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북한 TV·신문 및 여타 출판물에 대한 일반 국민의 시청·열람 금지를 해제할 계획이라고(plan to lift its ban on public access to North Korean TV, newspapers and other publications) AP통신이 보도했다. AP통신은 최근 통일부가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한 내용을 인용, 남북한 간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boost mutual understanding), 한민족 정체성을 복원하며(restore the Korean national identity) 장차 통일을 준비하는 노력의 일환으로(as part of its efforts to prepare for a future unification) 이같이 점진적으로 문호를 개방하는(gradually open the door)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남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한 국경을 따라 분단된(be divided along the world’s most heavily armed border) 이후 상호 영토 방문과 전화·편지 교환을 금지해왔으며(prohibit their citizens from visiting each other’s territory, and exchanging phone calls and letters), 각각의 신문·방송·웹사이트 접근도 차단해왔다(block access to each other’s newspapers, TVs and websites).

 

통일부는 수십 년에 걸친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in a bid to break through the decadeslong situation) 우선 북한 방송 시청을 허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북한 측에도 비슷한 조치를 취하도록 고무한다는(encourage it to take similar steps) 방침 아래 관계 당국과 관련 내용을 협의 중인(discuss with relevant authorities)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로선(for the present) 북한이 화답할 가능성은 작다(be unlikely to reciprocate). 남한의 문화·미디어 콘텐츠가 북한 독재 정권에 엄청난 위협을 가할(pose a huge threat to its dictatorial regime)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우려에서 북한의 김씨 왕조는 3대에 걸쳐 주민들의 외부 정보 접근을 엄격히 제한해왔다(strictly restrict its residents’ access to outside information).

 

전문가들은 북한 신문·TV·출판물을 개방하더라도 친북 정서를 부추기는(promote pro-North Korean sentiments) 결과를 초래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관측한다. AP통신은 한국은 이미 세계 10대 경제 대국(the world’s 10th-largest economy)이 된 데다 지구촌 문화 강국(global cultural powerhouse)으로도 자리 잡았다며, 2019년 현재 국내총생산(GDP·Gross Domestic Product)은 북한의 54배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은 현재 공식적으로는 북한 웹사이트, 국영 매체 홈페이지 등에 대한 접근을 금지하고 있으나 단속은 거의 하지 않고 있으며(rarely crack down on them), 유튜브에서 볼 수 있는(be available on YouTube) 북한 영화·노래·선전물 등도 언제든 접속이 가능하다(be always accessible).

 

[영문 참고자료 사이트]

 

https://www.voanews.com/a/south-korea-to-lift-ban-on-north-korea-tv-newspapers-despite-tensions/666967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