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뤼도, 빠르고 저렴한 '조립식 주택'에 투자
캐나다의 모듈식 주택과 조립식 주택의 개발을 확대하기 위한 ‘주택 건설 혁신 이니셔티브’에 6억 달러의 자금이 투입될 전망이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5일 캘거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주택 소유주와 세입자들이 집을 더 쉽고 저렴하게 지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6억 달러 규모의 대출과 자금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조성된 자금 중 5억 달러는 조립식 또는 모듈식 주택 제조업체 및 기타 건설업체가 혁신적인 건설 기술로 프로젝트를 육성할 수 있도록 저금리 대출 형태로 지원된다. 여기에서 ‘딸기상자 집’(Strawberry box homes) 또는 ‘승리의 집’(Victory homes)으로 명명되던 80년 전 전시 주택(wartime housing)들이 청사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연방정부는 사전 승인된 현대화된 주택 디자인 카탈로그에 처음으로 자금을 할당했다. 트뤼도는 "우리는 2차 세계대전 당시의 주택 건설 속도로 공급을 가속화하고 싶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의 접근 방식을 바꾸고 혁신적인 기술을 채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외 나머지 5000만 달러는 조립식 주택에 사용되는 기술 및 자재를 확대하고 상용화하기 위한 ‘주택 건설 기술 및 혁신 기금’으로 사용되고, 또 다른 5000만 달러는 로봇공학, 3D 프린팅 및 자동화를 통해 건물 설계를 현대화하려는 지역 이니셔티브에 사용될 방침이다. 트뤼도는 “이 새로운 자금 패키지가 캐나다의 주택 건설 방식에 변화를 주고, 현재의 주택 부족난을 해소하며, 더 쉽고 저렴하게 건설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했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최희수 기자
2024-04-05 14:23:05
-
“캐나다 집값 2026년 최고치 찍는다”
캐나다 집값이 오는 2026년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란 새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CMHC)가 4일 발표한 최신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주택 가격은 내년까지 2022년 초 기록한 최고 수준으로 반등하고, 2026년에 역대 최고치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전망은 작년에 임대 주택 수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향후 몇 년 동안 임대료가 상승하고 공실률이 낮아질 것이란 분석에 따른 것이다. CMHC의 밥 듀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자금 조달 환경이 순조롭지 않게 흘러가면서 주택 건설 업체들이 올해 새로운 임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가 더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2025-2026년에는 더 낮은 금리, 지속적인 정부 지원, 도심 밀집도 증가를 장려하는 정책이 더 많은 프로젝트를 실행 가능하게 만들 것이란 전망이다. CMHC는 “그러나 모기지 금리 하락과 1950년대 이후 가장 강력한 인구 증가가 주택 매매와 가격의 반등을 촉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택 소유 시장의 가격 적정성 문제는 향후 3년간 주요 관심사가 될 것”이라고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 거래는 지난 2021년 초 정점에서 2023년 말까지 약 3분의 1 감소하고 집값은 약 15% 하락한 반면, 같은 기간 잠재적 주택 구매자의 규모는 강력한 인구 증가, 저축 및 소득 증가에 힘입어 확대된 상태다. CMHC는 "올해 하반기 모기지 금리와 경기 불확실성이 떨어짐에 따라 매수자들의 시장 복귀가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캐나다 전역의 저가 주택 및 시장으로의 수요 변화도 집값 부활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2025년부터 2026년까지의 주택 거래 활동의 경우 지난 10년 평균을 약간 웃돌겠지만, 여전히 비싼 집값으로 인해 2020년~2021년의 기록적인 수준에는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CMHC는 또한 금리 인상이 신규 건설에 미치는 지연 효과(Lagged effect)로 인해 캐나다의 주택 착공이 올해 감소한 후 2025년과 2026년에 회복될 것으로 봤다. 지난 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의 6개 도시에서는 이미 작년에 13만7915채의 신축 아파트가 건설되기 시작했다. 다만 주택 착공에 관한 지역별 편차는 다소 예상된다. 온타리오와 BC에서는 개발사가 자금 조달 비용과 같은 어려움을 겪으면서 전국 주택 착공 감소를 주도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에 앨버타·서스캐치원·매니토바 3개주는 저렴한 주택 가격과 더 강력한 경제 전망으로 주택 구매자와 구직자를 끌어들여 건설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최희수 기자
