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을 둘러싼 일촉즉발 상황(volatile situation)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워싱턴포스트지(紙)는 “푸틴이 한국전쟁 당시 스탈린의 무모했던 오판에서 교훈을 얻어야(learn a lesson from his reckless miscalculation) 할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예기치 못한 엄청난 역풍을 초래하리라는(incur unforeseen massive blowback) 경고다.

 

“현재 국면에서 분명한(be obvious) 건 한 가지다. 러시아의 침공은 막대한 결과를 불러올(bring about huge consequences) 것이라는 사실이다. 스탈린은 1950년 김일성의 남침을 승인했다. 김일성은 3일 안에 서울을 함락해 미국이 대응에 나설(mount a response) 틈을 주지 않고 몇 주 내에 한반도를 통일하겠다고 장담했다.

 

그런데 트루먼 당시 미 대통령은 즉각적인 파병을 명령했다(order an immediate dispatch of armed forces). 스탈린의 도발은 미국의 국가안보 전략을 뒤바꿔(transform U.S. national security strategy) 대대적인 동원령(massive mobilization)과 핵 무기 경쟁(nuclear arms race), 냉전의 영구적 군사화를 초래했다(result in a permanent militarization of the Cold War).

 

미국은 1949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설립됐을 때만 해도 소련의 유럽 침공을 방지하는 데 충분할 것으로 여겼다. 당시 미국은 원자폭탄을 독점하고 있었고(possess a monopoly on the atomic bomb), 경제적으로 압도하고 있었다. 그래서 애치슨 국무장관은 유럽에 미군을 주둔시킬 필요가 없다고 큰소리를 쳤고, 이런 전략 모델(strategic model)을 한반도에도 적용했다.

 

에치슨은 급기야 1950년 1월 미국의 방어 경계선(defense perimeter)은 한국을 제외한 일본과 류큐 열도까지라고 공언했다. 이에 스탈린과 김일성은 남침을 하더라도 미국은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을 내렸다. 하지만 이는 미국의 결의를 대단히 오판한(badly misjudge U.S. resolve) 것이었다. 결국, 김일성의 3일 내 서울 점령 야심은 3년간의 전쟁으로 이어졌고, 수백만명의 희생자를 초래했다(give rise to millions of casualties).

 

북한의 남침은 미국 국방예산(defense budget)이 국내총생산의 15%를 넘게(surpass 15 percent of GDP) 했고, 급속한 핵무기 비축과 수십만 명의 미군이 NATO 지원군으로 유럽에 파병되는 결과를 불러왔다. 그리고 그로 인한 미·소 간의 군비 경쟁(arms race)은 소련 연방의 붕괴라는 최후 종말로 이어졌다(cause its eventual demise).

 

이런 역사적 사실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러시아의 침공은 극적인 전략적 역풍을 초래해(create a dramatic strategic backlash) NATO가 군사력을 확대하고 동유럽 안보공약을 강화하는(firm up its defense commitments) 명분을 줄 것이다. 푸틴의 도박은 결과적으로 무력 시위(armed demonstration)로 얻으려 했던 것과는 정반대의 NATO 재무장과 러시아의 경제적 따돌림 신세(economic pariah)로 끝날 공산이 크다.”

 

[영문 참고자료 사이트]

 

https://www.washingtonpost.com/outlook/2022/01/25/putin-could-learn-lesson-stalins-reckless-miscalculation-over-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