오늘은 집에 손님이 오는 날이다. 저녁 준비로 동동대는 내 옆에서 남편은 어느 때보다 협조적인 자세로 하명을 기다리고 있다. 청소기를 돌리고 거실 유리창을 닦고 바베큐 그릴도 달구고… . 바쁜 가운데 손발이 맞는 손님맞이는 수월하게 마무리가 되어 간다. 오늘 손님은 같은 해 밴쿠버에 정착해 한동네에 살던 유고인 프레드락과 수잔나 부부이다. 연배가 비슷한 우리는 긴 세월 서로의 집을 오가며 일상의 애환을 나누고 살아온 귀한...
조정
겨울 앓이 2023.02.13 (월)
겨울은 망각의 푸른 바다를 건너 약속의 봄을 찾아가는 빈 가슴 나그네 긴 회한의 터널 그 너머찬 바람, 서리 다 이겨낸지친 들판에 서서 만나야 할 그 사람                                      찾아야 할 그 사랑잃을 수 없는 시간 속으로배냇그리움에 멀미가 난다 다가올  새봄은 또다시 찾아오는 아픔이겠지나를  죄어오는 망연(忘戀)의 넋일 수 있어 가는...
김석봉
  책장을 정리하다 우연히 둘째 아들이 초등학교 1학년 때 쓴 글을 발견하였다. 이런 흔적 물들을 통해 과거를 되새김질해 본다. 실체가 없어도 있었던 현실인데도, 실체가 있어야 지난 현실이 또렷해진다.통통한 몸매와 얼굴에 늘 웃음이 가득하고 좀처럼 화를 내지 않는 둘째는 입력한 것에 비해 출력을 재미있게 잘한다. 좀 엉뚱한 구석이 있는 놈이다. 그의 글을 그대로 옮겨 본다.  “저의 형 박형진입니다.나이는 이제 9살이 되고요,...
박광일
나무 의자 2023.02.13 (월)
망자를 기억하며숲 길 모퉁이 고즈넉한 곳지나는 사람 발걸음 위로하며  떠난 사람 이름 써넣은나무 의자 놓여있다꽂아 놓은 조화는 을씨년스럽고애처로워다니는 사람 마음 훔쳐간다사랑하는 이 떠나보내지 못한 채품에 보듬어 안고 이랑을 지었나 보다 마주하던 죽음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안간힘으로 도망쳤을까?죽음을 순하게 받아들이는기백 보였을까? 모두가 알고 있지만  말하지 않은 채침묵으로 견디며한 길로 나 있는 신작로...
박혜경
내 인생의 강물 2023.02.06 (월)
    인생의 강물은 내 맘대로 흐르지 않는다. 누구나 그렇다. 완만하게 굽이돌며 한 없이 흐른다. 거침없이 흐르는 푸른 강물이다. 내가 나에게 끼어들 새가 없다. 일반적으로 강물에 실린 그리움과 기다림의 원천은 어머니다. 그런데 나의 그것들은 내 나이 열한 살 때, 보라색 치마에 긴팔의 흰색 블라우스를 입고 온 띠동갑의 한 선생님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녀는 시집갈 나이 스물셋에 산골 초등학교에 주산 선생님으로 왔다. 살랑살랑...
박병호
만두 필살기 2023.02.06 (월)
  설 하면 역시 만두를 빼놓을 수가 없다. 만두 국 뿐만 아니라, 구워도 먹고, 찜 기에 쪄서 먹어도 결코 질리지 않는 음식 중 하나다. 무엇보다도 엄마가 만들어 준 손 만두는 설날에 먹을 수 있는 최고의 음식이었고, 밀가루로 반죽한 만두 피까지 쓱쓱 밀어가며 속을 듬뿍 넣고, 아기 궁둥이 마냥 토실 하고 먹음직스럽게 왕 사이즈로 빚어 먹었다.그 시절, 어렸던 난 엄마를 따라 손 만두를 만들어 보겠다고 했다가 만두 중에서도 속이 제일 작아...
허지수
화산석 2023.02.06 (월)
솟구친붉은 핏줄​바늘 끌연흔일까​그림자새기면서​굳어버린주름살​거미 귀엿듣는 듯​초 침 소리기울이면​기나긴씨 날 줄 찾아​은빛 침핥고 간다
하태린
너 떠난 그날 2023.02.02 (목)
너 떠난 그날비바람이 울었다너로 인해 살아온 날들이고마웠다고찔레꽃 하얀 무덤가홀로가는 네가 그랬듯이홀로찾은 나도 그렇게 슬펐다목련이 지듯 떠나가는 것들찔레꽃 하얀 무덤가허공에 그리움에 문패하나 걸고아쉬워 뒤돌아가던 걸음 문뜩 멈추고뒤돌아서 너를 보며그 설음에 겨워나 홀로 오래도록 서 있었다고너 떠난 그날 바람처럼 울었다.
이봉란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