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Login
ID
PW
로그인
/
등록
부동산메인
뉴스
렌트
민박/홈스테이
부동산 현황
주거매매
비즈매매
분양정보
오픈하우스
칼럼
부동산Q&A
CLOSE
[모기지]
몰기지 브로커와 은행에서 직접 몰기지 하는 차이가 무엇인가요
작은 콘도를 처음으로 살려고 하는데요 거래하는 은행의 몰기지 이율을 인터넷으로 찾아보면 다른 곳보다 더 높은 것 같습니다 크레딧 점수는 845점 정도 되는데요 몰기지 제일 작은 금액으로 내고 싶은데요 거래하는 은행에서 하는 것과 몰기지 브러커 통해서 다른 곳에서 몰기지 하는 것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요즘 5년 변동이율로 하면 제일 싸게 보이는데 고정이율보다 변동이율로 해도 될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몰기지 궁금이
2021-05-02 07:52:30
[모기지]
한국과 미국에서 송금을 받을경우
안녕하세요 집 구입 다운페이 목적으로 한국에서 미국에서 송금을 받을예정입니다 한국에선 일인당 오만불 보낼수 있다고 하는데 맞는지요. 그리고 미국에서 송금할경우에도 리밋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세금으로 문제 되지않고 송금 받을수있는 금액이 정해져있는지요 기프트라 제시하면 문제되지않는지 궁금합니다 아시는대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송금문의
2021-04-24 16:59:08
[부동산]
rent to ownership
제가 렌트로 사는 아파트에서 오너쉽으로 바뀌면서 현재 살고있는 테넌트에게 구입할 기회와 리스팅 프라이스보다 디스카운트 해서 판다고 하는데 좋은 기회인가 해서요 아파트가 새 아파트는 아니고 동네는 한창 발전중이라 나쁘지는 않은데 완전 만족하지 않는 집이지만 첫 구매에 앞으로의 렌트비가 다운페이로 몇프로 페이 될것이고 매달 렌트비 내왓던것을 모기지 프로커에게 페이하는것 비슷한 스케줄로 페이하게 될것이라고 즉 현 매니지먼트에 파이낸싱 하는 개념 같은데 큰 목돈이 없다면 첫 집 구매 방법으로 좋은 선택인가요? 최대한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rent
2021-03-24 19:14:09
[모기지]
새이민자 모기지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새이민자 모기지에 관해서 알고 싶습니다. 새이민자 모기지는 최대 집값의 65%까지 모기지를 받을수 있다고 봤는데요 정확한지 알고싶구요. 또한 이율도 궁금합니다. 만약 직장이 있는 경우는 어느정도 근무를 해야만 모기지를 받을수 있는지요? 또 얼마까지 모기지를 받을수 있는지 이율은 새이민자 모기지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ja
2021-01-26 12:51:29
[부동산]
뉴웨스트민스터 퀸스보로
안녕하세요. 제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 올립니다. 뉴웨스터민스터 퀸스보로지역 살기가 어떤가요? 구글맵을 보니 후레져강으로 둘러싸여 있던데 덥거나 습하거나 혹시 강에서 악취라도 나는건 아닐지..... 제가 강과 가까이는 살아보질 않아서요. 이 지역에 사시는 분이나 잘 아시는 분들의 조언을 듣고싶습니다.감사합니다.
랭리
2021-01-17 02:35:33
[부동산]
렌트한 콘도에 벌레가 보여요
안녕하세요 이사 온지는 거의 2달 되어갑니다. 집이 1층이라 해가 잘 안들고 요새 계속 비가 와서 그런지..집이 습했었는데요. 어느날 아침에 처음으로 화장실에서 이상한 벌레를 보았어요. 찾아보니 silverfish 라고 하더라구요. 하..너무 징그럽고 계속 어딘가에 있을거같아 매일 너무 스트레스 입니다. 이럴 경우에 렌로드한테 어떤걸 요구할수 있나요? 답변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J
2020-11-25 10:23:23
[부동산]
소득세법상 거주자의 기준
※ 소득세법상 거주자의 판정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요?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서 2015.11월에 부부공동명의로 주택을 매입했습니다. 그 이후로 지금까지 아이 둘은 계속해서 유학비자로 집사람은 동반비자로 계속 거주하고 있고, 저만 한국과 캐나다를 왕복하고 있으며 1년에 183일 이상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으며 경제활동은 하지않고 있습니다. 주택매각시 비과세 혜택을 받으려면 영주권자가 아닐경우 거주자 증명을 위해서는 NR-74 양식을 통해 거주자 판정을 받아야만 비과세 혜택이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부부공동명의라 집사람은 게속해서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어 거주자 판정을 받는데 문제가 없지만 저 같은 경우는 관광비자로 매년에 183일 이상은 캐나다에서 가족과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에는 소득세법상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기준이 183일 이상 한국에 거주하고 있으면 거주자로 간주 합니다. 캐나다도 소득세법상 거주자 판정 기준이 한국과 같은지요? 같다면 저와 같은 경우도 NR-74양식을 통해 거주자 판정을 받을수 있는지요?
조성환
2020-11-01 23:23:12
[부동산]
집 사는데 No agency
리얼터 없이 no agency로 집 사는 것에 문제가 있나요? 당연히 변호사는 고용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00
2020-10-20 10:35:21
[부동산]
아파트 렌트 계약만료전 파기 문제입니다.
안녕하세요하세세요세요 올해 4월부터 1베드 아파트에 렌트 살고있는 사람입니다. 계약기간은 1년이였구요. 그런데 지금 코비드 사태로 잡을 잃은 상태로 렌트비를 감당하기 힘든지경입니다. 그래서 한달 노티스를 주었는데요. 다음 세입자를 최대한 구하려고 계속 광고올리고 찾고 있지만 쉽지않은 상태입니다. 디파짓은 당연히 포기한상태이구요 집주인은 계속 1년계약했으니 너에게 책임이있다고 하는데요. 이런경우에 어떻게 할수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금전적으로 많이 힘든상태임니다.
아이아야
2020-10-05 01:02:05
[모기지]
모기지 가능금액 문의
오이
2020-09-05 22:21:03
1
2
3
4
5
6
7
8
9
10
>
...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