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밴쿠버한인문협/수필] 친정(親庭)이 되어주고 싶다

심현숙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4-04-05 17:29

우리 여자들은 친정하면 부모님이 떠오른다. 그 중에서도 친정어머니는 친정의 대명사처럼 딸들의 마음속에 새겨져있다. 나도 2년 전까지는 우리 어머니의 큰 딸이었고 어머니가 계신 친정이 있었다. 어머니가 안 계신 지금 내게 친정은 어디일까 생각 해 본다. 오빠 한 명에 남동생이 세 명 있으나 핵가족으로 살아왔던 그들에게 친정이라고 의지하기는 너무도 미지근하고 어설프다.

   세상의 딸들은 친정이 있어서 언제나 든든하고 때로는 부모님께 불효하지 않으려고 어떠한 어려움도 참고 살아간다. 우리 세대 여성들은 부모님으로부터 ‘여자는 시집가면 그 집 귀신이 되어야한다’는 소리를 몇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친정은 가장 가깝고 허물이 없지만 일단 시집을 가고나면 그리워하면서도 마음대로 갈 수 없는 곳이 친정이기도 하다.

   나는 전라도 광주에서 군인이었던 남편을 따라 진해로 시집갔고 그 곳에서 직장생활까지 하다 보니 첫 아이를 낳아 돌이 가까워서야 친정집에 갔다. 진해에서 택시를 대절하거나 버스를 타고 일단 마산 기차역까지 나가야했다. 그 때만해도 영호남을 연결하는 직행열차가 없어 마산에서 대전으로, 다시 대전에서 호남선을 갈아타야 갈 수 있는 곳이었다. 그러다보니14시간이나 걸리는 거리이었다. 이런 악조건 때문에 자주 가지 못 했다. 가족들이 보고 싶어 남편 몰래 울기도 했다. 친정은 그리움의 대상이었고 친정이 가까이 있는 동료들이 부러웠다. 몇 백 년 전 사친(思親)을 쓴 신사임당의 고향 생각하는 그 애절한 심정이 감히 짐작 간다. 얼마나 고향이 그리웠으면 천리 먼 고향 첩첩 산중을 언제나 가고 싶어 꿈을 꾼다고 했을까.

   나 역시 본가 생각에 항상 마음이 젖어있으면서도 친정 부모님께 걱정 끼쳐드리지 않고 살아보려 노력했다. 그러나 둘째 아이 해산달이 가까워오자 큰 아이를 친정집에 맡길 수밖에 없었다. 20대에 두 아이의 엄마와 아내, 그리고 교사라는 직업을 감당하기에는 내 능력과 체력이 역부족이었다. 내 인생에서 정말 힘 든 시기이었던 것 같다. 그 당시 친정집에는 오빠가 의대생이다 보니 일곱 명의 형제 모두 학생이었다. 물론 입시생도 있었다. 내 아이 하나가 가 있음으로 그들의 공부에 많은 방해가 된다는 걸 모르는 바 아니었지만 안심하고 맡길 곳이 거기뿐이었다. 그 때를 생각하면 지금도 동생들에게 미안하다. 부모님은 딸이 송구스러워 할까봐 힘든 내색 한 번 안 하시고 아이를 돌봐주셨지만 그 애로야말로 어찌 말로 표현할 수 있었겠는가. 그 후에도 버거운 일이 생길 때마다 친정에 도움을 청하기도 하고 많이 의지했던 것 같다.
    친정 부모님들은 딸자식으로 인하여 행복한 때 보다 노심초사하신 세월이 더 많으셨지 않았을까 싶다.

 우리 어머니들 시대처럼 출가외인이라는 법도가 엄격했던 때도 딸들이 병이 나 아프거나 남편에게 소박을 당해 쫓겨나면 받아주었던 곳은 친정이었을 것이다.

   얼마 전 딸아이가 한국에 다녀왔다. 외할머니가 돌아가신 후 첫 모국 나들이이었다. 이 번 여행은 기쁨과 슬픔이 교차한 묘한 기분이었다고 한다. 옛 직장동료, 친구, 지인들과 만나서 반갑고 즐거웠던가하면 ‘할머니’하고 부르며 뛰어 들어갈 수 있는 외가가 없어져 가슴 한 구석이 텅 빈 듯 허전했던 모양이다. 아이들에게도 외가는 큰 사랑으로 감싸주시는 조부모님이 계셔 따뜻하고 편안한 곳이었나 보다.

   나도 6월이면 서울에 갈 일이 있어 오늘 항공표를 예약했다. 나 또한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처음 가는 한국행이다. 그 동안은 어머니가 계셔 서울 가는 발걸음이 늘 가벼웠는데 벌써부터 기운이 빠진다. 이순이 훨씬 넘은 이 나이에도 연로하신 어머니 앞에서는 철없는 자식에 불과했던 것 같다.

   이제는 내가 어머니 대신 친정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불쑥 든다. 딸이 아직 미혼이다 보니 아직껏 친정어머니라는 칭호를 들어보지 못해서인지 '친정어머니'라는 단어가 실감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미 없어진 친정을 남자 형제들에게 기대하고 실망할 게 아니라 내가 친정이 되어야겠다는 마음이 나를 사로잡는다. 어머니 세대는 갔고 엄마 대신 엄마처럼 따뜻한 친정엄마의 자리를 만들어봐야겠다. 그 첫 번째 대상이 며느리가 아니겠는가. 작년에 맞아드린 며느리에게 나는 이미 친정엄마가 되어가고 있는지 모른다. 시어머니 보다는 친정어머니가 되어주고 싶다. 이 번에 아들 부부를 위하여 흰색 바탕에 꽃분홍 매화가 활짝 핀 화사한 무늬의 이불커버를 사면서 마치 며늘아기의 친정 엄마인양 행복했다.