2024-04-05 13:06:00
-
트뤼도 정부, 임대주택 세입자 보호 강화
트뤼도 정부가 임대 주택 세입자들의 주거 안정을 돕기 위해 15억 달러를 새롭게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4일 위니펙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저렴한 임대 주택을 더 많이 공급하기 위한 기금으로 15억 달러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가오는 2024년 예산안에 포함될 새로운 ‘캐나다 임대 보호 기금’(Canada Rental Protection Fund)은 비영리 단체 및 기타 주택 협회에 10억 달러 상당의 대출과 4억7000만 달러의 보조금을 제공하여 저렴한 임대 주택을 매입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골자로 한다. 트뤼도는 "안타깝게도 너무 많은 곳이 콘도를 짓기 위해 철거되거나 투기꾼과 대기업에 매각될 위험에 처해 있다"며 “이로 인해 기존의 세입자들은 저렴한 보금자리를 잃게 되고 더 높은 임대료에 직면하게 된다”고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따라서 정부는 비영리 단체와 지역사회 파트너들이 렌탈 유닛을 구매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준의 임대료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 계획은 BC주에서 이미 시행되고 있는 ‘BC임대 보호 기금’ 프로그램에서 착안했다. 정부에 따르면 BC주는 지난해 5억 달러의 예산을 들여 저렴한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세입자를 보호할 기금을 도입했다. 앞서 지난 2월 BC정부는 비영리 주택 기관이 코퀴틀람에 있는 2개의 협동 조합 주택을 매입할 수 있도록 임대 보호 기금 중 1억2500만 달러를 지원했다. 한편, 이번 공약은 지난 주에 시작된 선거운동 일환의 사전 예산 투어(pre-budget tour)에서 트뤼도 정부가 발표한 신규 주거 대책 중 하나다. 정치적 초점이 주거 정책에 맞춰진 것은 주택 건설을 촉진하고 수요와 공급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상당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지속적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이에 트뤼도는 이외 △아파트 대출 건설 프로그램에 150억 달러 증액 △40억 달러 규모의 주택 개발 가속 기금에 4억 달러 추가 투입 △상하수도 시스템 등 개선을 위한 주택 인프라 기금에 60억 달러 투자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최희수 기자
2024-04-05 10:04:56
-
-
BC 단기매매 투기에 ‘세금 폭탄’··· 법안 통과될까
단기 매매 부동산 투기 방지를 골자로 하는 ‘주택 단기 보유 양도소득세’(home-flipping tax; HFT) 법안이 마침내 3일 상정됐다. 카트린 콘로이 BC재무장관은 이날 BC주 의회에서 ‘주택 단기 보유 양도소득세’ 법안을 발의하며, 이 세금이 투기꾼 수요를 억제해 BC주의 주택 공급 상황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월 BC NDP정부가 2024년 예산안에 처음 명시한 이 법안은 투자자들이 빠른 이익 창출을 위해 주택을 구입하고 양도하는 행태를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에 따르면 HFT는 주거용 주택을 구입한 후 2년 이내에 판매하여 얻은 이익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차익에 대해 최대 20%까지 세금이 붙는 구조다. 세율은 주택 매입 후 1년 안에 팔면 20%고, 1년 이후(구매 후 366일에서 730일 사이)부터는 보유 일수에 따라 세율이 점차 낮아진다. 주택 소유권을 가진 지 2년이 지나면 세율은 0%가 된다. 이는 단기매매 차익을 목적으로 하는 투기꾼들의 거래 활동을 최대한 근절하겠다는 의도다. 다만 별거/이혼, 사망, 장애/질병, 직장 이동, 비자발적 실직, 신변 안전 등 이유에 대해서는 일부 면제가 제공될 예정이다. 법안이 통과되면 ‘주택 단기 보유 양도소득세’ 법안은 2025년 1월부터 발효되며, 세금은 2023-2024년 과세 연도로 소급된다. 한편,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에서 2022년 사이 BC주에서 판매된 주택의 약 7%는 2년 이내에 재판매된 주택인 것으로 나타났다. BC정부는 ‘주택 단기 보유 양도소득세’를 통한 세입이 약 4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간 약 4000건의 주택 거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이어 콘로이는 “법안이 시행되면 앞으로 주택 구입을 희망하는 BC가정이 주택 매입 시 부유한 투기꾼들과 가격 경쟁을 할 필요가 없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최희수 기자
