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나의 삶과 수필문학

권순욱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5-01-02 15:40

한국문인협회 캐나다 밴쿠버 지부 회원작/수필
내가 살던 낙동강 상류에는 유달리 풀꽃이 많았습니다. 어린 시절 친구들과 그 풀꽃을 따서 강물에 띄워 보내며 놀곤 했습니다. 그 중에도 들찔레 새순을 꺽어 먹던 달콤 쌉쌀하고 풋내음이 입 안에 풍겨나던  그 맛을 지금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내 집 이웃에 초등학교 선생 한 분이 계셨습니다. 어린 내 눈에는 그분이 늘 우러러 보였습니다. 나는 강마을, 농촌 집안에서 태어났습니다. 비범한 재주도 없고 책가방 끈도 그리 길지 않을  것 같아, 소년 적 꿈이래야 고향 초등학고 훈장이 돼서 풀꽃처럼 사는 것이었습니다.

 그 시절을 돌이켜 보면 해방과 더불어 6.25 한국전쟁등 퍽이나 힘들었던 세월이었고, 규제가 심했던 학창시절을 보냈던 것 같습니다. 쓰라린 과거였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어린 그 시절 그런 힘들었던 경험이 내 인생을 견뎌내게 한 큰 힘이 되기도 했고 또 힘이 들었기 때문에 그런 와중에서 역으로 자유를 추구해 왔던 것 같습니다.

어려서 나는 책 읽기를 좋아 했습니다. 그 때는 별로 읽을 책도 없었지만 읽었다 해도 모든 것을 제대로 다 이해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어떤 책은 무슨 의미인지도 모르면서 그것들을 이 세상에서 가장 귀중한 보석처럼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읽는 것만으로도 충분했던 나에게 글을 쓴다는 것은 나의 영역 밖의 일로 생각되었고 특수한 사람들만이 할 수 있는 것처럼 우러러 보였습니다. 그런 상반되는 요소를 내 나름대로 하나의 품격으로 아우르려고 무척이나 힘들어 했던 때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 나에게도 드디어 글을 쓰게 된 계기가 찾아왔습니다. 내 나이 칠순을 바라보던 날 남은 세월을 좀 더 보람을 가지고 살고픈 마음에서 Evergreen Academy를 섬기면서 노인들을 위로하기 위해 나의 마음을 셀(공동체) 게시판에 옮기기 시작했습니다. 이것이 기회가 되어 주위 사람들의 추천으로 문인의 길을 들어서면서 마침내 내 인생의 큰 나무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시인이자 소설가이며 또 수필가인 늘샘 반병섭 목사님이 바로 그 분이었습니다. 매주 토요일이면 그동안 내가 습작한 글을 가지고 목사님을 찾아 지도를 받게 되었습니다. 목사님 댁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맥도날드 음식점에서 피쉬버거와 커피를 시켜 놓고 함께 시간을 보내게 되었습니다.

 때로는 글을 쓰는데 자신이 없어하는 나에게 목사님은 “수필은 나이 먹음의 문학” 이라시며 지금이야 말로 내가 수필을 쓸 때라고 격려를 해 주셨습니다. 약 일 년을 목사님과 함께 한 세월 속에서 다듬고 애 쓴 가운데 나의 수필이 “순수문학” 월간지를 통해 등단하게 되었습니다.

 미술이든 음악이든 문학이든 보고 듣고 익혀서 지적인 요소를 내 속에 충분히 축적한 다음에 매사를 판단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칠순의 어귀에 이르러 때늦게 초심을 찾아 들풀처럼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나가는 계절 따라 꽃이야 피겠지만 어찌 그윽한 향기까지 기대 할 수야 있었겠습니까만……

 시골 강마을 논두렁길에서 시작된 나의 길은 믿어지지 않을 만큼 길고도 짧았습니다. 어느덧 내 나이 인생의 오후가 왔음을 의식합니다. 약간은 아쉽고 초조해집다. 지나 온 세월보다 남은 삶이 다욱 짧아 보이는데도 풀리지 않고 알쏭달쏭하기만 한 것들이 여전히 마음 속에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남은 삶을 개구쟁이 시절 초연했던 그 때 처럼 흘러가는 물 섶에 피어나던 들플의 아름다운 풀꽃들을 생각하면서 더욱 자유롭게 더 조용히 또 생각하며 살고 싶습니다.

 나에게 있어 수필은 시로 쓴 소설이요, 소설로 쓴 철학이요, 언어로 그린 명화요, 뜻으로 부르는 노래이기도 합니다. 또한 수필이야 말로 나에게 있어 거짓 없는 자화상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미래 문학의 주류는 수필일 수밖에 없다는 믿음을 스스로 갖게 되기도 합니다.

 초심으로 돌아가 글을 쓴다는 것은 참으로 의미 있는 일인 것 같습니다. 나의 생활 곁에, 삶 속에, 가장 가까이 접근해 있는 문학이 수필인 것 같습니다. 또한 글을 쓴다는 것은 내 자신의 삶과 내 인생의 모습을 들여다보는 맑고 투명한 거울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때로는 한숨이 나오거나, 그리움이 사무칠 때나, 외로움이 깊어 가만히 있을 수 없을 때 느닷없이 튀어나오는 그냥 낙서일 수도 있고 문장으로 써 내려가는 글일 수도 있습니다.

 수필이 마음의 산책, 독백의 문학 이라는 것은 진정한 자신과의 만남, 내 인생의 모습을 들여다보는 성찰을 통해 삶의 의미와 가치를 창출해 내는 문학임을 강조하시던 나의 스승이신 늘샘 반병섭 목사님이 오늘 따라 더욱 그립기만 합니다.

