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나의 별명, 나여기(羅麗基)

권순욱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4-08-01 15:40

한국문인협회 캐나다 밴쿠버 지부 회원작/수필
 에버그린 봄 학기가 끝나고 그다음 주부터 교회 어르신들을 모시고 새로운 모임을 하는 자리였습니다. 각자가 자신에게 가장 처음으로 붙여진 별명에 대해 나누는 시간이었습니다. 약 반세기를 거슬러 올라가 스스로를 재조명해보는 감동적인 시간이었습니다. 참으로 재미있었던 것은 저마다 지니고 있었던 별명들이 너무나 인상적이었습니다. 하우젠(독일영감), 영감, 관돔마, 마다리, 키신저 등 ……

 

 나에게도 어린 시절에 붙여진 별명 하나가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나여기"라는 것이었습니다. 이 별명은 내 초등학교 일 학년 시절 우리 담임선생님(黃永夏)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나의 주위를 온통 시끄럽게 한 별난 별명이었습니다.

우리 연배들이 초등학교에 다니던 시절만 해도 8.15 광복을 맞은 지 불과 몇 년이 못되었기 때문에 그 당시 교과서 중에는 음악에 관한 책이 별도로 없었습니다. 또 음악 시간이 되면 학교에 단 하나밖에 없는 풍금(오르간)을 각 학급의 필요에 따라 이동해 가면서 사용하던 시절이었습니다. 바로 그 즘에 배운 노래 중에 숨바꼭질에 관한 것이 있었는데, 그 노래가 지금까지도 나의 뇌리를 맴돌곤 합니다. 노래 가사는 대략 이런 것이었습니다.

 

눈 감기고 팔 벌려

요리조리 찾는다

나 여기 선줄 모르고

요리조리 찾는다.

웃지 마라 잡힌다.

 

아무 소리 말아라

나 여기 선줄 모르고

요리조리 찾는다.

 

 그런데 문제는 바로 이 노래 때문에 나의 별명이 만들어지게 된 사실입니다. 그때는 해마다 5월이 되면 전교생이 하루를 정하여 원족(소풍)을 갔었습니다. 그리고 그 날 행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 두 가지가 있었는데, 보물찾기와 학년별 대표들이 나와서 한판의 노래자랑을 벌이는 것이었습니다. 드디어 노래자랑 시간이었습니다. 일 학년 전체를 대표해서 담임선생님은 나를 지명 하게 되었고, 내가 부른 노래가 바로 위에 적은 가사의 노래였습니다. 놀라운 사실은 전체학교 노래자랑에서 제일 어린 학년인 나에게 일등 상이 주어진 것이었습니다. 아무리 생각해 봐도 상급생 누나와 형들이 부른 노래들(푸른 하늘 은하수, 반달 등등 …) 에 비하면 내가 부른 숨바꼭질 정도는 수준에도 못 미치는 유치하기 짝이 없는 노래였음에 틀림이 없었습니다.

 

 아마도 노래심사위원들(교장, 교감, 교무주임)께서 어린것이 뒷짐을 지고 두 눈을 동그랗게 뜨고, 얼굴이 빨개지도록 목에 핏대를 세우며 애써 부른 한 꼬마의 용기를 가상히 여기어 봐 준 것이었을 것입니다.

 

 아무튼, 나는 그 노래자랑에서 영예의 대상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 다음 날부터였습니다. 등굣길에서 만난 상급생 누나들이 자기가 차지해야 할 대상을 꼬마가 차지했다는 실패감에 못마땅하여 나를 부르기를 “야! 나여기 인마!"였으며, 다른 학생들도 그것이 재미가 있어서 그렇게 부르기 시작한 것이 일주일도 못되어 학교 전체에서 나는 이름 대신 “나여기”로 불리게 되었고, 급기야는 학교 선생님들까지고 출석시간에 부르는 권순욱 외에는 거의가 “나여기"로 대신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나는 그 학교를 졸업하고서야 마침내 나의 별명으로부터 해방을 맞게 되었습니다.