2024-04-03 17:06:41
-
“건설 속도 높여 임대 주거난 해소”
트뤼도 정부가 이번엔 2024 예산안 공약의 일환으로 캐나다 전역의 임대 주택 공급을 늘리기 위한 건설업계 자금 지원 방안을 내놓았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3일 토론토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연방정부의 아파트 건설 대출 프로그램(ACLP)에 150억 달러를 추가 지원하고, 프로그램의 자격 요건을 새롭게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017년 출범한 ACLP는 신축 임대 아파트를 건설하는 자격 있는 건설사에 저금리 대출을 제공하는 연방정부의 주택 전략 프로그램이다. 정부는 지금까지 ACLP에 180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배정해 4만8000채 이상의 임대 주택을 건설했다. 이번 150억 달러 자금 지원은 연방정부가 지난 가을 경제 성명에서 발표한 또 다른 150억 달러 지원에 이어 나온 것이다. 이번 신규 자금 투입으로 ACLP에 조달된 자금 총액은 현재 550억 달러 규모에 이른다. 트뤼도는 “ACLP에 대한 자금 투자는 임대 주택의 개발 속도를 높이고 필요한 규모의 프로젝트를 건설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우리는 향후 10년 내에 13만1000채 이상의 새 임대 아파트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방정부는 또한 건설사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빠른 프로젝트 진행이 가능하도록 ACLP의 자격 요건을 새롭게 개정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대출 조건 연장 △학생 및 노인을 위한 주택을 포함하도록 금융 접근성 확대 △여러 건설 현장을 한 번에 진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조치 등이 포함된다. 주택 건설사들이 ACLP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제안된 건설 프로젝트들이 최소 5개의 렌탈 유닛를 보유해야 하고, 대출 규모가 최소 100만 달러 이상이어야 하며, 주택 시장에서 임대 공급에 대한 필요성이 인정되어야 한다. 아울러 ACLP 대출을 관리하는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CMHC)는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제안된 프로젝트의 유닛들 가운데 20%가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가구 중위 총소득의 30% 미만에 해당하는 임대료를 가져야 하며, 총 주거 임대 수입은 달성 가능한 총 주거 수입보다 적어도 10% 이상 낮아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트뤼도는 이날 건설 대출 자금 확대와 더불어 연방정부가 캐나다 전역에 더 많은 임대 주택을 건설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새로운 ‘Canada Builds’ 이니셔티브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Canada Builds’는 BC주에서 올해 출범한 ‘BC Builds’를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으로, 주와 준주가 연방 대출에 접근하여 캐나다 중산층이 감당할 수 있는 저층 및 고층 아파트를 더 많이 건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에 따르면 ‘Canada Builds’는 ‘BC Builds’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참고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BC Builds’를 통해 자금을 조달받기 위해서는 주정부와 지자체, 원주민 및 비영리 단체 소유의 활용도가 낮은 부지에 임대 주택을 건설하고, 개발 승인 일정을 12개월에서 18개월 이내로 단축하기 위해 프로세스를 간소화해야 한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최희수 기자
2024-04-03 14:36:31
-
BC, 갑질 일삼는 악덕 집주인 ‘철퇴’
▲데이비드 이비 BC 수상 (BC Government Flickr)
BC 정부가 월세를 올리기 위해 기존 세입자를 내쫓는 악덕 주택 임대인에
대해 철퇴를 내린다.
