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등록금이 부른 양극화
서울 사립대 다니는 김모씨, 과외·행사장 보조·주차요원… 쉴 새 없이 일해도 등록금 빠듯
밤새워 공부해 학점 4.2… 10% 못 들어 장학금 못 받아
가난해도 꿈 이룰 수 있도록 장학금 제도 개선해야대학 등록금 부담이 커지면서 같은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 사이에서도 양극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경제 사정이 나쁜 학생들은 공부보다 '등록금 마련'이 주업이 돼버렸다. 성적이 나빠 장학금도 못 받고 취업에도 실패하는 악순환을 겪고 있다.

미국의 경우 소득수준을 감안하는 장학금 제도가 발달해 있지만 우리나라는 주로 성적 우수자들에게 장학금이 주어지는 쏠림현상이 심한 상태다. 학비 마련 때문에 성적이 뒤떨어지는 '가난한 학생'도 공부에 전념할 수 있게 도와주는 안전장치가 비어 있는 것이다.

▲ 일러스트=이철원 기자 burbuck@chosun.com
같은 대학, 다른 세상

서울의 사립대에 다니는 김모(24)씨는 지난 4년간 등록금(학기당 450만원)과 생활비를 벌기 위해 부단히 애썼다. 사업에 실패한 부모가 등록금과 생활비를 대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과외(월 30만원)를 꾸준히 하면서 백화점 주차요원, 포장 등 각종 아르바이트를 뛰었다. 한 번은 일하는 게 너무 힘들어 '성적우수장학금을 받아보자'는 생각에 잠을 안 자고 공부에 매달려 4.2점의 우수한 학점을 받았다. 그러나 결국 같은 과 학생 중 상위 10% 내에 들지 못해 장학금은 받지 못했다.

아르바이트를 해도 등록금은 턱없이 모자랐다. 세 학기는 학자금 대출을 받았다. 올 초에는 졸업을 한 학기 남겨두고 휴학을 했다. 돈에 허덕이는 생활에 지쳤을 뿐 아니라 취업 준비를 하려면 학원비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요즘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일을 해 150만원을 벌지만, 원룸 월세(50만원)와 대출 이자(8만원), 생활비, 휴대폰비 등을 제외하면 남는 것은 거의 없다.

김씨는 "학교에서 저소득층에 주는 장학금을 신청하려고 해봤지만 그것 역시 학점 기준이 까다로워 신청하지 못했다"며 "집안 형편이 더 안 좋아져 한 학기 더 휴학을 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김씨와 같은 학교에 다니는 공모(25)씨는 사정이 다르다. 부모님의 연간 소득이 1억원이 넘는 고소득층인 공씨는 등록금(학기당 350만원)뿐 아니라 매달 용돈 30만원도 받는다. 평소엔 학과 수업에 집중하면서 토론 동아리 등 학교 활동도 활발히 한다. 공씨 스스로 공부를 열심히 했지만, 등록금 대출을 받은 다른 학생들보다 수업에 집중할 수 있었기에 성적우수장학금을 몇 차례 받았다. 부모님이 2000만원을 지원해줘 미국·필리핀으로 어학연수도 다녀왔다. 현재는 노무사의 꿈을 이루기 위해 일찌감치 시험 준비 중이다.

취업까지 연결되는 교내 양극화

김씨와 공씨가 다니는 H대학은 2009년 전체 장학금 425억원 중 16.4%만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에게 지급했다. 나머지는 성적 우수 장학금·학생회 간부 장학금 등이다. 김씨 같은 학생들이 장학금을 받기 힘든 이유다. 이런 현상은 전국 대학들에서 공통되게 나타나고 있다. 대학들이 2009년 지급한 전체 장학금 중 18.2%만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들에게 돌아갔다. 서울의 한 사립대 졸업반인 이모(24)씨는 "요즘은 진짜 어려운 학생들은 장학금도 못 받고 대출로 연명한다"며 "이런 학생들이 비싼 등록금을 내고 다닌 대학은 미래를 보장해주기는커녕 빚이라는 걱정만 남기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같은 학교 내 양극화 현상은 취업문제와 연결된다. 가정 형편이 안 좋은 학생들이 등록금과 생활비 때문에 휴학을 반복하고 각종 스펙(영어 성적·학력·경력 등 각종 조건)을 쌓지 못해 취업에도 불리한 데 비해, 경제력이 있는 가정의 학생들은 학점 관리와 취업 준비를 충분히 하는 경우가 많다.

서울 한 사립대 교수는 "어린 시절 사교육의 차이가 대학 진학에 영향을 끼쳤다면, 대학 내 양극화 현상은 취업과 인생의 진로를 바꾸는 변수가 되고 있다"며 "가난하되 꿈을 이룰 의지와 가능성이 큰 학생들을 지원해 양극화의 고리를 끊어주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