 

 바야흐로 세월 따라 나는 서울로 옮겨와 삼촌 집에서 대학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나의 별명의 역사는 거기서 끝나지 않고 다시 이어져만 갔습니다. 우리 삼촌 친구인 당시 덕수고등학교 역사선생님이셨던 분의 존함이 정여기(鄭麗基) 씨였습니다. 삼촌 식구들을 통해 내 초등학교 시절의 별명이 다시 알려지게 되었고, 그때부터 나는 또다시 나여기(羅麗基)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어쨌든 그 일이 있었던 후로부터 정여기(鄭麗基) 선생님은 나여기(羅麗基)인 나를 이름이 같다고 친동생처럼 사랑하게 되었으며, 나의 학창시절 동안 많은 도움을 주셨던 잊지 못할 고마운 분이셨습니다.

 

 나는 어린 시절 내가 불렀던 숨바꼭질의 노래 가사처럼 하나님 앞에서 살아온 지난날을 돌아보는 가운데 나름 데로의 자화상을 그려 보게 되었습니다. 부모님의 손에 이끌리어 교회에 출석하게 된 나는 비교적 하나님에 대하여 일찍 알게 되었지만, 나의 삶 속에는 하나님과 너무나도 많은 숨바꼭질의 연속이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하나하나를 헤아려 보면 때로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엄청나게 괴리되었던 삶의 부끄러움 때문에 감히 얼굴을 들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하나님께서는 나의 이름을 부르며 필요할 때마다 찾으셨으나 나는 그때마다 요리조리 하나님의 눈길을 피해 다닌 세월이 너무나도 많았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오늘 아침에는 눈을 뜨면서 이제부터는 되도록이면 이와 같은 숨바꼭질에서 벗어나고 싶은 마음으로 기도하는 중에 하나님은 나에게 이사야의 말씀을 들려주셨다.

“(사6:8) 내가 또 주의 목소리를 들은즉 이르시되 내가 누구를 보내며 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꼬 그때에 내가 가로 돼 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

나는 뜨거운 낯을 아버지께로 향하고 기도 하기 시작했습니다.

"하나님! 참으로 부끄럽습니다. 그러나 이제부터라도 좋으니 지난 주일 담임 목사님의 설교 말씀처럼 시냇가에 심기운 생명력 있는 나무로 자라 담을 넘는 가지가 되어 이웃들에게 그리스도의 풍성함으로 쉼의 공간을 만들어 주는 여유를 보여 줄 수는 없을까요? 가깝게는 우리 집사람으로부터 시작하여 우리 셀 가족에게로, 그리고 우리 에버그린 아카데미 어르신들과 봉사자들에게까지 확산 될 수는 없을까요?

그렇게 되길 소원합니다. 도와주옵소서.

