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하늘이 중국 공산당 멸할 것이다" 홍콩 수천명 거리로

베이징=박수찬 특파원 오로라 기자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0-05-25 08:24

["중국의 홍콩 보안법 반대"… 코로나 이후 첫 대규모 시위]
美, 中기업 33곳 블랙리스트 올리며 "홍콩 특별지위 박탈할 수도"
中왕이 "내정간섭 용납못해"… 美中 전면전에 홍콩이 싸움터

▲ 24일(현지 시각) 홍콩 도심 코즈웨이베이에서 시민들이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한 시민(가운데)은 양손에 영국 식민지 시절 홍콩 국기와 미국 성조기를 함께 들고 있다. '하늘이 중국 공산당을 멸할 것이다(天滅中共)'라고 적힌 팻말도 보인다. 이날 반중 시위에는 수천명이 참가해 "홍콩인이여 복수하라" "홍콩 독립만이 살길이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다. /AFP 연합뉴스



중국이 홍콩 내 반(反)정부 활동을 감시·처벌하는 내용의 홍콩 국가보안법을 직접 제정하겠다고 나서자 미국이 홍콩에 부여한 무역·투자 등에 대한 특별 지위를 박탈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24일 "홍콩은 중국의 내정(內政)으로 어떤 외부의 간섭도 허용할 수 없다"며 "(법은) 유예할 수 없고, 반드시 시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미·중이 한 치 양보 없는 충돌을 계속하는 가운데 이날 홍콩에서는 코로나 사태 이후 처음으로 수천 명이 참가하는 국가보안법 반대 시위가 벌어졌다. 도심으로 나온 시위대는 '하늘이 중국 공산당을 멸할 것이다(天滅中共)'라고 적힌 팻말 등을 들고 "홍콩인이여 복수하라" "홍콩 독립만이 살길이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다. 경찰은 최루탄과 물대포를 쏘며 진압했고, 최소 200명을 연행했다.

미국은 연일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미국 상무부는 22일(현지 시각) 중국 유명 IT 기업과 공공 기관, 대학 등 33곳을 '거래 제한 명단(블랙리스트)'에 추가했다. "중국 정부와 협력해 신장위구르족(이슬람교를 믿는 중국 내 소수 민족)을 감시하고, 대량 살상 무기 기술 개발에 관여했다"는 등의 이유다. 블랙리스트에 오르면 미국 수출 길이 막히고, 미국 정부 허가 없이는 미국 기술에 접근할 수 없다.

추가 제재 대상에는 인공지능(AI) 업체인 넷포사, 중국 최대 사이버 보안 업체 치후360,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투자한 로봇 스타트업 클라우즈마인스 등이 포함됐다. 미·중 테크(기술) 냉전이 반도체 등 IT 하드웨어를 넘어 인공지능 등 소프트웨어 분야로까지 확장한 것이다. 이 분야를 미국이 선점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제재안은 주요 혁신 기업의 손발을 묶어 중국 미래 산업의 싹을 잘라버리겠다는 의도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미국 일부 정치 세력이 중·미 관계를 소위 신(新)냉전으로 밀고 가는 것이 아닌가 우려된다"며 "역사를 뒤로 돌리려는 시도는 양국 협력 성과를 망치며 미국 자신의 미래에도 손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24/2020052402106.html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에드 마키(왼쪽)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아시아·태평양소위원장이 14일 대만에 도착해 공항에서 위다레이 대만 외교부 차관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마키 의원 등 미 상하원 의원 5명은...
베이징 공기 최악 6단계... 중국發 미세먼지 추워질수록 심해진다
주말 이틀간 전국이 중국발(發) 고농도 초미세 먼지로 뒤덮였다. 중국이 이달 들어 석탄 난방을 본격 시작한 데다, 대기 정체로 국내에서 발생한 미세 먼지까지 겹쳐지면서 시간당 초미세 먼지(PM2.5)가 전국 곳곳에서 ‘매우나쁨(㎥당 76㎍ 이상)’을 기록했다....
東西진영 충돌로 번진 ‘中인권’
미국과 유럽연합(EU),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가 22일(현지 시각) 중국의 신장(新疆) 위구르족 인권 침해를 규탄하는 메시지를 동시다발로 발표했다. 미 정부가 중국의 위구르족 탄압을 ‘대량 학살(genocide)’로 규정한 가운데, 자유민주 진영의 서방 국가들이...
["중국의 홍콩 보안법 반대"… 코로나 이후 첫 대규모 시위]
美, 中기업 33곳 블랙리스트 올리며 "홍콩 특별지위 박탈할 수도"
中왕이 "내정간섭 용납못해"… 美中 전면전에 홍콩이 싸움터
▲ 24일(현지 시각) 홍콩 도심 코즈웨이베이에서 시민들이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한 시민(가운데)은 양손에 영국 식민지 시절 홍콩 국기와 미국...
"중국 전염병 추세 바꾸어 인민의 건강 지켜"
WHO와 관련국에 책임지는 태도로 상황 통보했다"
미국 등이 제기한 중국 책임론 일축
▲ 연설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CCTV 캡처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8일 코로나로 피해를 본 국가들을 위해 2년 내 20억달러(약 2조4700억원) 규모의 국제 원조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