데이비드 이비 BC 수상은 2일
기자회견을 열고, 부당한 퇴거 및 월세 인상으로부터 세입자 보호를 골자로 하는 주거용 임대차법(Residential Tenancy Act) 개정안을 발표했다.
이비 수상은 “대다수의 집주인과 세입자는 법을 준수하고 서로 존중하는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여전히 BC에서는 너무 많은 세입자들이
불공정한 월세 인상 및 퇴거와 장기간의 임대차 분쟁에 시달리고 있다”며 “이에 정부는 임대 시장의 모든 사람을 보호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제까지 BC에서는 집주인 본인이나 직계가족이 주택에 입주한다고 속여 기존의 세입자를
퇴거시킨 후, 더 비싼 월세로 새로운 세입자를 들이는 ‘꼼수
인상’이 암암리에 있어왔다.
이를 막기 위해 BC 정부는 개인 용도로 주택을 사용하려고 기존의
세입자를 퇴거시키는 경우, 이에 대한 내용을 설명해야 하는 통지서 작성을 의무화할 방침이다. 이 통지서에 대한 정보는 당국에 보고되며, 퇴거 후에는 감사가 진행된다. 또한 집주인이 직접 거주하기 위해 임대차 계약을 종료한 후, 해당
주택에 거주해야 하는 최소 기간도 기존의 6개월에서 12개월로
늘어난다.
세입자 퇴거를 위한 최소 사전 통보 기간도 길어진다. 임대차 계약
위반으로 인한 퇴거의 경우에는 최소 1개월 전에 사전 통보를 해야 하고, 집주인이 개인 용도로 주택을 사용할 때는 2개월, 철거 및 대규모 수리를 하는 경우에는 4개월 전에 세입자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또한 세입자에게 아이가 생겼다는 이유로 월세를 인상하는 것 또한 금지된다. 주정부에
따르면 이 개정안은 갓난아이뿐만 아니라 19세 미만 자녀라면 모두 적용되며, 임대차 계약서에 새 입주자가 추가되면 월세를 인상한다는 조항이 있더라도 임대료 최대 인상률 상한선(3.5%)을 초과하는 인상은 허용되지 않는다.
한편 BC 정부는 임대차 분쟁위원회(RTB)
소속 직원을 추가로 투입하는 등 투자를 확대한 결과, 임대차 분쟁이 신속하게 해결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에 따르면 분쟁 해결 평균 소요 시간은 2023년 2월 10.5주에서 올해 2월 5주 이내로, 절반 이상 감소됐다.
손상호 기자 ssh@vanchosun.com
손상호 기자
2024-04-02 15:23:13
-
캐나다, 거주밀도 높여 주택난 해결 나선다
연방정부가 최근 인구의 급증으로 심화하는 주택난 해결을 위해, 타운하우스
개발을 확대하는 등 도심 내의 거주밀도를 높일 계획이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2일 기자회견을 열고, 60억 달러를 투자해 주택난을 겪고 있는 캐나다 지자체의 주택 개발 가속화를 돕겠다고 밝혔다. ‘캐나다 주택 인프라 기금’이란 이름의 이번 프로그램은 오는 16일에 발표될 2024년 예산안에 포함된다.
연방정부에 따르면 주택 인프라 기금에는 상하수도, 폐수, 우수(stormwater), 고형폐기물(solid waste) 시스템 등 당장 개선이 필요한 인프라 시설에 대한 지원금 10억 달러가 동반되며, 나머지
50억 달러는 주·준주 정부와 협상을 통해 배분될 예정이다.
각 주·준주는 이번 기금 지원을 받기 위해 ▲듀플렉스·트리플렉스와 타운하우스 등의 주택을 더 많이 건설하고, ▲인구가 30만 명 이상인 지자체에 대한 개발 부담금 인상을 3년간 동결해야 하며, ▲연방정부가 세입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최근에
발표한 캐나다 임차인 권리장전(Canadian Renters’ Bill of Rights)을 시행해야
한다.
