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초등학생이 되는 칠순 아들

늘산 박병준 pcpak@shaw.ca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1-03-25 16:18

기고자: 늘산 박병준
아직 밖이 어두워 잠자리에 있는데 전화가 ‘때르릉’ 울린다.

이 시간에 전화하는 사람은 어머님이시다. 늘 자식 사랑하는 마음이 담긴 음성이 전선을 타고 건너온다.

"눈이 많이 오고 있다. 꼼짝하지 말고 집에 있거라." 하신다.

“예”하고 대답했는데, 이때 70넘은 아들은 초등학생이 된다.

어머니는 지금 양로원에 가 계신다.

집에 계실 때, 어머님 방은 2층에 있었다. 물 한 잔을 들고 오를 힘이 없어 컵을 계단 한 단 한 단에 올려놓으시며 기어 올라가기도 하셨다. 그 모습을 뵙는 게 가슴 아프고, 아래층에 방을 만들 형편도 안 되어 죄송하고 퍽 난감했다.

또 우리 내외가 외출할 일이 있으면 문을 잠가야 할지 그냥 열어둔 채 가야 할지 망설여지기도 했다. 열어두고 가면 귀가 어두워 누가 들어와도 알지 못할 뿐 아니라 혹 도둑이 힘없는 노인네를 밀친다면 꼼짝없이 당해야 할 판이다. 만약 대문을 잠그고 나간다면 불의의 사고가 났을 때 구조대가 문을 부수어야 될 일이었다.

그러던 중 어머님이 양로원으로 가시겠다고 우기기 시작했다. 한국 음식을 제공하는 아메니다 양로원에 친구분들이 같이 지내자고 하는 것이 계기가 되기도 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이유는 따로 있는 듯했다. 혼자 계시다가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거나 어지럼증 때문에 쓰러져 목숨을 잃게 되면 맏아들을 불효자로 만들고 만다는 염려 때문인 거다.



<▲ 박병준씨(오른쪽)과 그의 어머니.>

일본에서 공부한 신여성이 두매 산골 삼대독자와 혼인하여 맏아들을 낳으셨다. 일제의 압박에서 신음하는 백성을 구하라는 의미로 아명을 ‘모세’라고 부르며 나에게 온갖 기대를 걸고 한세상을 살아오신 어머님이시다. 파란만장하게 살아온 한 세기의 삶이 그 막바지에 이르러 자신의 죽음보다 아들의 안위를 더 걱정하신다. 그 마지막 소원이 이렇게 단순하고 간절해지는 시점에 이르렀다.


양로원 얘기가 나왔을 때 가장 반대를 한 것은 아내였다. 아흔이 넘은 어머님의 여생이 얼마나 남았다고 낯선 곳에 보내느냐, 어머님 떠나시는 날까지 모시겠다는 아내의 고집을 꺾는 일이 쉽지 않았다. 우리가 집을 비우는 동안 라면이나 아니면 찬밥을 물에 말아 대충 끼니를 때우기 일쑤이신데 그곳에 가시면 일단 하루 세 끼니 식사를 제대로 드실 수 있으니 그게 효도가 아니겠느냐, 동생들과 조카들도 충분히 이해하고 동의를 하였으니 그만 마음을 내려놓으라고 설득을 했다. 


어머님과 같이 양로원 답사를 하고 돌아온 후 아내가 고집을 꺾었다. 옛날 같으면 차려주는 밥상을 받고 아랫목에 않아 상노인 대접을 받을 70넘은 아내가 90넘은 시어머님을 모시고 늘 웃는 얼굴로 살아온 지난 세월이 새삼스러워 진다.


어머님을 양로원에 보낸다고 생각하니 우리 세 식구가 오손도손 마주 앉아 마시던 커피 시간을 더 이상 가질 수 없는 것이 제일 아쉬웠다. 그리고 뒤뜰 농사는 어찌하나. 씨 뿌리는 시기와 씨앗관리는 늘 어머님이 해 오시던 일이었는데... 


텅 빈 어머님 방은 그 다정하던 음성과 낮잠 주무시던 모습이 남아 .있는 듯 나도 모르게 들여다보게 된다.


오늘도 어머님 안 계신 빈자리에 칠순 아들이 서성인다.


