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속이 빈 조가비

이종구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2-09-19 11:35

이종구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최근에 읽은 프랑스 소설 ‘안남’(安南)을 읽고 종교와 인간에 대한 생각이 뇌리를 스쳤다. 이 소설의 원저자는 크리스토프 바타유이고, 이 책을 번역한 이는 서울대 불문과를 졸업하고, 프랑스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김화영 명예교수이다. 이분은 원제인 ‘안남’을 ‘다다를 수 없는 나라’라고 명명하였다. 
 이 소설의 줄거리는 베트남의 노동운동이 일어난 1787년의 “떠이썬 운동’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프랑스 대혁명(1789년)과 루이 16세의 시기를 배경으로 프랑스에서 베트남으로 파견한 선교사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베트남 우옌안의 왕자인 어린 칸이 피에르 드브레엔 주교와 함께 구원병을 요청하러 파리로 보내진다. 그러나 어린 왕자는 그곳 파리에서 죽고 세월이 지나 베트남의 우옌안의 왕조는 국가를 다시 찾고 안정을 찾는다. 프랑스 정권은 불안정한 상태라, 한 수도원 원장이 개인의 병사들과 선교를 위한 수도사와 수녀들을 베트남에 보낸다. 우옌안은 아들의 죽음과 늦게 도착해 도움을 받지 못함을 빌미로 그들이 항구에 도착 즉시 모두 죽인다. 그리하여 수도사와 수녀들은 혼비백산하여 밀림으로 들어가 숨는데, 그중에 도미니크 수사와 키트린 수녀는 멀리 북쪽으로 도망가 죽음을 면한다. 
 프랑스는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가? 그곳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모두가 무의미해졌다. 대부분의 수녀와 수도사들은 아시아의 베트남 기후에 적응하지 못하고 끝내 죽음에 이른다. 도미니크 수사와 키트린 수녀, 두 사람은 고독과 신앙의 혼돈 속에서 좌절했다. 그리하여 소설은 다음과 같은 두 남녀의 죽음의 모습으로 끝난다. 1802년 여름밤 무장한 군인들이 두 백인 선교사를 찾아왔다. 문을 열자 두 남녀가 알몸으로 뒤엉켜 죽어있었다. 그들은 서로 사랑했던 것이다. 군인들은 성직자들의 인간적인 모습과 창백함에 감동했다.  
 나는 이작품을 통해 종교 위의 인간의 모습을 느꼈다. 그와 함께 우리도 조국을 떠나 이역만리에서 우리의 전통적인 풍습들을 얼마나 잃고 무감각하게 사는지 모르겠다. 문화인류학적으로 변화된 디아스포라를 생각하게끔 한다. 그리고 이렇게 살다가 무엇을 남기고 캐나다에서 사라질 것인가?
 소설가 김훈 씨의 에세이 '죽음의 고찰' 중에 이런 말이 있다.

'죽으면 말 길이 끊어져서 죽은 자는 산 자에게 죽음의 내용을 전할 수 없고, 죽은 자는 죽었기 때문에 죽음을 인지할 수 없다. 인간은 그저 죽을 뿐, 죽음을 경험할 수는 없다.'

 속이 빈 조가비에 나는 무엇을 채워야 할까!
 큐티 성경 공부 시간에 한 성도가 한 말이 아직도 귓가에 맴돈다.