그래서 "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 이 말씀이 나에게 더는 생소하지 않게 하옵소서"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세월이 가면 2023.01.23 (월)
세월이 간다는 건 참 좋은 일이다오늘 사는 게 바빠지난 일을 가볍게 잊을 수 있고새로운 삶에 부대끼다 보면지나온 아픔도 비껴 가기 마련이니세월 가는 건 그리 나쁘지도 않다나이가 든다는 건 참 멋져 보인다오늘 많이 늙어 보여도추하게 보인다 욕하지 않고눈물 조금 보여도찬바람 탓하기 좋은 나이이니나이 먹는 게 그리 서럽지도 않다세월이 가니죽을 듯한 내 사랑 바비도텅 빈 가슴만 두고 훌쩍 떠나가기도 하고나이가 드니애 간장...
나영표
 국립신라박물관에 가면 관람자의 눈을 환히 밝혀주는 신라인의 미소가 있다. 얼굴무늬수막새(人面文圓瓦當)이다. 기왓장에 그려진 얼굴 한쪽이 깨졌지만 웃음은 깨지지 않고 초승달처럼 웃고 있다. 이 얼굴무늬수막새는 7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름 11.5cm이며 경주 영묘사 터(靈廟寺址)에서 출토되었다.    얼굴무늬수막새는 다듬거나 꾸미지 않은 맨 얼굴이다. 서민들의 진솔하고 담백한 마음의 표현, 가식 없는 무욕의...
정목일
겨울 산책 2023.01.16 (월)
뜨락에 노니는 햇살도 그려내고구름이 드리운 달님도 그려대니떠가는 세월에 눈감은 신선이네붓 끝에 고향 뜰 풍월을 달아매니남쪽 창가에 기대선 도연명인가환한 달과 마주 앉은 이백이려나차오른 맘 울림에 거니는 호숫가 제 멋 낸 울음소리 바람에 실리어앞서간 발자국에 켜켜이 쌓이네
우호태
 신세계 교향곡은 체코 출신 드보르작이 미국으로 이민을 와서 작곡한 곡으로 이민자들의 심정을 음악으로 표현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교향곡의 도입 부분은 약간 공포스러운 연주가 나오고, 중반부에는 평화롭고 사랑스러운 운율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나타내며, 끝부분은 승리를 다루는 듯 장엄한 연주로 마치는 곡이다.  이와 같이 이민은 과거 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모두가 신세계를 만나 예상치 못한 일로 당황하며 시작되는...
김유훈
새해를 맞으며 2023.01.09 (월)
묵은 달력을 내려놓습니다내 마음처럼 무게가 천근이어요장마다 빼곡한 사연들을 되새겨보니복덩어리가 수북합니다가진 게 없다고 빈손이라고 하늘에 떼쓰던 두 손이 부끄러워집니다가붓한 새 달력을 그 자리에 둡니다내 마음도 새 달력 같습니다오늘또 오늘 쌓일 복 더미 생각에손등에 푸른 핏줄이 더 불거집니다.
임현숙
다시 수필이다 2023.01.09 (월)
  유리병에 개운죽竹을 기르고 있다. 물만 먹고도 싱싱한 잎과 줄기를 내는 모습이 여간 기특하지 않다. 줄기 하나를 집어 들면 나머지 줄기들도 따라 나선다. 서로의 뿌리 속에 뿌리를 내린 채 단단히 엉겨 있기 때문이다.가장 밑바닥에 자리 잡은 묵은 뿌리 위에서 하얀 어린 뿌리들이 걸음마를 익히고 있고, 중간에 가부좌를 튼 뿌리들은 어느 쪽으로 줄기를 낼 것인지 긴 생각에 잠겨있다. 어린 뿌리에 자꾸 마음이 간다. 수필을 쓰면서 어느...
정성화
인생의 변곡점에 힌지를 달아 놓고슬며시 겨울 산을 향하여 문을 열면낯 익은 상흔 하나가 폭설을 짜고 있다어딘가 엄동 속에 울리는 나무들의숨 고름 옹이처럼 힘들어 보이지만목 향이 첨가하는 맛 그 매력에 빠진다또다시 재 너머로 난장을 치는 바람해 오름 달 실속 없는 분주함 홰를 쳐도그렇게 스무 해 성상 눈물 꽃을 피웠다이방인 그에게서 조국은 무엇인가수 없이 그리워한 로키 태평양 넘어무른 곳 말려서 까지 피워내는 눈물 꽃
이상목
  마지막 한 장 달랑 남은 2022년 달력은  더 이상 시간을 버티지 못하고 2023년 새 달력에 자리를 내 주어야만 한다. 월말이면 어김없이 한 장씩 넘기다가 오늘은 12번째 막장을 내린다. 새 달력을 걸어 놓고 이제 막 내려놓은 낡은 한해를 한 장씩 훑어 본다. 크고 작은 일들이 어제 일처럼 펼쳐진다.  내 산책 견이 강원도 강릉에서 비행기를 타고 밴쿠버 공항에 도착하여 마중 나갔던  일, 형제들의 방문, 아이들과 여기저기 여행했던...
김춘희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