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음식증후군을 아시나요? 건강을 위협하는 MSG 바로 알기

취재 백은영 기자

최종수정: 2012-02-22 11:04

자장면이나 짬뽕 등의 중국음식을 먹은 뒤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나며, 목이 뻐근하고, 가슴이 조이고, 멀미가 나는 증세를 느껴본 적이 있는가? 혹은 가족들과 함께 외식을 한 뒤에 같은 증세로 병원을 찾은 적이 있는가? 이런 증상에 시달려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밥상 위에 올려진 음식에 들어간 조미료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화학조미료는 1908년 일본에서 개발되어 입맛을 돋우는 조미료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우리나라에서는 1963년 이후부터 음식 조리 시 맛을 내는 조미료로 생산 판매되어 왔다. 그리고 이제 화학조미료는 특유의 감칠맛으로 국이나 찌개 등을 끓일 때 빠지지 않고 첨가되는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들어 화학조미료의 주성분인 MSG에 대한 유해성 논란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MSG란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글루탐산에 나트륨이 결합된 화합물이다. 단맛과 짠맛, 신맛, 쓴맛, 매운맛 등의 다섯 가지 맛은 일반적으로 수용체를 통하여 인지하게 되는데, MSG는 실제 이러한 맛을 내는 것이 아니라 맛을 인지하는 수용체를 민감하게 함으로써 그 맛을 강렬하게 느끼도록 만드는 것이다.


MSG 과다 섭취 시 부작용
MSG의 부작용은 로버트 호만 곽이라는 의사의 사례로부터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는 뉴욕에 있는 한 중국음식점에서 식사를 하고 난 뒤 갑자기 목과 등, 팔이 저리고 마비되는가 하면 구토를 하고 현기증으로 노곤해지는 증상을 겪었다. 그리고 이런 체험을 바탕으로 연구에 들어간 그는 중국음식 속에 MSG가 과다하게 함유된 것을 발견했고, 이에 따른 부작용을 널리 알리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일부 의학계에서는 MSG의 부작용은 일부 사람에게 나타나는 ‘증후군’일 뿐 ‘질병’으로 보기는 힘들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이 같은 논란 속에서 우리나라에서도 화학조미료의 일인당 하루 소비량이 84년 3.4g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일부 가정과 음식점에서는 찌개나 국뿐 아니라 볶음 등에도 많은 양의 화학조미료를 습관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MSG의 과다섭취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해 화학조미료의 양을 줄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최창순 교수는 “식품 조리 시 MSG와 같은 화학조미료의 사용을 제한하고 천연조미료를 대체 사용해야한다”며 “MSG를 단독으로 섭취할 경우 부작용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화학조미료가 들어간 음식을 피할 수 없다면 MSG 성분인 글루탐산 함량이 높은 단백질 식품 대신 탄수화물이 많이 포함된 식품을 먹는 것이 증상의 개선 및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음식증후군이 의심되면…


한꺼번에 많은 양의 음식을 만드는 중국음식점에서는 화학조미료도 한꺼번에 많이 투여하게 된다. 요리사가 골고루 섞긴 하지만 그중 일부는 덩어리째 한곳에 모여 있을 수 있다. 그 덩어리가 특정 요리에 집중적으로 들어가게 되면 매우 과다한 양의 화학조미료를 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1월 경기 용인에 사는 한 30대 주부는 점심에 중국음식점에서 우동을 시켜먹은 뒤 호흡곤란증세로 한 시간 동안이나 의식이 흐린 상태로 누워 있어야 했다. 중국음식증후군으로 인해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했다는 보고는 아직 없지만, 식중독과는 다른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적잖이 당황하게 된다. 중국음식을 먹고 현기증이나 호흡곤란 등의 상태가 발생하면 실내를 환기시키고 조용히 누워서 안정을 취해야 한다. 만일 상태가 호전되지 않으면 119에 신고해서 혹시 발생할지도 모르는 상황에 대비하는 것이 좋다.


 / 여성조선
   취재 백은영 기자ㅣ사진 이원근
   도움말 최창순(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한인 사회의 중요한 소식을 캐나다 서부 독자에게 전달합니다.
제보 이메일: new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