 '인간은 선하게 살아야 한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고양이 2022.10.17 (월)
외롭다 생각하고 있는데 한 고양이가 눈에 띄었다작은 고양이 약간은 나이가 있어 보인다으레 그렇지만 눈이 예쁜 고양이다쫓아가 한번 안아 볼까 하는데고양이가 멀어지기 시작한다어 어쩌지 하다가 놓치겠단 생각에 따라붙었다고양이는 야옹야옹 대며 계속 걸어간다난 쫓아가지만 사이가 좁혀지지 않는다좁혀지지 않는다지쳐가는 나 고양아 기다려고양인 쓱 한번 쳐다보다가 계속 갈 길을 가네좁혀지지 않는 거리 난 어떡하지 뭐 하고...
박락준
 나무는 혼자 섰을 때 아름답다. 나무는 둘이 섰을 때는 더욱 아름답다. 둘과 둘이 어우러져서 피어났을 때 비로서 숲을 이룬다. 숲이 아름다운 것은 서로를 포용하는 특성 때문이다. 공동체를 이루는 한 덩어리의 밀집성, 그 따뜻함이다. 건축예술이 잘 발달하여 거대한 도시를 건설했다 쳐도 거기 도시와 숲의 조화 없이는 생명이 없는 도시다.기차나 버스로 여행을 하다 보면 유독 마음을 끄는 도시를 만난다. 초록빛 분지를 깔고 앉은 조그마한...
반숙자
밤의 나라 2022.10.17 (월)
나 어릴 적 커튼이 쳐진 어둠의 공간엄마는 자거라 소리에별빛 같은 눈은 더 별이 되어어둠 속 파란 풀숲에 나타난토끼가 나타나고 사슴이 뛰어놀았지나도 그들을 따라 마구 뛰어가면달은 나를 자꾸 따라왔어오지 말아 달라 말하지만달은 모를 미소만 남기고 날 밝게 비췄어하얀 토끼와 숨바꼭질하는 사이달은 내 등 뒤에서 더욱 환했어비밀스럽게 만난 토끼도 사슴도 다 달아나면난 진달래가 가득한 곳에서 진달래를따먹으며 달을 노려봤어달은 자꾸...
강애나
외국 나와 사는 이민자가 근래처럼 한국 드라마를 원 없이 볼 수 있는 시절이 있었을까? 그런데도 한국 땅을 밟고 서 있지 않은 이상,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는 것은 고향을 향한 향수를 달래는 유일무이한 낙이라고 할 만하다. 드라마를 보다가 가끔 이런 장면을 마주한다. 극 중 어머니가 외출하시기 전 밥상을 차려 놓고 나가시는 장면이다. 끼니를 거를지도 모르는 식구를 위해 엄마가(때론 아버지가) 차려놓은 밥상은 적어도 나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김진아
낙엽 2022.10.12 (수)
우울해진 적이 있나요우리가 왜 바닥에 떨어져 있을까요..모든 일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우리 생명의 가는 모습인가요. 가을 바람을 느껴보세요..생명 빛이 흐르는 줄기 뿌리까지 미세한 움직임을 전달해 보세요.저녁 노을이 바닥에 누운 내 몸을 비추면 내 모습이 훨씬 아름다워진다는 것을 느껴보세요내게 삶의 선택은 없었습니다. 그저 흙과 물을 섞어 찬연히 빛나기만 하다어느 바람 부는 날 오후에 색이 고르는 순리대로...
송요상
빈 듯 찬 듯 2022.10.12 (수)
   5년 넘게 땅속에서 묵었을 매미 소리를 모카커피에 타서 마신다. 오늘 아침 내 특제 메뉴다. 매미 소리는 먹기 좋게, 적당히 분절되어 커피 잔에 녹아 든다. 어떤 소리는 튜브에서 쥐어짜듯 찔끔찔끔 흘러나오고 어떤 소리는 톰방톰방 방울져 떨어진다. 짝에게 닿아야 할 노랫가락을 내 잔 속에 빠뜨렸으니 녀석들은 끝내 짝짓기에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라디오에서 귀에 익은 선율이 흘러나온다. 파가니니인지 텔레만인지, 얼른 기억이 나지...
최민자
놀이공원 풍경 2022.10.12 (수)
대관람차가 돌아간다둥그렇게 말린 뭉게구름들막대기에 나란히 꽂혀 있다엄마, 솜사탕 먹고 싶어응 그래, 참 푸짐하게 부풀었구나아빠 털보 수염도 저랬지​아니,난 어제 다듬어서 오늘은 뭐...​그러니까 하나 사서 애 좀달달하게 해줘 봐요​갈래 땋은 딸아이가앙 ㅡ 하고 나서 한 입 언저리 촉촉 다신다참 마시써. 아빠수염도 이러케 부드럽고 달코매?​얘는 무슨, 좀 꺼끌꺼끌 하지이 ㅡ엄마는 아빠 얼굴을 향해 실눈을 살짝 흘긴다​엉? 하하....
하태린
뿌듯한 하루 2022.10.04 (화)
  루틴이 몸과 마음을 변화시킨다. 부드러운 커피 향이 퍼지는 아침, 뜨거운 커피를 천천히 목 안으로 넘기는 일은 하루를 시작하는 저항감에서 벗어나는 의식이다. 아침 설거지를 끝내고 데크 난간에 매달린 모이통에 앉은 새들을 관찰하며 잠자는 근육과 정신을 깨운다. 푸른 숲을 내다보며 호흡을 가다듬고 생각을 모으는 일 또한 나의 소소한 아침 일과다. 달리기 출발선과 같은 하루의 시작, 커피의 카페인은 오늘의 경기를 위한 전략을 하나둘...
조정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