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밴쿠버한인문협/수필] 가족

심현숙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4-01-20 14:50

 ‘당신을 사랑합니다. 당신이 그리 있어도 든든합니다.
당신의 74회 생신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얼마 전 남편에게 쓴 생일카드 서문이다.

남편이 전신마비 장애인으로 산 지 10년에 들어섰다. 세월이 빠르다고 하나 그 동안 남편과 겪어야했던 힘 든 시간들을 생각하면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이제 남편에 대해서 많은 의학상식을 갖게 되었고 위기에 봉착 할 때도  침착해지긴 했지만 그 하나하나가 거저 얻어진 게 아니다. 남편을 도울 때마다 많은 시행착오를 하면서 얻어진 노하우라고 할까. 모두 임상경험에서 온 것들이다.    

많은 분들이 남편을 요양원(Nursing home)에 넣으라고 권한다. 본인도 이제 가족들 고생 그만 시키고 들어가고 싶다고 애원하기도 한다.

그러나 남편의 담당 매니저만은 “지금 당신의 생활이 최상이다”며 그 이유를 남편에게 일일이 설명해줬다. 남편은 가족에게 미안하여 우리 몰래 캐어기버를 시켜 매니저를 불러서 상담을 했다.

요즘에 와서 딸과 나도 요양원을 생각해 보지 않은 건 아니다. 너무 지처 앞이 보이지 않을 때 우리 모녀는 마주 앉아 궁리를 해보지만  어느 쪽도 결정을 내리지 못 한다.

 “10년을 사시게 되면 그 때 생각 해 보자”로  결론을 맺고 만다.
 손 하나만 움직여도 보내겠는데, 도움이 필요 할 때마다 누가 그 이의 손이 될 수 있단 말인가. 얼굴이 간지러울 때, 눈물이 날 때, 요즘처럼 침이 나올 때 빨리 도와주지 못 한다면 얼마나 비참할까. 가족이란 남이 보지 못하는 세심한 것 까지도 볼 수 있어  때로는 더 힘든지 모른다.  
 
 가족, 가족이란 게 무엇이기에 이리도 끊어 낼 수 없는지 난 가끔 생각에 잠긴다.

 행여 밤사이에 남편에게 무슨 일이 생길까 베이비 모니터를 켜 놓고 잠자리에 든다. 혹시나 등창이라도 날까 하루면 몇 차례씩 스트레칭을 시키고 등을 두드리며 어루만지기를 수 없이 한다. 남편의 기억력이 전 같지는 않지만 그래도 아직 뇌에 문제가 없어 우리는 대화를 많이 나누며 산다. 특히 자정이 넘어 누워있는 남편의 자세를 바꿔주기 위해 딸과 둘이서 도와줄 때가 우리 가족의 오붓한 시간이다. 무엇이든 하고 싶은 이야기를 허심탄회하게 한다. 때로는 언짢은 말이 오가기도 하고  다투며 누군가 울 때도 있다. 그러나 우리는 참회의 기도를 하며 서로를 이해와 용서로 위로하곤 했다.

우리 가족은 모든 기쁨과 슬픔, 행복과 불행을 함께 나누며 살고 있다. 지금  남편은 가장의 역할을 할 수 없지만 우리 가족은 그이의 말을 존중한다. 남편에게 가장 큰 걱정은 아내와 딸의 건강이다. 그래서 “먹어, 운동해, 걸어, 빨리 자”를 입에 달고 산다. 남편의 그런 말이 피곤할 때는 짜증스럽게 들리기도 하지만  ‘그 이가 없다면 누가 우리를 염려해줄까’하는 생각에 “예, 그럴게요” 라고 대답한다.

남편을 돕느라 생긴 스트레스와 피로가 축척 되어 내 생명이 단축된다 해도 억울해하지 않을 것이다. 남편과 상황이 반대로 바뀌었다 해도 남편 또한 내게 최선을 다 했을 테니까.

나는 오늘도 남편의 식탁을 준비하느라 분주하다. 기름기만 들어갔다 하면 배탈이 나는 그이에게 가장 좋은 음식은 시래기나 참나물을 넣어 만든  된장국 또는 황태포국이다. 황태포는 사철 구할 수 있지만 참나물이나 시래기는 시기를 놓치면 구하기 힘들다. 마켓에서 초록색 무청이 보이면 주저하지 않고 집어온다. 남편에게 맞는 음식을 맛있게 먹여주고 싶은 마음, 그 것이 사랑이 아니겠는가.

가족이 있는 가정은 우리 인간에게 부여 된 가장 축복된 보금자리이다. 넘치는 사랑과 희생이 있고  또한 이해와 용서가 있으며 인격의 바탕이 되는 신뢰가 있기 때문이다.