<▲ 박병준씨(오른쪽)과 그의 어머니.>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나는 클래식 문외한이다. 평생 즐겨 들은 클래식은 바흐의 무반주 첼로 곡과 비발디의 사계 정도를 꼽을 수 있다. 하지만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따로 들려주고 어느 계절이냐고 묻는다면 ? ….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과 합창 교향곡은 구분하지만, 베토벤의 곡과 모차르트의 곡은 가르지 못하는 귀를 가졌다. 이렇게 듣는 귀가 없는 사람을 “막귀”라고 한다. “클알못”은 ‘클래식을 알지 못하는 사람’을 일컫는 신조어다. 클래식 듣기에 입문한...
김보배아이
어젯밤엔 싸늘한 별 속을 장님처럼 더듬거렸고 오늘 밤은 텅 빈 굴 속에 석순처럼 서 있습니다 내일 밤은 모릅니다 쫀득한 세상이불 속두 다리 뻗고 코나 골고 있을지 딱딱한 궤짝 속 팔다리 꽁꽁 묶인 채 솜뭉치 악물고 있을지 아무도 모릅니다
백철현
   거대한 돈의 위력을 등에 업고 세상의 부조리는 날로 커지고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우리 삶의 고유한 영역까지 파고들어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이 있기나 한 건지 의문을 품게 한다. 그런데도 마이클 샌델 교수는 그의 저서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에서 여전히 우리의 삶과 사회 속에는 돈으로 가치를 측정하고 거래할 수 없는 영역이 존재하며 그것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옳은 말이지만 사랑도 우정도 돈이 있어야 표현할 수...
권은경
세상에 내린 눈물 2023.02.27 (월)
눈물은 슬픔이요 사랑이라눈물은 감사요 용서라눈물은 빛이요 생명이라눈물은 가슴이요 바다라세상 욕심 하늘을 찔러거짓 속임 빗발쳐울분과 분노의 고열로불신과 절망이 목을 죄검은 세력 헤집는 세상어둠은 슬픔에 얼룩져눈물의 강가를 출렁이더라이제 금저 만치용서의 바다에 내려사랑의 바람 타고감사의 노를 저어생명의 눈물로 헹궈시든 세상을 건져 내가슴의 바다에 눈부셔 가리라
백혜순
빵빵 군번의 수난 2023.02.24 (금)
      사람이 늙어 가면서 살림을 줄이는 것이 좋다. 그래서 오랫동안 모아 놓은 서류함을 정리하던 중 파일 틈에 끼어 잘 보이지 않아 휴지통으로 버려질 뻔했던 까만 수첩을 발견했다. 대한민국 국민으로 국방의 의무를 필 했음을 증명해 주는 "예비군인 수첩" 이다. 60년 전 한국을 떠날 때 여권과 함께 꼭 소지해야만 했던 귀중한 물건이다. 하마터면 영원히 잃어버릴 뻔 했던 이 수첩을 대하니 그 때 내가 만난 인연의 얼굴들이 영상처럼...
심정석
진실로신은 존재하시는가땅이 꺼지고하늘이 무너질 제,아무 죄 없는 생명이 묻히고평생 쌓아온 생존의 기물이 무너질 제진실로,신은 어디에 계셨단 말인가건물 잔해에 묻혀 있다간신히 살아난 어린 소년,검은 가방 속 저금통을 찾아달라 한다저금통 찾아 그 돈으로 집을 사야 한단다소년의 상실감이 창이 되어 가슴을 찌른다시멘트 덩어리, 굽은 철근을 뒤집는 손길에불끈 힘이 솟는다듣는 이, 보는 이의 가슴 속에희망이 노을처럼 번진다신은사람의...
김해영
나는 클래식 문외한이다. 평생 즐겨 들은 클래식은 바흐의 무반주 첼로 곡과 비발디의 사계 정도를 꼽을 수 있다. 하지만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따로 들려주고 어느 계절이냐고 묻는다면 ? ….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과 합창 교향곡은 구분하지만, 베토벤의 곡과 모차르트의 곡은 가르지 못하는 귀를 가졌다. 이렇게 듣는 귀가 없는 사람을 “막귀”라고 한다. “클알못”은 ‘클래식을 알지 못하는 사람’을 일컫는 신조어다. 클래식 듣기에 입문한...
김보배아이
어젯밤엔 싸늘한 별 속을 장님처럼 더듬거렸고 오늘 밤은 텅 빈 굴 속에 석순처럼 서 있습니다 내일 밤은 모릅니다 쫀득한 세상이불 속두 다리 뻗고 코나 골고 있을지 딱딱한 궤짝 속 팔다리 꽁꽁 묶인 채 솜뭉치 악물고 있을지 아무도 모릅니다
백철현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