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에 오른 가장 긴 영어 단어는 ‘실리카 먼지 흡입으로 생기는 폐 질환(lung disease)’을 뜻하는 pneumonoultramicroscopicsilicovolcanoconiosis로, 글자가 무려 45자다(consist of a whopping 45 letters). 실제로 쓰는 단어 중 가장 긴 것은 36자인 hippopotomonstrosesquipedaliophobia인데, 그 의미는 아이러니하게도 ‘긴 단어 공포증’이다.
두 단어는 글자가 수십 자이지만, 뜻은 각각 하나다. 그런데 철자 수는 불과 셋이면서 의미는 가장 복잡한 단어가 있다. run이다.
‘리더스 다이제스트’에 따르면, run은 ‘두 발을 번갈아(on alternate feet) 빠른 걸음으로 가다’를 비롯해 물경 645가지 뜻(staggering 645 meanings)으로 쓰인다. 가령 run a fever는 ‘열이 나다’, run a bath는 ‘욕조에 물을 받다’라는 의미다. run in the family는 ‘집안 내력이다’, run errands는 ‘심부름하다’, run one’s mouth는 ‘입을 함부로 놀리다’라는 뜻이다.
또 다른 예로 “변명이 다 떨어지고 나니(run out of excuses), 생각은 흐트러지고(run wild), 코는 흐르고(run), 운도 다해서(run dry) 더는 도망칠(run away) 방도가 없다”라는 문장에는 run이 다섯 차례, “신발은 닳고(run thin), 체력은 떨어지고(run low), 인내심도 바닥나서(run out) 미친 듯이 날뛰었다(run amok)”에는 네 차례 들어간다.
run이 처음부터 가장 많은 뜻으로 사용된 단어는 아니었다. 1928년 옥스퍼드 영어 사전(OED) 초판까지는 다른 세 글자 단어 set이 의미 약 200가지로 최다였다. 그러다 산업혁명과 디지털 시대를 거치며 run의 의미 영역이 폭발적으로 늘어나(expand explosively) 역전했다. 시계, 기계, 컴퓨터,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분야 시스템이 run 동사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시대가 다양화하고 분주해지면서(become diverse and fast-paced) 고정적 기본 개념(static core concept)인 set의 활용도는 정체된(remain stagnant) 데 비해 역동적 함의(含意·dynamic implication)를 지닌 run의 의미는 계속 확장됐다.
run은 선거 용어에도 널리 쓰인다.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다’는 run for president, ‘후보로 나서다’는 run as a candidate, ‘선거운동을 하다’는 run a campaign, ‘~을 공약으로 내걸고 출마하다’는 run on a platform of ~, ‘여론조사에서 뒤지다’는 run behind in the polls, ‘막상막하 접전을 벌이다’는 run neck and neck, ‘박빙 대결을 펼치다’는 run a tight race, ‘선거법을 위반하다’는 run afoul of election laws, ‘선거에서 압승하다’는 run away with the election으로 표현한다.
그저께 대선이 치러졌다(be run). 사심 없이 올곧게 이 나라를 이끌며(run the country) 발전시킬 양심적이고 능력 있는 후보가 선출되길 바라는 유권자들의 바람과 기대가 절실하고(run deep) 간절했다(run high).
[영문 참조 자료 사이트]
☞ The Most Complicated Word in English | Trusted Since 1922
☞ Has ‘Run’ Run Amok? It Has 645 Meanings ... So Far : N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