 가족, 가족은 내게 이탈할 수 없는 철로이며 울타리이고 삶의 원동력이다. 이런 가족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린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캐나다에서 살며 가장 많이 하는 일 중 하나는 운전이지 않을까 싶다. 아이들 학교, 운동, 종교 그 모든 활동은 집에서 쉽게 걸어갈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 대중교통도 한국에서 경험했던 것처럼 다양한 수단이나 노선이 준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자동차를 타고 가야 한다. 특히 운동을 하는 둘째는 다른 도시로 여기저기 원정 경기를 가기 때문에 꽤 장거리를 운전할 때가 잦은 편이다.먼 거리를 운전하다 보면 졸리거나 지루한 시간이...
윤의정
잠 못 드는 이유 2023.02.21 (화)
살 껍질 비집고수천 마리 두더지가 소풍을 한다열 손가락 써래질로 밤은 꺾이고들쑤신 탑세기*에 벌건 꽈리 꽃 피었다아프면 퍽퍽 울고나 말지삶 속에 얼기 설기 열 꽃 물집타인과 나 사이 시소를 타고허공만 빠꼼대는 물고기하늘로 오르려만 말고두 발 땅에 있을 때 사뿐 내리면 될 걸허공에 한숨 물고 삿대질 만 하고 있나상념 헤집고 두더지시소 타고 온 밤을 하작인다* 탑세기 : 솜먼지의 충남 방언
한부연
따로 또 같이 2023.02.13 (월)
 오늘은 집에 손님이 오는 날이다. 저녁 준비로 동동대는 내 옆에서 남편은 어느 때보다 협조적인 자세로 하명을 기다리고 있다. 청소기를 돌리고 거실 유리창을 닦고 바베큐 그릴도 달구고… . 바쁜 가운데 손발이 맞는 손님맞이는 수월하게 마무리가 되어 간다. 오늘 손님은 같은 해 밴쿠버에 정착해 한동네에 살던 유고인 프레드락과 수잔나 부부이다. 연배가 비슷한 우리는 긴 세월 서로의 집을 오가며 일상의 애환을 나누고 살아온 귀한...
조정
겨울 앓이 2023.02.13 (월)
겨울은 망각의 푸른 바다를 건너 약속의 봄을 찾아가는 빈 가슴 나그네 긴 회한의 터널 그 너머찬 바람, 서리 다 이겨낸지친 들판에 서서 만나야 할 그 사람                                      찾아야 할 그 사랑잃을 수 없는 시간 속으로배냇그리움에 멀미가 난다 다가올  새봄은 또다시 찾아오는 아픔이겠지나를  죄어오는 망연(忘戀)의 넋일 수 있어 가는...
김석봉
  책장을 정리하다 우연히 둘째 아들이 초등학교 1학년 때 쓴 글을 발견하였다. 이런 흔적 물들을 통해 과거를 되새김질해 본다. 실체가 없어도 있었던 현실인데도, 실체가 있어야 지난 현실이 또렷해진다.통통한 몸매와 얼굴에 늘 웃음이 가득하고 좀처럼 화를 내지 않는 둘째는 입력한 것에 비해 출력을 재미있게 잘한다. 좀 엉뚱한 구석이 있는 놈이다. 그의 글을 그대로 옮겨 본다.  “저의 형 박형진입니다.나이는 이제 9살이 되고요,...
박광일
나무 의자 2023.02.13 (월)
망자를 기억하며숲 길 모퉁이 고즈넉한 곳지나는 사람 발걸음 위로하며  떠난 사람 이름 써넣은나무 의자 놓여있다꽂아 놓은 조화는 을씨년스럽고애처로워다니는 사람 마음 훔쳐간다사랑하는 이 떠나보내지 못한 채품에 보듬어 안고 이랑을 지었나 보다 마주하던 죽음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안간힘으로 도망쳤을까?죽음을 순하게 받아들이는기백 보였을까? 모두가 알고 있지만  말하지 않은 채침묵으로 견디며한 길로 나 있는 신작로...
박혜경
내 인생의 강물 2023.02.06 (월)
    인생의 강물은 내 맘대로 흐르지 않는다. 누구나 그렇다. 완만하게 굽이돌며 한 없이 흐른다. 거침없이 흐르는 푸른 강물이다. 내가 나에게 끼어들 새가 없다. 일반적으로 강물에 실린 그리움과 기다림의 원천은 어머니다. 그런데 나의 그것들은 내 나이 열한 살 때, 보라색 치마에 긴팔의 흰색 블라우스를 입고 온 띠동갑의 한 선생님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녀는 시집갈 나이 스물셋에 산골 초등학교에 주산 선생님으로 왔다. 살랑살랑...
박병호
만두 필살기 2023.02.06 (월)
  설 하면 역시 만두를 빼놓을 수가 없다. 만두 국 뿐만 아니라, 구워도 먹고, 찜 기에 쪄서 먹어도 결코 질리지 않는 음식 중 하나다. 무엇보다도 엄마가 만들어 준 손 만두는 설날에 먹을 수 있는 최고의 음식이었고, 밀가루로 반죽한 만두 피까지 쓱쓱 밀어가며 속을 듬뿍 넣고, 아기 궁둥이 마냥 토실 하고 먹음직스럽게 왕 사이즈로 빚어 먹었다.그 시절, 어렸던 난 엄마를 따라 손 만두를 만들어 보겠다고 했다가 만두 중에서도 속이 제일 작아...
허지수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