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식용 마리화나 제품 12월부터 시판

김혜경 기자 khk@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9-06-14 15:43

연방정부 합법화 조치로...27억 달러 시장 '탄생'
학부모들 과용 인한 '그린아웃' 부작용 우려



젤리 타입이나 음료 형태 등 식용 마리화나 판매가 국내에서 12월 중순부터 합법화된다. 관련 시장의 급격한 성장 전망과 더불어 학부모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2월 식용 마리화나 제품 규정에 대한 검토 작업을 마친 연방정부는 시행 일시와 판매 상품 종류 등 관련 법안을 14일 발표했다.  

법안에 따르면 오는 10월17일부터 식용 마리화나 판매가 합법화되며 허가를 받은 제품들은 두 달 후인 12월 중순부터 국내 판매가 가능하게 됐다. 

이에 따라 향후 다양한 형태의 식용 마리화나 제품이 시장에 쏟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경제적 파급 효과 또한 클 것으로 전망된다.

연방정부가 발급한 라이선스를 소유한 업자들은 캐나다 보건부에 60일 안에 판매 계획과 상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출해야 한다. 각 주마다 허가 및 등록 시간이 필요하며 이후 판매가 결정된 상품들은 온라인 스토어나 업소를 통해 구입할 수가 있다.  

캐나다에서는 지난해 10월 기호용 마리화나가 합법화된 이후 식용 마리화나 식품에 대한 규율 논의가 지속돼 오다 올 2월 내용이 결정됐다. 

캐나비스 상품 관련 새 규율에 따르면 판매는 캔디나 빵 종류, 추출물, 연고, 오일, 화장품 등 세 종류로 분류된다. 그러나 캐나비스가 함유된 알코올 음료수나 담배 등은 금지 품목이며 식당에서도 캐나비스 함유 음식은 판매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캐나비스 식용 상품 수요 증가가 향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딜로이트 컨설팅 회사는 식용 마리화나 판매가 시작되면 국내 연간 마리화나 소비 규모가 2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회사에 따르면 50%에 이르는 식용 마리화나 사용자가 3달에 한번 쿠키와 브라우니, 또는 초콜렛 형태의 식용 마리화나를 구입할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리화나를 만드는 국내 회사와 대형 식품업체에서는 고객 선점을 위해 벌써부터 다양한 형태의 식용 마리화나 제품 출시에 주력하고 있다. 

캐나비스 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한 기업가는 지난 3년간 이번 발표를 기다려왔다며 이번 정부의 식용 캐나비스 규율 시행에 대한 큰 기대감을 표시했다.  

캐나비스 제조회사 대표는 “최근 몇 년 간 식용 제품 개발에 주력해 왔다. 오일 등 제품에 대해서도 미래 성장률과 큰 이익을 기대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직원 수를 2배로 늘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식용 마리화나 제품 합법화에 따른 부모들의 우려는 깊어지고 있다.

코퀴틀람에 거주하는 한희경(여,43)씨는 “이제 중학생이 되는 딸과 고등학생이 되는 아들이 있는데 학교에서 친구들로부터 식용 마리화나를 받아 모른 채 먹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걱정되는 마음이 크다”며 “일일이 따라다니며 감시를 할 수도 없고 학부모로서 정말 답답한 심경”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교민 최현희(여, 38)씨도 “식용 마리화나는 겉으로는 젤리나 과자처럼 생겨 마리화나 성분이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다는 것이 문제”라며 “아직 아이들이 어려 혹시라도 모르고 먹고 사고를 당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전했다.   

캐나다인 로라 맥킨지(여, 58)씨도 “15년간 다니던 약국의 약사가 얼마전 마리화나 중독이 심해져 그만둔 경우까지 봤다”며 “정부 차원에서 식용 마리화나 판매 규제를 강화할 판에 합법화라니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편 캐나다는 지난해 기호용 마리화나 합법화 이후 젊은층의 중독 증가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전문가들은 특히 마리화나를 젤리나 쿠키로 섭취할 경우 효과가 지연되며 다양을 섭취할 위험이 있어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충고하고 있다.

국내 법에 의하면 마리화나 함유 식품 판매를 위해서는 어린이들이 쉽게 열 수 없는 보호포장 안전기준을 충족해야 하나 지난해 밴쿠버 한 온라인 회사가 파는 마리화나 브라우니에 미국 콜로라도주 합법 기준치보다 9배 많은 양이 포함돼 있어 논란이 된 적도 있다.

한 전문가는 “대마초 과용으로 발생한 증상을 일컫는 ‘그린 아웃’ 부작용에 따라 지난 5년간 국내 응급실을 찾는 환자수가 세배나 늘었다”고 지적했다.

김혜경 기자 khk@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포토

  • 가수 피오나, 캐나다에 그래미상 선사
  • ”주정부 추천이민 제한 풀어야 인력 확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