이 협상의 마감일은 내년 1월 1일(준주는 4월 1일)이며, 만약 이때까지 합의를 하지 못하면 지원금 자격은 지방정부로
이행된다. 각 주·준주에 할당될 기금 규모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연방정부의 이번 발표에 앞서 BC주는 주택난 해결을 위해 타운홈과
듀플렉스·트리플렉스 등의 주택 개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리고 BC 정부는 캐나다 임차인 권리장전에 대해서도 환영의 뜻을 밝혔던 만큼, 연방정부와 BC주 간의 협약은 성사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리고 이날 연방정부는 캐나다 주택 인프라 기금과는 별개로, 40억
달러 규모의 ‘주택 개발 가속 기금(Housing
Accelerator Fund)’에 4억 달러를 추가로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향후 3년 동안
1만2000호의 신규 주택이 신속하게 건설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트뤼도 총리는 연방정부가 조만간 발표할 대중교통 기금(public
transit fund)을 확보하기 위해 각 지자체가 ▲대중교통 노선 800미터 이내 지역의
주차 공간 최소 비율 의무화 폐지, ▲대중교통 노선 800미터
이내 지역의 고밀도 주택 허가 ▲고등교육 기관 800미터 이내 지역의 고밀도 주택 허가 ▲인구 3만 명 이상인 모든 지역사회에 대한 주택 수요 평가 완료 등의 조건을 지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트뤼도 총리는 “지금 우리는 더 많은 주택을 더 빨리 지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주택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인프라를 구성해야 한다”며
“정부가 발표한 이번 기금으로 집값이 너무 비싸 뒤처지고 있다고 느끼는 젊은 세대에게 공정한 기회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손상호 기자 ssh@vanchosun.com
사진출처= Getty Images Bank
손상호 기자
2024-04-02 13:45:02
-
-
세입자 울리는 '월세 뻥튀기' 막는다
연방정부가 주택 임대료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임차인에 대한 보호와 권리를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27일 밴쿠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입자에 대한 보호를 강화할 수 있는 '캐나다 임차인 권리장전(Canadian
Renters’ Bill of Rights)’을 내달 공개될 2024년 예산안에 포함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최근 캐나다 대부분의 시장에서는 임대 수요가 공급을 앞지르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모기지 주택공사(CMHC)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임대 아파트(주택)의
공실률은 1.5%로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주택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임대료 역시 상승할 수밖에 없는데, 지난 2월 캐나다 전국 평균 월 임대료는 2193달러로 이전해 동기 대비 10% 이상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일각에서는 임차인들을 보호하거나
이들을 위한 혜택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져 오고 있었다.
이날 정부에 따르면 새롭게 도입될 권리장전을 통해, 임대인들은 새로운
임차인과 임대 계약을 하기에 앞서 해당 주택의 이전 임대료 내역을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한다. 집주인이
더 높은 월세를 받기 위해 기존의 세입자를 퇴거하는 일을 막기 위한 조치다. 이에 따라 임차인들은 보다
더 공정하게 임대료 협상을 할 수 있고, 더 많은 선택권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날 정부가 발표한 조치에는 부당한 임대료 인상과 퇴거 조치 등 악덕 임대인들의 행패로부터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한 1500만 달러의 법률 지원 기금도 포함될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는 캐나다 모기지 헌장을 개정해, 임차인들이 월세를 밀리지
않고 제때 납부하면 이에 대한 이력을 신용 점수에 반영될 수 있도록, 은행 및 신용조사 기관들에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해 트뤼도 총리는 “신용 점수가 높아짐으로써 임차인들은 훗날
주택을 구매할 때, 보다 더 수월하게 모기지 자격을 얻거나 더 낮은 이자율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캐나다 임차인 권리장전이 포함된 2024년 연방 예산안은 오는 4월 16일에 발표될 예정이다.
