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UCC가 대세…”UCC를 잡아라”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4-06 00:00

캐나다에서 인기 있는 동영상 UCC는?

종이를 만드는 기술은 1세기 중국에서 개발돼 10세기경 유럽에 전래됐다. 기술 전달에 거의 1000년이 걸린 것이다. 그러나 지금, 새로운 발상이나 기술이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초 단위다. 뿐만 아니라 과거에는 장인들만이 보유하던 기술들이 이제는 일반인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다. 사용자가 직접 내용을 개발하고 만들어 나누는 UCC시대가 열렸기 때문이다.  UCC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전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보다는 느리지만, 확실하고 또한 빠르게 캐나다에서도 그런 문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캐나다인들 사이에 캐나다 문화 자체로만 화제가 된 동영상 UCC는 아직까지는 많지 않은 편이다. 뉴미디어 센터의 찰스 로트넘 부장은 “캐나다인들은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편인지 한국인에 비해 아직 남들에게 공개되는 UCC 제작에 크게 열을 올리는 것 같지는 않다”면서 “그러나 젊은 층을 중심으로 서서히 UCC 제작이 인기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만큼은 아니지만 캐나다에서도 화제가 되는 동영상들은 있다.
 미국 풍자가수 “위얼드 알” 얀코빅의 ‘Canadian Idiot’ 패러디는 최근 캐나다인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얀코빅의 노래를 사용해 나름대로 편집한 영상들이 올라오고 있다. 캐나다인들을 무시하는 내용처럼 들리지만 사실은 미국인이 가진 캐나다인들에 대한 편견을 비꼰 내용이다(youtube.com/watch?v=Rt1_6uz_sVU).

 또 다른 화제의 UCC는 13살 아이스 하키 신동. 골리를 속여 골을 넣는 모습이 부러움과 찬사를 사고 있다(youtube.com/watch?v=HoedHDZER7k).

 한편 정치적인 UCC로는 알파중대 제2소대 ‘레드 데빌’과 탈레반 반군의 교전 장면이 캐나다 네티즌들 사이에서 꾸준한 화제가 되고 있다. 이 UCC에 대해 캐나다 네티즌들은 파병 찬반 논쟁에서부터 인종 혐오에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견을 내놓았다 (youtube.com/watch?v=qaC-w2dIxZc). 꾸준한 화제가 되고 있는 또 다른 동영상은 캘거리 소재 한 나이트 클럽 출입을 둘러싸고 일어난 일을 담은 PCC다 (youtube.com/watch?v=plQpLPy1eao).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UCC가 뭐길래?

 요즘 신문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인 UCC는 풀어 쓰면 ‘User Creative Contents’로, 직역하면 ‘사용자제작물’을 뜻한다. 한국에서는 UCC라는 용어를 많이 쓰지만 캐나다에서는 같은 의미인 UGC(User Generated Contents)로 칭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현재 UCC는 동영상 부문이 유튜브(youtube) 등을 통해 인기를 끌고 있지만 UCC의 장르는 동영상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블로그, 포드캐스트, 디지털 사진, 오픈소스 프로그램(코드가 공개된 무료프로그램)까지 장르는 다양하다.
 
 UCC자체는 인터넷 시대 혹은 월드와이드웹(www) 이전부터 있었다. 전화 모뎀을 사용해 접속하는 BBS 등 제한적인 영역에서 문자 UCC는 스타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한국 UCC스타 중 원조격이라고 할 수 있는 사례는 1996년말 하이텔에 드래곤라자를 연재해 조회수 100만건을 기록한 이영도씨가 있다.
 
 사용자들의 저술을 통해 작성된 인터넷 사전 위키피디아는 UCC확산의 계기로 2005년 7월 7일 영국 런던 폭탄테러 사건 당시 현장에 있던 사람들이 사진을 찍어 올리면서 이뤄졌다고 기술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이미 2003년 2월28일 발생한 대구지하철참사 ‘폰카’UCC가 화제가 됐다.
 
 개인이 공급하는 UCC의 다양성만큼이나 UCC를 보고 개인들이 느끼는 재미 혹은 불편함도 다양하다. 예를 들어 한국 드라마의 통속성을 풍자한 한인 2세 바비 리의 한국드라마 시리즈물 ‘태도’를 보고 재미있다는 평을 하는 사람도 있는가 하면 한국인 비하라며 화를 내는 사람들도 있다(youtube.com/watch?v=4xgN4FesDGk).
 
 UCC에 대한 반응은 가지각색이지만 한가지 분명한 것은 개인의 생각이 집단에게 확산-전달되는 경로로 UCC가 가장 효과적인 방식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이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