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만화' 강국임을 자랑해왔다(pride itself on being a 'manga' powerhouse). 그런데 최근 기로에 섰다(stand at a crossroad). 본토까지 치고 들어간(make forays into its mainland) 한국의 웹툰(webtoon) 때문이다.


webtoon은 웹과 만화의 혼성어(portmanteau of web and cartoon)다. 일본 '망가'의 전통적 흑백 인쇄 형태와는 확연히 달라(be definite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black-and-white print formats) 젊은 세대 사이에 팬 층을 형성하며(carve out a fan base among its young generation) 위협적 존재로 떠올랐다(emerge as a threat).

'망가'와 달리 처음부터(from the get-go) 디지털 기기 사용자 구미에 맞춰(cater to digital device users) 최적화됐다(be optimized for it). 컬러인 데다, 수평으로 읽히는(be read horizontally) 망가에 비해 화면을 위아래로 문질러 수직으로 움직여가며(scroll vertically swiping up or down on the screen) 볼 수 있어 이내 젊은 층을 매료시켰다.

일본 재팬타임스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 월간 가입자 순위로(in a monthly subscriber ranking) 일본 만화 앱 1, 2위를 차지한 것은 한국 웹툰 작가 고양이의 '여신강림'과 박태준의 '외모지상주의'였다.

이런 웹툰의 급증하는 인기(burgeoning popularity)는 다른 '한류'와 구분된다(be distinct from other 'Korean Wave'). 출처를 알지(be aware of the origin) 못한다. 일본어로 번역된 것은 물론, 이름·장소·고유명사(proper noun) 등이 꼼꼼하게 현지화돼(be meticulously localized) 한국 특유 요소는 지우도록 변형시켰다(be altered to erase anything distinctly Korean).

가령 경찰차 모습도 일본 것으로 바꿔 넣는 식이다. 한국이 아니라 일본에서 만들어진 것처럼 중화시킨다. 현지화의 중요성을 어렵사리 터득한(learn the importance of localization the hard way) 마케팅 전략이다. 이에 비해(in contrast) 일본 망가는 국내 독자들에게 영합하느라(pander to the domestic audience) 해외 수요에 초점을 맞추지(focus on demand from abroad) 못했다. 중국도 이미 인쇄 만화를 제치고(marginalize print comics) 사이버 공간으로 넘어갔음을 간과했다(overlook it).

이제 아시아 너머 세계시장에서 일본 망가는 압도당할(be overwhelmed) 처지에 놓였다. 웹툰의 예기치 못한 습격에 대처하지(cope with its unforeseen incursion) 못해 우왕좌왕하고 있다(run helter-skelter). 재팬타임스는 이런 현상이 딜레마에 빠진(be on the horns of a dilemma) 일본 업자들이 질문을 하게 만들고 있다고(beg the question) 전했다. "일본 망가를 지켜야 하나, 한국 웹툰을 따라가야 하나."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5/06/201905060151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