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북극권 5국 영유권 분쟁 마침표 찍나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5-29 00:00

美·러·加·덴마크·노르웨이 한자리 담판… 석유·가스 개발권 줄다리기 예고

북극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5개국 대표들이 28일 덴마크령(領) 그린란드에서 만났다. 덴마크의 페르 스틱 묄러(Moller), 러시아의 세르게이 라브로프(Lavrov), 노르웨이의 요나스 가르 스퇴르(Stoere) 등 세 외무장관과 미국의 존 네그로폰테(Negroponte) 국무부 부장관, 캐나다 게리 런(Lunn) 천연자원부 장관이 그들이다.

회의 참가 5개국은 새로운 자원의 보고(寶庫)로 떠오른 북극의 영유권 마찰을 29일까지 매듭짓고 조만간 자원 개발에 나서자는 입장이다. 하지만 묄러 장관이 "우리도, 상대방도 각각의 주장이 있다"고 한 것처럼 각국 이해관계가 엇갈려 합의는 쉽지 않아 보인다.

1982년 제정된 유엔 해양법은 북극에 대한 개별 국가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대신 북극해와 인접한 5개국의 200해리(약 370km) 경제수역은 인정한다. 아울러 북극해 대륙붕이 본토와 연결된다는 사실을 입증할 경우 추가적인 영유권 확보가 가능하다.



이 영유권 분쟁에 불을 댕긴 것은 러시아. 작년 8월 잠수정 2대를 북극 심해 로모노소프 해령으로 파견, 티타늄으로 만들어진 러시아 국기를 꽂았다. 북극해가 러시아의 영토임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러시아는 로모노소프 해령(海嶺·해저 산맥)은 자국의 시베리아와 연결돼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자 덴마크가 로모노소프 해령은 시베리아가 아닌 그린란드에 연결된 것이라고 반박했고, 나머지 국가들도 저마다 '북극은 우리의 것'이라며 반발했다.

이렇게 5개국이 갈등하는 것은 북극해에 매장된 것으로 알려진 에너지 자원 때문이다. 작년 '우드 맥킨지' 보고서는 북극해 해저와 연안의 석유·천연가스 매장량이 2330억배럴이라고 추정했고,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1660억배럴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전 세계 미확인 석유·가스 매장량의 20~25%에 이른다.

북극점을 중심으로 한 북극 외에 주변 해역에서의 개별국 간 분쟁도 이번 '북극 5개국 회의'의 관심거리다. 덴마크령 그린란드와 캐나다 엘즈미어섬 사이에 위치한 면적 0.8㎢의 바위섬인 한스섬을 놓고는 덴마크와 캐나다가 다투고 있다. 주변 해역에 묻힌 것으로 추정되는 다이아몬드 등 광물과 에너지 자원 때문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