   먼 캐나다로 혈혈단신 시집 와 옛 날 나처럼 친정이 그리운 사람에게도 친정이 되어주고 싶다. 그래서 그 들이 밝게 이민생활을 할 수 있다면 나 또한 얼마나 기쁜 일이겠는가.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캐나다에서 살며 가장 많이 하는 일 중 하나는 운전이지 않을까 싶다. 아이들 학교, 운동, 종교 그 모든 활동은 집에서 쉽게 걸어갈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 대중교통도 한국에서 경험했던 것처럼 다양한 수단이나 노선이 준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자동차를 타고 가야 한다. 특히 운동을 하는 둘째는 다른 도시로 여기저기 원정 경기를 가기 때문에 꽤 장거리를 운전할 때가 잦은 편이다.먼 거리를 운전하다 보면 졸리거나 지루한 시간이...
윤의정
잠 못 드는 이유 2023.02.21 (화)
살 껍질 비집고수천 마리 두더지가 소풍을 한다열 손가락 써래질로 밤은 꺾이고들쑤신 탑세기*에 벌건 꽈리 꽃 피었다아프면 퍽퍽 울고나 말지삶 속에 얼기 설기 열 꽃 물집타인과 나 사이 시소를 타고허공만 빠꼼대는 물고기하늘로 오르려만 말고두 발 땅에 있을 때 사뿐 내리면 될 걸허공에 한숨 물고 삿대질 만 하고 있나상념 헤집고 두더지시소 타고 온 밤을 하작인다* 탑세기 : 솜먼지의 충남 방언
한부연
따로 또 같이 2023.02.13 (월)
 오늘은 집에 손님이 오는 날이다. 저녁 준비로 동동대는 내 옆에서 남편은 어느 때보다 협조적인 자세로 하명을 기다리고 있다. 청소기를 돌리고 거실 유리창을 닦고 바베큐 그릴도 달구고… . 바쁜 가운데 손발이 맞는 손님맞이는 수월하게 마무리가 되어 간다. 오늘 손님은 같은 해 밴쿠버에 정착해 한동네에 살던 유고인 프레드락과 수잔나 부부이다. 연배가 비슷한 우리는 긴 세월 서로의 집을 오가며 일상의 애환을 나누고 살아온 귀한...
조정
겨울 앓이 2023.02.13 (월)
겨울은 망각의 푸른 바다를 건너 약속의 봄을 찾아가는 빈 가슴 나그네 긴 회한의 터널 그 너머찬 바람, 서리 다 이겨낸지친 들판에 서서 만나야 할 그 사람                                      찾아야 할 그 사랑잃을 수 없는 시간 속으로배냇그리움에 멀미가 난다 다가올  새봄은 또다시 찾아오는 아픔이겠지나를  죄어오는 망연(忘戀)의 넋일 수 있어 가는...
김석봉
  책장을 정리하다 우연히 둘째 아들이 초등학교 1학년 때 쓴 글을 발견하였다. 이런 흔적 물들을 통해 과거를 되새김질해 본다. 실체가 없어도 있었던 현실인데도, 실체가 있어야 지난 현실이 또렷해진다.통통한 몸매와 얼굴에 늘 웃음이 가득하고 좀처럼 화를 내지 않는 둘째는 입력한 것에 비해 출력을 재미있게 잘한다. 좀 엉뚱한 구석이 있는 놈이다. 그의 글을 그대로 옮겨 본다.  “저의 형 박형진입니다.나이는 이제 9살이 되고요,...
박광일
나무 의자 2023.02.13 (월)
망자를 기억하며숲 길 모퉁이 고즈넉한 곳지나는 사람 발걸음 위로하며  떠난 사람 이름 써넣은나무 의자 놓여있다꽂아 놓은 조화는 을씨년스럽고애처로워다니는 사람 마음 훔쳐간다사랑하는 이 떠나보내지 못한 채품에 보듬어 안고 이랑을 지었나 보다 마주하던 죽음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안간힘으로 도망쳤을까?죽음을 순하게 받아들이는기백 보였을까? 모두가 알고 있지만  말하지 않은 채침묵으로 견디며한 길로 나 있는 신작로...
박혜경
내 인생의 강물 2023.02.06 (월)
    인생의 강물은 내 맘대로 흐르지 않는다. 누구나 그렇다. 완만하게 굽이돌며 한 없이 흐른다. 거침없이 흐르는 푸른 강물이다. 내가 나에게 끼어들 새가 없다. 일반적으로 강물에 실린 그리움과 기다림의 원천은 어머니다. 그런데 나의 그것들은 내 나이 열한 살 때, 보라색 치마에 긴팔의 흰색 블라우스를 입고 온 띠동갑의 한 선생님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녀는 시집갈 나이 스물셋에 산골 초등학교에 주산 선생님으로 왔다. 살랑살랑...
박병호
만두 필살기 2023.02.06 (월)
  설 하면 역시 만두를 빼놓을 수가 없다. 만두 국 뿐만 아니라, 구워도 먹고, 찜 기에 쪄서 먹어도 결코 질리지 않는 음식 중 하나다. 무엇보다도 엄마가 만들어 준 손 만두는 설날에 먹을 수 있는 최고의 음식이었고, 밀가루로 반죽한 만두 피까지 쓱쓱 밀어가며 속을 듬뿍 넣고, 아기 궁둥이 마냥 토실 하고 먹음직스럽게 왕 사이즈로 빚어 먹었다.그 시절, 어렸던 난 엄마를 따라 손 만두를 만들어 보겠다고 했다가 만두 중에서도 속이 제일 작아...
허지수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