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미 정부, 베이징올림픽 불참··· ‘외교적 보이콧’ 공식화

김민정 기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1-12-06 15:02

미국 “중국 ‘인권탄압’ 때문”···선수단은 파견키로


사진출처=IOC Media Flickr

미국은 중국의 인권 탄압을 이유로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방침을 6(현지시각) 공식화했다. 미국이 다른 국가들의 동참을 촉구하면서 중국의 강력한 반발이 예상된다.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바이든 행정부는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과 패럴림픽 게임에 어떤 외교·공무 대표단도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표단을 보내지 않는 이유로 “신장에서의 인간성에 대한 중국의 계속되는 범죄, 제노사이드(genocide·대량 학살) 인권 유린”을 거론했다.

 

외교적 보이콧이란 선수단을 파견하지만, 개·폐회식 행사 사절단을 보내지 않는 것을 말한다. 미국 의회에선 중국 신장 지구의 위구르 소수민족 탄압, 홍콩의 인권 탄압 등을 문제 삼아 베이징 올림픽에 선수단 자체도 보내지 않는 전면 보이콧을 해야 한다는 강경한 주장까지 나왔었다. 그러나 선수 파견조차 하지 않는 것은 과도한 조처라는 반론이 나와 정부 사절단을 불참토록 하는 외교적 보이콧이 거론돼 왔다.

 

이날 외교적 보이콧 방침은 바이든 대통령이 오는 9~10 110개국과 함께 ‘민주주의 정상회의’ 개최를 앞두고 발표된 것이다. 회의는 한국도 참석 대상이다. 미국이 외교적 보이콧을 공식화하면서 유럽을 중심으로 서방 진영의 연쇄 동참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현재 영국, 캐나다, 호주가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 중이라는 외신 보도가 나온 상태다. 지난달 미·중 정상 처음으로 이뤄진 화상 회담에도 불구하고 양국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외교적 보이콧까지 결정하면서 나라의 관계는 더욱 급랭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의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움직임에 대해 질문받자 “스포츠 정치화를 그만두고 이른바 ‘외교적 보이콧’을 중지함으로써 중·미 관계의 중요 영역에서의 대화와 협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만약 미국이 독단적으로 행동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반격하는 조치를 결연하게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미국 “중국 ‘인권탄압’ 때문”···선수단은 파견키로
▲사진출처=IOC Media Flickr미국은 중국의 인권 탄압을 이유로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방침을 6일(현지시각) 공식화했다. 미국이 다른 국가들의 동참을 촉구하면서 중국의...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