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美 언론 "북 2차 핵실험 징후"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6-10-17 00:00

美·日, 추가 실험땐 전면 경제봉쇄 추진
북한에서 2차 핵실험 징후가 포착된 가운데, 미국과 일본은 북한이 2차 핵실험까지 강행할 경우,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 1718호보다 더 강한 전면적 대북 경제봉쇄 결의를 추진할 것으로 17일 알려졌다.

전면적인 경제봉쇄를 내용으로 하는 결의가 추가로 채택될 경우, 북한의 대외교역은 인도주의적인 물자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중단될 수 있다. 중국에서 북한으로 매일 들어가는 식량과 석유 공급까지 본격적으로 문제될 가능성이 높다. 또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등 현금이 지급되는 남북 간의 경협 중단 압력도 더욱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일각에서는 미국이 이번에는 유엔헌장 7장 42조(군사조치)를 명시할 것을 보다 강력하게 추진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이에 앞서 미국 ABC방송은 북한의 1차 핵실험 장소 인근에서 수상한 차량의 움직임이 있으며, 북한이 2차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NBC방송도 북한이 2차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과 사람들의 움직임을 미국 정찰위성이 포착했다고 보도했다. 정부 당국자는 “정부도 이와 연관된 징후를 알고 있으며, 한·미 정보 공유를 더욱 강화한 가운데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하원기자 may2@chosun.com
 
 
백악관 “2차 핵실험 예상은 합리적”… 1차보다 클 듯
안보리 대북제재 이후 … 내일 라이스 방한·내달 美선거前 가능성
1차 실험했던 풍계리 일대 갱도가 유력

토니 스노 미 백악관 대변인은 17일 북한이 두 번째 핵실험을 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은 합리적인 것이라고 말했다. 스노 대변인은 “북한은 도발적이 되고 싶어하는 열망을 숨기지 않아왔다”며 “1차 실험은 핵실험이긴 하지만 폭발력이 작았고…”라면서 이 같이 말했다. 미국의 언론들도 정보 소식통을 인용, 북한이 1차 핵실험을 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일대에서 차량 이동이 포착됐다며 2차 핵실험의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우리 나라와 미국·일본이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북한 외무성은 이날 성명에서 “우리는 금후 미국의 동향을 주시할 것이며 그에 따라 해당하는 조치를 취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차 실험 강행할까

정부 당국자들은 이날 “북한의 추가 핵실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안보 전문가들은 북한의 2차 핵실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남주홍 경기대 교수는 “북한이 반드시 2차 실험을 할 것”이라며 “원래 1,2차 핵실험을 거의 동시에 하는 것이 원칙인데, 북한 감시 카메라 장비 등에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핵실험 장소로는 1차 핵실험을 했던 함북 풍계리 부근이 유력하다. 정보 당국은 풍계리 인근에 핵실험을 하기 위한 수평갱도가 약 5㎞에 걸쳐 거미줄처럼 연결돼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곳에 관측 장비가 모두 설치돼 있어 장소를 옮겨서 추가 핵실험을 실시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방한 중인 미하일 프라드코프 러시아 총리는 이날 “북한이 2차 핵실험을 하지 않을 것이라 믿으며, 만약 실험을 한다면 절대로 안된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다면 언제 할까

오는 19일 한·미·일 3국 외무장관 회담이 서울에서 개최될 때가 북한의 1차 목표일 가능성이 높다. 반기문(潘基文) 차기 유엔 사무총장,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외무상이 유엔 안보리 대북결의의 이행을 발표할 때 도발할 가능성(백승주 국방연구원 대북정책실장)이 있다는 것이다. 지난 9일 핵실험도 대북 강경책을 펼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서울 도착(9일)에 맞춘 것 아니냐는 분석이 있었다.

늦어도 다음달 7일 미국의 중간선거 이전에는 추가 핵실험을 결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많다. 1차 핵실험과 시차가 지나치게 많이 날 경우 효과를 극대화하지 못한다는 판단 때문이라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2차 핵실험의 강도가 더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유호열 고려대 교수는 “1차 핵실험 당시의 실패 논란을 없애기 위해서 더욱 정교하게 강도 높은 핵실험을 해서 분명한 핵 보유국으로 인정 받으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2차 핵실험을 할 때는 북한의 고위 관계자들이 현장 인근에서 참관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2차 핵실험 후 추가도발?

북한은 2차 핵실험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상황 악화 방안을 준비했을 가능성도 있다. 핵 보유국인 자신들에게 함부로 대응하지 못할 것이라는 판단 하에 다른 도발을 할지 모른다는 것이다.

남주홍 교수는 “북한이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이행시 제2의 서해교전을 유발하거나, 우리 정부가 제재에 들어갈 경우 금강산관광·개성공단과 관련된 우리측 재산을 동결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미국을 향해 더 큰 도발을 감행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백승주 실장은 7월과 비슷한 형태의 대포동 2호 추가 발사를 예상했고, 국책연구기관의 한 연구원은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를 받지 않겠다는 의미의 회원국 탈퇴 가능성을 점치기도 했다.

이하원기자 may2@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