손상호 기자 ssh@vanchosun.com
사진출처= Getty Images Bank
손상호 기자
2024-03-28 12:58:09
-
加 모기지 금리 올해 얼마나 떨어질까
캐나다의 평균 변동 모기지 금리가 올 봄부터 서서히 하락해 연말에는 5%대까지 내려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BC부동산협회(BCREA)가 최근 공개한 모기지 금리 예측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의 평균 변동형 모기지 금리는 올해 1분기 6.6%에서 올해 4분기 5.70%까지 떨어질 전망이다. 이번 모기지 금리 인하 전망은 올해 상반기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이란 짙은 기대감에 따른 것이다. 캐나다 중앙은행(BoC)의 첫 번째 기준 금리 인하는 오는 6월 중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기준금리는 현행 5.0%에서 4.75%로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른 모기지 금리는 변동형 기준 1분기 6.6%에서 2분기 6.45%로 하락하고, 3분기에 6.20%로 떨어졌다가, 4분기에 5.70%를 찍을 것으로 예상된다. 모기지 신청시 심사 기준으로 삼는 5년 고정 모기지 승인 이율(mortgage qualifying rate)은 올해 1·2분기 7.24%를 유지하다 3분기 7.15%로 첫 인하 후, 4분기에 7.05%로 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BCREA는 “부채가 많은 모기지 대출자들이나 주택 구입을 위해 시장 상황이 나아지기를 기다려온 예비 주택 구매자들에게는 안도감을 주는 소식”이라며 “캐나다 중앙은행의 모기지 금리 인하 시기가 빨라질 수록 모기지 금리도 영향을 받아 빠르게 떨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2025년 들어서는 모기지 금리 인하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1분기 캐나다의 평균 변동형 모기지 금리는 5.20%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어 2분기에는 4.70%로 내려가고, 3분기에는 4.45%, 4분기에는 4.20%를 찍을 것이란 예상이다. 앞서 변동형 모기지 금리는 지난 2022년 7월에 4% 초반을 기록한 바 있다. 5년 고정금리 또한 내년에는 6%대까지 떨어질 전망이다. 2025년 5년 만기 기준 고정금리는 △1분기 6.95% △2분기 6.85% △3·4분기 6.75%로 추정된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최희수 기자
2024-03-27 12:46:08
-
쏟아지는 프리세일··· 광역 밴쿠버 ‘분양 러시‘
광역 밴쿠버와 프레이저 밸리 지역 내 신규 분양(Presale) 사업이 눈에 띄게 활발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동산 중개업체 ‘MLA Canada’가 19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월에만 이 지역에 콘크리트 주택 1348세대, 목재 골조 주택 424세대, 타운하우스 378세대 등 총 2150세대의 신규 분양 물량이 나올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월은 광역 밴쿠버와 프레이저 밸리의 부동산 이사회 관할 구역 내에서 주택 분양 활동이 매우 강력한 달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상당수의 콘크리트 주택 분양은 △웨스그룹 개발사의 ‘Reign north tower’ 프로젝트, △앤섬 개발사의 ‘Ethos tower’ 프로젝트, 써리 보사 개발사의 △‘Parkway 2 tower’ 프로젝트가 주도했다. 각 프로젝트를 보면 버나비 메트로타운의 ‘Reign’은 총 600세대로 건설되고, ‘Ethos’는 총 218세대, 써리의 ‘Parkway 2’는 총 562세대로 지어진다. 보고서는 이 달 안에 모든 주택 유형 중에서 총 14개 프로젝트가 로어 메인랜드에서 분양을 시작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올해 2월에 보고된 6개 프로젝트(분양 물량 총 590세대), 지난 1월의 3개 프로젝트(434세대)보다 많은 수준이다. ‘MLA Canada’의 가드 맥도널드(MacDonald) 자문 이사는 "리세일 시장(Resale market)에 맞춰 신규 프리세일 공급 물량도 전월 대비 증가해 전형적인 계절성에 부합했다"며 “우리는 신규 프로젝트 분양이 2월부터 3월까지 두 배로 증가하고, 올해 남은 기간 동안 시장 폭(market breadth)의 조짐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봤다. 오는 5월부터 시작되는 주정부의 새로운 단기 임대 제한 조치의 여파가 얼마나 클 지는 아직 미지수다. 다만 ‘MLA Canada’는 단기 임대 제한이 투자 부동산이나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목조 주택 프로젝트의 수요에 일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희수 기자 chs@vanchosun.com
최희수 기자
2024-03-22 14:1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