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기자수첩] 이민자를 대체하는 ‘뉴 캐네디언’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9-04-22 00:00

통칭 이민자(Immigrant), 사회 통계학 용어로 인종적 소수자(Ethnic Minority)로 불리던 캐나다 국내 이민자 계층을 ‘뉴 캐네디언(New Canadian)’이라고 부르기 시작한 후 이 용어가 정착단계에 들어서고 있다.

보수당(Conservative) 집권 후 공식발표에 뉴 캐네디언이 등장하기 시작해 이제는 자주 볼 수 있는 단어다.

앞에 ‘뉴’를 붙여 구분 하지만 정부관계자들은 “소속감과 동질감을 줄 수 있는” 이 단어를 애용하고 있다. 혹자는 새 명칭을 다수집단이 소수집단에 대한 이질감을 줄이려는 시도로 보거나 또 다른 분류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다.

차별 오해나 시비가 일상에 발생할 때도 있지만 캐나다 국내에서는 뉴 캐네디언에 대한 이해와 연결을 넓히기 위한 큰 흐름이 있다.

한 설문조사 전문회사는 “토론토나 밴쿠버 인구의 42%는 9개 가시적인 소수민족 집중 구성원중 1명에 속해 있다”며 뉴 캐네디언 시장 접근에 필요한 조사방식을 개발하겠다고 22일 발표했다. 해당 사는 “캐나다의 현재와 미래를 보려면 ‘다양성(Diversity)’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캐나다 사회가 뉴 캐네디언이라고 부른다고 해서 우리에게 당장 캐네디언 대우를 해주는 것은 아니다. 외국자격인증(FCR)과 취업에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의 언어교육지원 문제, 이민정착서비스 개선, 차별 대응 및 제도 강화 등 이 땅에 산다는 것 만으로 겪는 마음 고생을 줄여 살기 위해 요구할 사항들이 있다. 

뉴 캐네디언으로 이런 사안에 함께 목소리를 내면서 자신의 캐네디언 후손을 위한 기틀을 닦을지, 아니면 계속해서 외국인으로 남아 자녀에게 외국인 생활을 물려줄지는 개인선택의 문제라 강요할 수는 없겠다.  사실 나열한 사항의 상당수는 각 뉴 캐네디언 사회들이 연방과 주, 지방자치제 정치인들에게 이미 제시된 것들이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