그 시절, 들풀의 언덕에서 찔레를 꺾으며 초등학교 선생을 꿈꾸던 어린 소년이 꿈이 아닌 현실 속에서 Evergreen Academy를 섬기는 리더의 한사람으로써 글을 쓰며 살아가는 요즘이 더욱 그렇습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캐나다에서 살며 가장 많이 하는 일 중 하나는 운전이지 않을까 싶다. 아이들 학교, 운동, 종교 그 모든 활동은 집에서 쉽게 걸어갈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 대중교통도 한국에서 경험했던 것처럼 다양한 수단이나 노선이 준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자동차를 타고 가야 한다. 특히 운동을 하는 둘째는 다른 도시로 여기저기 원정 경기를 가기 때문에 꽤 장거리를 운전할 때가 잦은 편이다.먼 거리를 운전하다 보면 졸리거나 지루한 시간이...
윤의정
잠 못 드는 이유 2023.02.21 (화)
살 껍질 비집고수천 마리 두더지가 소풍을 한다열 손가락 써래질로 밤은 꺾이고들쑤신 탑세기*에 벌건 꽈리 꽃 피었다아프면 퍽퍽 울고나 말지삶 속에 얼기 설기 열 꽃 물집타인과 나 사이 시소를 타고허공만 빠꼼대는 물고기하늘로 오르려만 말고두 발 땅에 있을 때 사뿐 내리면 될 걸허공에 한숨 물고 삿대질 만 하고 있나상념 헤집고 두더지시소 타고 온 밤을 하작인다* 탑세기 : 솜먼지의 충남 방언
한부연
따로 또 같이 2023.02.13 (월)
 오늘은 집에 손님이 오는 날이다. 저녁 준비로 동동대는 내 옆에서 남편은 어느 때보다 협조적인 자세로 하명을 기다리고 있다. 청소기를 돌리고 거실 유리창을 닦고 바베큐 그릴도 달구고… . 바쁜 가운데 손발이 맞는 손님맞이는 수월하게 마무리가 되어 간다. 오늘 손님은 같은 해 밴쿠버에 정착해 한동네에 살던 유고인 프레드락과 수잔나 부부이다. 연배가 비슷한 우리는 긴 세월 서로의 집을 오가며 일상의 애환을 나누고 살아온 귀한...
조정
겨울 앓이 2023.02.13 (월)
겨울은 망각의 푸른 바다를 건너 약속의 봄을 찾아가는 빈 가슴 나그네 긴 회한의 터널 그 너머찬 바람, 서리 다 이겨낸지친 들판에 서서 만나야 할 그 사람                                      찾아야 할 그 사랑잃을 수 없는 시간 속으로배냇그리움에 멀미가 난다 다가올  새봄은 또다시 찾아오는 아픔이겠지나를  죄어오는 망연(忘戀)의 넋일 수 있어 가는...
김석봉
  책장을 정리하다 우연히 둘째 아들이 초등학교 1학년 때 쓴 글을 발견하였다. 이런 흔적 물들을 통해 과거를 되새김질해 본다. 실체가 없어도 있었던 현실인데도, 실체가 있어야 지난 현실이 또렷해진다.통통한 몸매와 얼굴에 늘 웃음이 가득하고 좀처럼 화를 내지 않는 둘째는 입력한 것에 비해 출력을 재미있게 잘한다. 좀 엉뚱한 구석이 있는 놈이다. 그의 글을 그대로 옮겨 본다.  “저의 형 박형진입니다.나이는 이제 9살이 되고요,...
박광일
나무 의자 2023.02.13 (월)
망자를 기억하며숲 길 모퉁이 고즈넉한 곳지나는 사람 발걸음 위로하며  떠난 사람 이름 써넣은나무 의자 놓여있다꽂아 놓은 조화는 을씨년스럽고애처로워다니는 사람 마음 훔쳐간다사랑하는 이 떠나보내지 못한 채품에 보듬어 안고 이랑을 지었나 보다 마주하던 죽음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안간힘으로 도망쳤을까?죽음을 순하게 받아들이는기백 보였을까? 모두가 알고 있지만  말하지 않은 채침묵으로 견디며한 길로 나 있는 신작로...
박혜경
내 인생의 강물 2023.02.06 (월)
    인생의 강물은 내 맘대로 흐르지 않는다. 누구나 그렇다. 완만하게 굽이돌며 한 없이 흐른다. 거침없이 흐르는 푸른 강물이다. 내가 나에게 끼어들 새가 없다. 일반적으로 강물에 실린 그리움과 기다림의 원천은 어머니다. 그런데 나의 그것들은 내 나이 열한 살 때, 보라색 치마에 긴팔의 흰색 블라우스를 입고 온 띠동갑의 한 선생님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녀는 시집갈 나이 스물셋에 산골 초등학교에 주산 선생님으로 왔다. 살랑살랑...
박병호
만두 필살기 2023.02.06 (월)
  설 하면 역시 만두를 빼놓을 수가 없다. 만두 국 뿐만 아니라, 구워도 먹고, 찜 기에 쪄서 먹어도 결코 질리지 않는 음식 중 하나다. 무엇보다도 엄마가 만들어 준 손 만두는 설날에 먹을 수 있는 최고의 음식이었고, 밀가루로 반죽한 만두 피까지 쓱쓱 밀어가며 속을 듬뿍 넣고, 아기 궁둥이 마냥 토실 하고 먹음직스럽게 왕 사이즈로 빚어 먹었다.그 시절, 어렸던 난 엄마를 따라 손 만두를 만들어 보겠다고 했다가 만두 중에서도 속이 제일 작아...
허지수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