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남북경색 오래가지 않을 것”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6-18 00:00

이사람 / 손재식 前 국토통일원 장관 "거족적 통일추진력 형성 필요... 재외동포, 국제여론 형성에 기여"

“남북한의 경색국면은 오래가지 않을 것입니다. 북한은 대화에 응할 것입니다. 북한은 현재 경제적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태입니다. 또, 현정부와 과거 정부의 통일정책 노선은 부분적 차이는 있겠지만 큰 차이는 없습니다. 실용적, 실질적, 상호적 접근과 투명성을 강조하는 이명박 정부가 좀더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통일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봅니다.”

손재식(74·사진) 前 국토통일원(현 통일부)장관이 민주평통 캐나다서부협의회 자문위원과 17일 조촐한 간담회를 가졌다. 손 전장관은 캐나다 서부협의회 에드먼튼지부(지부장 정재홍)의 초청 강연을 위해 방문했다.

손 전장관의 강연은 다소 의외란 반응도 나왔다. 그가 장관을 지냈다고는 하지만 전두환 정부시절(1982년)인데다 공직을 떠난 지도 오랜 시간이 흘렀다는 점 때문이었다. 간담회가 시작되면서 이런 분위기는 씻은 듯이 사라졌다. 정용우 자문위원이 “남북 관계의 실질적 변화나 성과, 공동사업의 실익이 과연 있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손 전장관은 특유의 나지막한 목소리로 이렇게 답했다.

“25년 전 국토통일원 장관 재직시절에 20개 시범실천사업을 제의했습니다. 그 가운데 지금 실천되었거나 진행되고 있는 사항이 많습니다. 남북 관계의 큰 진전으로 평가하고 싶습니다.” 당시 전두환 정부는 남북한 당국 최고책임자 상호방문과 회담 개최, 자유관광지역의 개방, 공동어로 구역 설정, 국제경기 대회 남북 단일팀 구성 등을 제의했다.

손 전장관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대남위협, 남북한 이데올로기의 상극성, 이질화된 의식구조, 통일에 관한 북한주민의 선택권 부재 등을 통일의 장애요소로 여겼다. 이러한 장애요소 극복방안으로는 핵무기 불능화 조치를 포함한 대량살상무기의 제거를 첫손에 꼽았다. 아울러 비무장지대의 실질적인 비무장화를 통해 군사적 신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손 전장관은 또, 개성공단사업을 남북합작투자의 모델로 평가하고 남북경제 교류로부터 시작해 사회문화적 교류로 확대, 남북한 경제공동체 건설로 나아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주변국과 관련된 과거사 문제도 남북한이 공동연구하고 공동으로 대처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손 전장관은 남북한 통일을 위한 당면과제로는 ▼상호주의 원칙과 동시이행의 원칙 준수 ▼ 핵무기 폐기와 대북지원 연계 ▼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 대북지원자금 및 물자사용의 투명성 확보 ▼ 한미 공조체제의 강화 등을 지적했다. 특히, 민족자결원칙에 입각한 자주통일을 추진하기 위해 거족적 통일추진력이 형성되어야 한다고 봤다.

손 전장관은 캐나다를 비롯한 재외동포의 역할도 주문했다. 재외동포는 올바른 통일의 방향과 원칙에 대한 확고부동한 입장을 견지하고 통일의지와 추진력 결집, 민주평화통일에 관한 국제여론 형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최강일 자문위원이 “남북한 상호교류 품목에 기술표준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건의하자 손 전장관은 “남북한 규격통일은 정치색이 없어 북한에서 수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